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윤리학"(으)로 총 12건 검색되었습니다.
- KAIST 뇌인지과학과·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 신설동아사이언스 l2022.06.17
- 뇌인지과학을 중심으로 인문학인 심리학·언어학·신경철학·생물인류학·신경미학·윤리학·데이터 사회학 등을 융합한 내용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정신의학과 신경학·재활의학·뇌공학·뇌를 닮은 인공지능 등 의공학적 접근에 초점을 맞춰 다양한 인문학과 공학 과정을 배우게 된다. 올해 ... ...
- [전문가 진단]코로나 의료붕괴 막으려면 확진자 규모부터 줄이고 자원배분 방안 재정비 해야 2021.12.09
- 현 상황에서도 마찬가지다. 8일 대한의사협회가 개최한 토론회에서 임채만 한국의료윤리학회장은 "2014년 기준 상급종합병원 중환자실 환자의 10%가 입원 당일 이미 무의미한 입원인 것으로 조사됐다"며 "감염병 특성으로 인적, 물적으로 의료자원을 소비하게 돼 코로나19가 아닌 다른 환자들이 치료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과학을 위한 과학, SOS2021.05.06
- 상관 없이, 정치인과 관료의 사적 이익에 맞추어 관리된다. 한국의 과학사회학은 윤리학적 조언의 임무에 탐닉하면서 그 어떤 과학적인 분석과 근거를 과학계에 제안하지 못하고 있고, 한국의 과학기술정책기관들은 행정학과 경제학 등을 전공한 현장과 괴리된 관료들에 의해 비과학적인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과학계는 '공정한 차별'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을까2021.02.25
- 천착했다. 그가 1958년 발표한 논문 《공정으로서의 정의(Justice as Fairness)》는 철학, 윤리학은 물론 정치학, 경제학, 법학 등 인문사회과학계 전반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이후 그가 자신의 이론을 체계화해 내놓은 《정의론》은 우리에게 잘 알려진 마이클 샌델 등의 정의론에 영향을 미친 사상을 ... ...
- 코로나19 백신 공급 확대로 후발주자들 백신 개발 애먹는다동아사이언스 l2021.01.11
- 수 있다는 장점이 크다는 것이다. 휴먼 챌린지에 찬성하는 니르 이얄 미국 럿거스대 생명윤리학과 교수는 “일부는 비윤리적이라고 말하지만 과학적으로만 보면 정확한 코로나19 면역 지표를 얻는 가장 좋은 방법이라는 데 모두가 동의한다”고 말했다. 백신 임상의 형태는 시험을 진행하는 ... ...
- 사람 중심의 ‘인공지능 윤리기준’ 나왔다동아사이언스 l2020.12.23
- 세계 각국과 주요 국제기구의 관심대상이 됐다. 국내에서는 그동안 인공지능·윤리학·법학 등 학계·기업·시민단체 전문가들 자문과 의견수렴 과정을 거쳐 지난 11월 27일 초안 발표 이후 12월 7일 공청회 등 시민 의견수렴을 진행했다. 이날 마련된 ‘인공지능 윤리기준’에는 ‘사람 중심의 ... ...
- AI, 인간의 존엄성·사회의 공공선·기술 합목적성 우선해야동아사이언스 l2020.11.27
- 사회구성원이 함께 지켜야 할 주요 원칙과 핵심 요건을 제시하는 기준이다. 인공지능·윤리학·법학 등 학계와 기업, 시민단체를 아우르는 주요 전문가들이 자문과 의견수렴 과정에 참여했다. 이번 국가 인공지능 윤리기준안은 지난해 말 발표된 ‘인공지능 국가전략’ 주요 과제로 제시됐다.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과학적 인본주의자의 길2020.07.30
- 소유권에 대한 논란에서도, 나치의 우생학에 대한 반성에서 출발한 그의 《유전학과 윤리학》에 대한 글에서도 잘 드러난다. 그는 과학적 인본주의자였다. 탁월한 과학행정가의 조건 2014년 중국과학원을 방문한 후베르트 마르클. 중국과학원 제공 그는 오래전부터 과학행정가로서의 정체성을 띈 ...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플라톤의 하늘, 아리스토텔레스의 땅2019.07.25
- 있다. 플라톤이 들고 있는 책은 《티마이오스》이고 아리스토텔레스가 들고 있는 책은 《윤리학》이다. 역시 각자의 관심사를 제대로 반영한 표현이다. 이 그림에 등장하는 다른 철학자들도 이런 식으로 표현돼 있다. '아테네 학당'에 등장하는 플라톤과 소크라테스. 위키미디어 제공 라파엘로의 ... ...
- [과학게시판] 노벨과학에세이대회 수상자 발표外동아사이언스 l2018.10.24
- '4차 산업혁명시대, 신기술과 과학기술자 윤리' 포럼을 연다. 권헌영 한국인터넷윤리학회장, 심우민 경인교대 교수, 도승연 광운대 교수 등이 인공지능(AI)과 자율주행차 등 신기술의 연구와 활용을 둘러싼 윤리 문제를 진단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달 25일부터 11월 29일까지 ... ...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