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너트
암나사
견과
열매
조르개
스페셜
"
조리개
"(으)로 총 10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산업 리포트]위성 지구관측에 돈이 몰리고 있다
2022.04.29
수 있다고 한다. 카펠라스페이스가 2월 24일 공개한 벨라루스-우크라이나 국경의 합성
조리개
레이더(SAR) 이미지. 카펠라 스페이스 제공 토니 프레지어 맥사테크놀로지 부사장은 최근 미국 워싱턴에서 열린 한 인공위성 콘퍼런스에서 “우크라이나 전쟁이 정밀 지리정보에 대한 수요를 증가시키는 ... ...
노화 불가피 ‘허블’ 대신할 차세대 우주망원경 ‘제임스웹’ 지상 테스트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1.03.15
관측을 멈춘 채 대기하는 것으로 나흘 만인 11일 재가동에 들어갔지만 망원경 상단의
조리개
문이 자동으로 닫히지 않는 새로운 고장이 확인됐다. 은하의 진화 과정 연구에 기여한 것으로 유명한 ‘허블 딥 필드’, 은하 M87 중심부에서 태양 질량의 26억배에 달하는 블랙홀 간접 관측 등은 허블 ... ...
[표지로 읽는 과학] 얼굴 인식 시스템의 두 얼굴
동아사이언스
l
2020.11.21
제공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19일(현지시간) 전자 회로에 연결된
조리개
와 사람이 서로를 응시하는 모습을 그린 그림을 표지에 실었다. 제목은 ‘직면하는 사실들’이다. 공공장소와 개인 공간을 포함해 우리 삶에 깊숙이 스며들고 있는 ‘얼굴 인식 시스템’의 부정확성과 윤리 문제를 다룬 세 ... ...
[인간·공감·AI]⑧동물 눈 모방한 카메라로 '시각혁명' 이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10
어류의 눈 구조와 성능을 고스란히 재현했다. 1mm의 구멍이 뚫린 지름 0.5mm의 얇은
조리개
앞뒤에 지름 2mm의 반구형 내부 렌즈를 각각 설치하고 그 위에 지름 4.1mm의 외부 렌즈를 덮어 초점면이 구형인 렌즈를 만들었다. 여기에 물고기의 망막을 흉내 낸 이미지 센서를 뒤에 붙였다. 이미지센서는 ... ...
21일 부분일식 스마트폰과 과자봉지만 있어도 쉽게 찍는다
과학동아
l
2020.06.18
카메라 렌즈에 빛이 최소한으로 들어오도록 해야 합니다. 보통 디지털카메라를 사용하면
조리개
값, 셔터속도, 감도 수치 등을 변경해 받아들이는 빛의 양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겉보기등급(지구에서 측정되는 천체의 밝기 등급)이 –26.7등급인 태양과 –12.7등급인 달은 이런 설정만으로 ... ...
[만연하는 가짜 의학정보]홍채 보면 건강을 알 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7
눈동자에 나타나 있다는 주장이다. 홍채는 쉽게 말해 '눈동자'다. 카메라의
조리개
처럼 눈으로 들어오는 빛의 양을 조절해 망막에 상이 잘 맺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기관이다. 밝은 곳에서는 눈으로 들어오는 빛의 양을 줄이고, 어두운 곳에서는 빛의 양을 늘린다. 밝은 곳에서도 눈이 부시지 ... ...
[강석기의 과학카페]백내장과 녹내장은 왜 생기는 걸까
2019.04.09
카메라로 비유하면 렌즈가 탁해진 것이다(영어로 수정체가 lens다). 수정체는 홍채(
조리개
에 해당)를 지지할 뿐 아니라 말랑말랑해 둘레 근육(모양체근)의 작용으로 곡률이 바뀌면서 초점거리를 맞추는 역할을 한다. 렌즈를 두 개 이상 써서 거리를 달리하며 초점을 맞추는 줌렌즈보다 공학적으로 한 ... ...
[표지로 읽는 과학] 미국이 슈퍼컴·양자컴 연구에 매진하는 까닭
동아사이언스
l
2018.07.28
아이디어를 접목해 푸른 빛을 내는 필터를 씌운 인공 조명을 쓰고, 망원렌즈를 단 카메라
조리개
를 한껏 열어서 ‘쿨한’ 푸른빛이 별빛으로 멀리서 영롱하게 기기를 비추는, 미래적인 느낌의 사진을 연출했다. -사진 제공 사이언스 사이언스가 슈퍼컴퓨터를 멋지게 묘사한 사진을 표지에 쓴 ... ...
고양이 눈동자가 세로로 길쭉한 이유
2015.09.07
앞뒤의 대상이 흐릿해지는 게 유리하다. 카메라에 고양이 눈동자처럼 세로로 길쭉한
조리개
를 끼우면 세로로는 심도가 얕고 가로로는 심도가 깊은 이중 효과를 내는 영상이 얻어진다. 즉 고양이는 세로의 심도를 얕게 해 사냥감의 거리정보를 정확히 파악한다. 한편 눈동자의 폭이 좁아져 ... ...
파란 말은 없지만 파랑새는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1.06
물론 그렇다. 홍채는 수축과 팽창을 통해 눈동자(동공)의 크기를 조절하는 눈의
조리개
로 앞쪽의 기질과 뒤쪽의 상피세포층으로 이뤄져있다. 상피세포층에는 멜라닌이 많아 기질을 통과한 빛을 흡수해 뒤쪽의 망막으로 넘어가지 못하게 한다. 주변 근육에 연결돼 있는 섬유조직인 기질의 경우 ... ...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