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술
알콜
알코올
본줄기
원줄기
본류
알코올 음료
스페셜
"
주류
"(으)로 총 115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마음의 독립은 '행복'으로 가는 유일한 길
2025.07.26
아시아인들이 이중고를 겪고 있다고 한다. 물론 가정에서 핵심적으로 여기는 가치관과
주류
사회에서 여기는 가치관 사이의 대립으로 인해 갈팡질팡하는 것도 덤이다. 예를 들어 문화는 마치 보이지 않는 결박과도 같아서 미국에서 나고 자란 성정체성이 뚜렷하지 않고 연애나 결혼관에 있어서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美 트럼프 시대, 길잃은 전세계 공중보건
2025.02.05
마하), '미국을 다시 건강하게(Make America Healthy Again)'를 내놓았다. 문제는 이들의 생각이
주류
과학계 및 의학계와 다른 부분이 꽤 많아서 이들이 추진하는 정책이 미국인뿐 아니라 지구촌 사람들의 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걱정이 많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로버트 케네디 주니어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생쥐에도 통하는 플라시보 효과
2024.09.04
아무튼 이 논문은 환자 치료보다 본인 야망을 중시한다며 대중의 불만을 사던 당시
주류
의학계가 환자 역시 치료의 능동적인 주체로 참여해야 한다는 새로운 관점을 받아들이는 계기가 됐다. 그런데 논문에서 커즌스는 아래와 같은 흥미로운 언급을 했다. "내 모든 경험이 그저 플라시보 효과에 ... ...
[박정연의 닥터스] 생체신호 데이터로 수술만큼 중요한 '환자안전 관리'
동아사이언스
l
2023.04.03
운영하면서 느낀 것은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이다. 스타트업은 수직적인 문화가
주류
를 이루는 병원과는 또 다른 성격의 조직이다. 역량있는 소규모 인재들이 지근거리에서 머리를 맞대고 사업을 운영한다. 작은 조직의 장점은 개개인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19세기 산모 사망률 낮춘 의학자, 정신병원에 수용된 사연
2023.03.28
주장한 리스터의 주장도 쉽게 받아들여지지 않았지만 리스터는 제멜바이스처럼
주류
집단과 싸우는 대신 계속된 연구로 더 좋은 방법을 찾고, 주변 사람들을 설득하는 데 성공함으로써 오래지 않아 인정받을 수 있었다. 리스터는 훗날 자신의 발견에 앞서 제멜바이스가 발견한 내용도 높이 평가받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불안감과 두근거림 어느쪽이 먼저일까
2023.03.08
분당 900회에 이른다. 참고로 덩치가 작은 생쥐는 심박수가 사람의 10배에 이른다. 과거
주류
신경과학 이론에 따르면 뇌는 감각기관을 통해 외부세계의 정보를 받고 적절한 감정을 생성해 대응한다(위). 그러나 오늘날 이론에 따르면 이와 함께 몸과 주고받는 정보도 감정 생성과 강도에 영향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제임스 왓슨이 감추고 싶었던 유전자
2022.11.29
초기 단계에서 유인원 유전자의 기능으로 돌아가는 변이형인 APOE3가 나와 오늘날
주류
가 됐을까. 이 역시 명확하게 설명하고 있지는 못하지만 몇 가지 가설이 나와 있다. 불의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음식을 통한 감염 위험성이 줄어들며 인간형 APOE4의 빛이 바랬다. 다음으로 인지 능력이 나아지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오후 6시까지 먹는 시간제한 섭식이 좋은 이유
2022.11.01
낮에 자고 밤에 돌아다니는 야행성을 보인다는 것이다. 1991년 논문이 나왔을 때는
주류
학계가 무시했지만, 그 뒤 이 주장을 뒷받침하는 연구 결과가 잇따르면서 제3의 광수용체세포 찾기 경쟁이 붙었고 2002년 미국 브라운대 신경과학과 데이비드 베르슨 교수팀이 영광을 차지했다. 생체시계 ... ...
알츠하이머 연구 흐름 이끈 미 논문 조작 논란…16년간 세계 과학계 오도했나
동아사이언스
l
2022.07.24
10편에서 추가적인 조사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전했다. ○ 37세 의사과학자
주류
알츠하이머 연구 의문 품고 검증 올해 37살인 슈래그 교수는 지난해 미국 바이오 회사 카사바사이언스가 개발한 알츠하이머 치료물질 시무필람 성분과 효능을 조사하는 가운데 이 약물 개발을 뒷받침한 ... ...
[특별기고]우리는 제2,제3의 허준이를 만날 준비가 되어 있는가
2022.07.05
세계 주요 연구 그룹과 경쟁해야 하고, 남이 먼저 풀면 허망해지니까. 그렇더라도 이런
주류
문제(mainstream problems)에 겁 없이 뛰어들어야 제2의 허준이가 나온다. 수학자라면 이름만 들어도 알 정도의 주요 난제들을 겁 없이 붙잡고 자신만의 방식으로 풀어낸 허 교수는, 우리 시대 청출어람의 사례로,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