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전도체"(으)로 총 26건 검색되었습니다.
- [사이언스게시판] 원자력연 김찬중 박사, 초전도 기술 전문기업 (주)에스앰엘텍 창업 外동아사이언스 l2024.10.21
- 초전도 소재 분야를 연구해왔다. 초전도 소재를 단결정으로 제작하는 성장기술, 초전도체 내에 비(非) 초전도물질을 미세하게 분산시켜 공중부양력을 높이는 자기속박기술 등을 개발한 바 있다. ■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4~10월 진행한 '제3회 ETRI 휴먼이해 인공지능(AI) 논문경진대회'에서 ... ...
- [표지로 읽는 과학] '올해의 과학인물(?)'에 선정된 챗GPT 동아사이언스 l2023.12.23
- 햄린 교수는 3월 란가 디아스 미국 로체스터대 교수 연구팀이 네이처에 발표한 상온 초전도체 논문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네이처에 지적했다. 네이처는 지난달 해당 논문의 철회를 결정했다. 리차드 모나스터스키 네이처 수석편집자는 "네이처 10에 선정된 10명의 이야기와 AI 도구인 챗GPT는 2023년 ...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오염수·초전도체·이권카르텔…과학이 있어야할 곳은2023.08.30
- 심심치 않게 오류가 드러나기도 하는 과학기술의 냉혹한 현실도 무시해버렸다. 상온 초전도체의 개발을 주장하는 두 편의 서로 다른 원고가 동시에 발표되는 ‘비정상’은 언론이 결코 가볍게 여겨서는 안 되는 심각한 사안이었다. 개발에 참여했던 연구진이 서로 다른 논문을 발표하게 된 이유와 ... ...
- [표지로 읽는 과학] 한국 과학자 개발 '고무처럼 휘는 다재다능 회로기판'동아사이언스 l2022.11.13
- 조립된 액체 금속 입자 네트워크(LMPNet)를 제시했다. 이는 일종의 '탄성 전도체'다. 이 전도체는 산업계에서 흔히 사용되는 폴리머 하이드로겔을 통해 생산될 수 있어 활용성이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 ... ...
- [랩큐멘터리] 가상공간에서 신소재를 빚는 연금술사 동아사이언스 l2022.02.23
- 만들기도 했다”고 말했다. 심 교수팀은 이외에도 에너지 소재나 촉매 소재, 초전도체 소재 등을 발견하기 위해 가상의 공간에서 연구를 거듭하고 있다. 포스텍 전산재료설계연구실은 그래핀과 같은 2차원 소재에 자석과 같은 특성을 부여하기 위한 연구를 거듭 진행하고 있다. 컴퓨터 ... ...
- [랩큐멘터리]절대0도 가까운 분자로 양자컴퓨터 지평 연다동아사이언스 l2022.02.09
- 박 교수는 “마치 극저온 분자들이 물질 속 전자들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만들어 고온 초전도체 등 여러 환경에서 전자들이 어떻게 행동하는지 직접 관측하고 싶다”고 말했다. 박 교수팀은 극저온 기체를 생성하고 해당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대기의 밀도보다 1013배 낮은 초고진공 환경 챔버를 ... ...
- [프리미엄 리포트] 제국의 무덤이 된 지질학 요새, 아프가니스탄과학동아 l2021.10.02
- 비타민’으로 비유되는 희토류 광물도 약 140만 t이 매장돼 있다. 희토류는 반도체, 초전도체, 디스플레이, 전기모터 등 첨단 산업과 군용 장비 제작에 쓰이는 원료다. 희토류는 란타넘, 루테튬 등 주기율표 란타넘족에 속하는 원소 15종과 스칸듐, 이트륨을 포함한 17개 원소를 일컫는다. 화석연료도 ... ...
- [강석기의 과학카페]상온 초전도체 시대 열릴까2021.09.01
- 찾았지만 아직 고온 초전도체에 불과한 준안정 물질 가운데 어느 쪽이 먼저 상온상압 초전도체에 이를 수 있을지 또는 제3의 주자가 나타나서 승리할지 아니면 모두 실패할지 자못 궁금하다. ※필자소개 강석기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일했다.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 ...
- 양자네트워크 실현할 니오븀 초전도 나노소자 개발동아사이언스 l2021.04.14
- 0.01T에서 동작할 수 있는 것보다 안정적인 것이다. 차진웅 표준연 선임연구원은 “초전도체는 액체핼륨의 냉각온도인 4K에서 더 많은 냉각장치가 필요한데 니오븀은 이러한 추가 장치가 필요 없어 유리하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개발한 소자를 이용해 마이크로파를 제어하는 데도 성공했다. 기존 ... ...
- 1만번 접었다 펴도 '괜찮아'…접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동아사이언스 l2021.02.14
- ITO를 대체하기 위해 단일벽 탄소나노튜브(SWNT)가 박힌 폴리이미드(PI)로 이뤄진 투명 전도체 필름(SWNT-PI)을 개발했다. 기존에도 단일벽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사례가 있었지만, 표면이 거칠어 균일한 층을 형성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었다. 연구진은 표면을 부드럽게 만들 수 있도록 ... ...
1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