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재난
사고
재액
불행
재해
천벌
화재
스페셜
"
재앙
"(으)로 총 18건 검색되었습니다.
KINAC 설립 10주년으로 돌아보는 우리나라 원자력 통제의 역사
동아사이언스
l
2016.08.12
펼쳐졌다. 테러 집단이 평화적인 목적의 원자력 시설을 공격하여 후쿠시마 사건과 같은
재앙
을 인위적으로 일으키는 것을 차단하면서 지진과 쓰나미 같은 자연재해로부터도 원전의 안전성을 유지하자는 내용이다. 모두 KINAC의 업무와 관련된 내용으로, 관련 정부 기관들을 적극적으로 지원하여 ... ...
독감은 ‘독한 감기’가 아니다?
KISTI
l
2015.11.17
약 100만 명의 사망자를 발생시키며 세계적인 피해를 낳았다. 가장 최근의 인플루엔자 대
재앙
은 1968∼1969년 발생한 ‘홍콩 인플루엔자’로, 약 6주 동안 전 세계를 휩쓸며 약 80만 명의 사망자를 발생시켰다. 미국 뉴욕과 워싱턴의 동시다발테러로 희생된 사람이 6,000여 명이었다는 점을 생각해보면 ... ...
생명의 호수, 교훈의 호수 시화호에 가다
동아사이언스
l
2015.11.12
싶을 정도로 생명이 북적였다. 시간의 힘 때문만은 아니었다. 한때 자연을 거슬러서
재앙
을 초래했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었던 시화호는 원래의 모습으로 조금씩 다가가고 있다. 그 이면에 많은 사람들의 노력이 있었음은 물론이다. 죽음의 호수를 되살리기까지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이하 KIOST) ... ...
황사, 원자력발전으로 막는다?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4.09
약 100기의 신규 원전을 계획중이다. ⓒ 한겨레신문 물론 우리로서는 사고시 큰
재앙
이 예상되니 달갑지 않지만, 동부 해안 쪽에 주요 경제 거점이 밀집한 중국으로서도 갑작스런 원전 사고는 감수하기 어려운 일이다. 중국 정부도 이를 모르는 바는 아니어서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 사고 이후 모든 ... ...
[생활 속의 기술] 로봇에게 윤리를 가르칠 수 있을까
KOITA
l
2015.02.16
해악을 깨닫고 소 잃고 외양간 고치듯 윤리를 논한 것이다. 그런 측면에서, 로봇기술이
재앙
을 몰고 오기 훨씬 이전에 로봇윤리를 정립하려는 현재의 노력은 매우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다. 이제 인류는 ‘터미네이터’의 악몽에서 벗어날 때를 맞았다. 마침 올해는 영화 ‘터미네이터’가 나온 지 ... ...
제2의 석기시대를 지탱하는 신기술
IBS
l
2014.11.13
사용되고 있을지 모를 일이다. 당연히 이러한 회로들의 성능은 현재 시각으로 보았을 때
재앙
수준으로 형편없었을 것이며 가격도 엄청나게 높았을 것이다. 당연히 일상을 바꾼 IT 혁명도 늦어지고 정보화사회의 도래도 한참 미뤄졌을 것이다. 현대 사회를 농담삼아 '제 2의 석기시대'라고 부를 ... ...
녹색 2.0의 미션은 한국 녹색기술의 세계화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4.10.29
그리고 경제성이 담보된 녹색 산업기술의 발굴 및 연구개발 지원을 통해 전 지구적 환경
재앙
을 줄여나가는 데 모든 역량을 다해 갈 것입니다. Q. 끝으로 2014년 녹색기술센터의 각오와 목표, 그리고 소장님 개인적인 바람 등을 말씀해 주십시오. 올해는 녹색기술센터 출범 2년 차로서 안정적인 기반 ... ...
장님 코끼리 만지기 : 뇌와 의식을 이해하려는 노력들
IBS
l
2014.10.08
제한이 있다면 난이도가 더 올라간다. 뇌에 대한 지식이 치밀하지 못하다보니 때로는
재앙
을 낳기도 했다. 대표적인 사례가 '뇌엽절제술'이다. 뇌엽절제술은 독일의 고트리프 부르크하르트가 1890년에 고안한 시술로 심각한 정신질환에 대한 치료법으로 개발됐다. 당시 뇌엽절제술은 성공률이 50%에 ... ...
재난현장에서 나타나는 행동유형과 그 이유
KISTI
l
2014.04.25
이타적 행동이 활성화되면 패닉이 억제된다. 리더가 어리석거나 무모할 경우, 오히려 큰
재앙
을 불러올 수 있는 치명적인 상황도 생긴다. 이는 일상생활에서도 마찬가지다. 어리석은 리더와 영웅형의 훌륭한 리더의 차이는 위기의 순간에서 더욱 분명하게 나타난다 ... ...
수족관 안의 돌고래가 위험하다
KISTI
l
2014.04.17
무엇일까. ■ 수족관은 고독한 감옥 결론부터 말하면 수족관에 갇힌 돌고래의 삶은
재앙
에 가깝다. 야생에서 돌고래는 하루 100㎞를 자유롭게 헤엄치며 살아있는 물고기 10~12㎏을 먹어 치운다. 두뇌가 인간보다 더 커 복잡한 감정을 느끼고 사회성도 매우 뛰어나 100여 마리의 직계 가족이 무리 지어 ... ...
1
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