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후
뒤쪽
후방
뒷면
뒷전
등뒤
배면
스페셜
"
이면
"(으)로 총 16건 검색되었습니다.
똑똑한 온실을 넘어 지속가능한 농업으로
동아사이언스
l
2016.02.26
생산량은 10배에 달하고 품질 면에서도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이러한 성공신화의
이면
에는 기술력과 시장성을 두루 갖춘 기업들 이 포진해 있다. ‘식물이 원하는 바를 해준다’ “네덜란드는 도심에서 조금만 벗어나도 온통 농지예요. 가만히 놔두는 땅이 없을 정도지요. 남부에서는 시설 ... ...
선진국의 원전 현황과 신규원전 (1)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11.20
신규 원전 건설을 둘러싸고 지역민의 반발로 많은 진통을 겪고 있다. 이러한 갈등의
이면
에는 원자력의 안전성과 같은 기술적인 요소 이전에 상호 불신이 짙게 깔려 있다. 지역민들에게 신뢰감을 충분히 주지 못하기 때문에 한국의 원전이 안전하다는 근거를 제시해도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는 ... ...
생각하게 하는 영화 '아일랜드(2005년 작)'
IBS
l
2015.11.18
들인 블록버스터인 만큼 특수효과 가득한 현란한 볼거리가 가득하다. 그리고 그 현란함
이면
으로 인간의 질병 치료를 위해 만들어진 복제인간 이야기가 긴박하게 그려진다. 개봉 당시 국내에서는 황우석 교수 사건이 한창 진행 중이었다. 영화는 이와 맞물려 사회적으로 엄청난 반향을 일으켰다. ... ...
생명의 호수, 교훈의 호수 시화호에 가다
동아사이언스
l
2015.11.12
초래했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었던 시화호는 원래의 모습으로 조금씩 다가가고 있다. 그
이면
에 많은 사람들의 노력이 있었음은 물론이다. 죽음의 호수를 되살리기까지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이하 KIOST) 김경태 박사(환경기반연구센터 센터장)은 시화호를 되살린 사람들 중 한 명이다. 그는 시화호 ... ...
글루텐은 억울하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4.10.29
글루테닌(glutenin)이라는 단백질이 있다. 밀가루에 물을 넣고 반죽하면 이 두 단백질이 섞
이면
서 그물망 구조를 이루는데 이 복합단백질을 글루텐이라고 한다. 그물망 같은 구조는 밀가루를 발효시키는 과정에서 나오는 이산화탄소와 에탄올을 속에 가둬 빵을 부풀게 한다. 또 탄성력이 있어 면발을 ... ...
산업을 변화시킨 주역, 복사기의 탄생
KISTI
l
2013.12.10
있다. 이러한 움직임의 목적은 물론 ‘비용절감’이다. 주목할 점은 BYOD가 단순히
이면
지를 활용하는 수준의 푼돈 절약이 아니라 업무환경의 패러다임 변화를 통해 여러 비용요소를 근본적으로 줄이는 방법이라는 점이다. 직원들은 업무환경의 핵심인 컴퓨터 환경을 가상화해 장소나 시간의 제약 ... ...
일터와 산업을 바꿔놓은 한 건의 발명
KOITA
l
2013.11.08
있다. 이러한 움직임의 목적은 물론 ‘비용절감’이다. 주목할 점은 BYOD가 단순히
이면
지를 활용하는 수준의 푼돈 절약이 아니라 업무환경의 패러다임 변화를 통해 여러 비용요소를 근본적으로 줄이는 방법이라는 점이다. 직원들은 업무환경의 핵심인 컴퓨터 환경을 가상화하여 장소나 시간의 제약 ... ...
감시의 성격을 바꾸어 놓은 테크놀로지
KOITA
l
2013.05.28
것처럼 묘사되곤 하니 말이다. 특히 1차 정보를 기계와 시스템이 수집하면서, 이를
이면
에서 분석하고 활용하는 사람보다는 전면에 드러난 기술 자체에 비난이 집중되곤 한다. 이는 거꾸로 말하자면 신기술을 개발하는 것만으로 끝이 아니라는 뜻이기도 하다. 감시 기술처럼 정치적, 사회적 이슈의 ... ...
신기술 창업의 사회경제적 의미
KOITA
l
2013.05.09
때를 같이하여 중앙집권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지방화로 변화되었다고 볼 수 있으나 그
이면
에는 사회자체 변화의 영향이 컸다고 볼 수 있다. 지방화를 가속시킨 근본적인 변화 중의 하나는 세계화의 진전이라고 말할 수 있다. 경제체제의 세계화는 곧 세계 수준에서의 경쟁을 의미하는데 ... ...
우주 과학을 탄생시킨 사상 최대의 기술이전
KOITA
l
2013.05.06
강국인 미국과 러시아는 어땠을까? 이미 잘 알려져 있듯 우주개발의 역사는 화려한 영광
이면
에 숱한 좌절과 비극이 점철된 역사다. 최초의 우주비행사인 유리 가가린은 비행훈련 중 추락하여 짧은 생을 마쳤으며 미국은 성급하게 소련을 따라잡으려다 막대한 예산을 낭비해버리기도 했다. ... ...
1
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