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찌그러뜨림
뒤틀기
비틀림
왜곡 보도
곡해
스페셜
"
왜곡
"(으)로 총 154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어차피 저 사람과는 안돼"…부정 결론 서두르는 이유
2025.04.05
이번에도 잘 할 수 있을 거라는 희망과 자신감을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 하지만 기억을
왜곡
하면 발표를 수백 번 잘 해도 이런 자신감이 형성되지 않는다. 좋은 경험을 근거로 탄탄한 자신감을 쌓아올리는 것이 가능한데 그런 과정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러다 보면 늘 쓸데없이 비관적이고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의대 편입 확대는 이공계 죽이기…화해·공존의 길 찾아야
2025.03.26
있는 것을 절대 잊지 말아야 한다. 보건복지부가 상급종합병원의 정체성을 심각하게
왜곡
시키고 있는 것도 심각한 문제다. 대부분 의대 부속으로 운영되는 상급종합병원의 일차적인 사회적 책무는 의대를 졸업하고 의사면허를 받은 '일반의'를 고강도의 수련을 통해 '전문의'로 길러내는 것이다.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깊은 불황 늪에 빠진 석유화학 산업
2024.12.11
사실상 화학물질의 유해성·위해성을 앞세운 '화학산업 퇴출법'이었다. 경제성에 대한
왜곡
된 인식도 화학산업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증폭시켰다. 우리나라 화학산업의 출발을 가능하게 해주었던 '요소'의 생산을 2012년부터 전면 중단해 버린 것이 대표적인 사례다. 값싼 중국산 요소가 등장하면서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내년 3월 도입 AI디지털교과서, 미완성 기술에 교육 맡기나
2024.11.20
있는 현실에서는 어쩔 수 없는 일이다. 자칫하면 복잡한 과학적 사실을 임의로
왜곡
해버릴 수도 있다. 물론 교사도 잘못된 지식을 가르칠 수 있다. 그러나 AI 디지털 교과서는 오류의 확산 속도와 범위가 걷잡을 수 없이 증폭될 수 있어서 더욱 경계해야 한다. 환각은 생성형 인공지능이 어쩌다 ... ...
[이덕환의 과학세상] AI가 집어삼킨 노벨상…식어가는 관심
2024.10.23
사람이 전쟁으로 죽는데 상이 무슨 의미인지 모르겠다"는 한강 작가의 솔직한 인식을
왜곡
할 이유는 없다. 우리가 세계적으로 문학성을 인정받는 문인(文人)을 배출한 것은 우리 모두에게 자랑스러운 일이다. 그렇다고 우리의 문학이 갑자기 세계적 수준으로 격상된 것은 아니다. 노벨 문학상으로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국어'보다 '영어'에 더 정성인 사회
2024.06.19
비교할 수 있도록 해준다는 '표준변환점수'는 비현실적인 통계학의 논리를 극단적으로
왜곡
한 억지에 지나지 않는 것이다. 현재 교육부가 심각한 문제로 지적하고 있는 '이과생의 문과 침공'도 사실 불합리한 표준변환점수 때문에 등장한 것이다. 상위권 학생들이 확률과통계보다 미적분에서 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신생아가 세상을 흑백으로 보는 이유
2024.06.12
이미지에서는 식별 능력이 뚝 떨어진다. 색 정보에 지나치게 의존하게 시지각 회로가
왜곡
된 결과다. 사이언스 제공 연구자들은 백내장 수술을 한 청소년을 대상으로 이 가설을 시험해보고 싶었지만 비윤리적인 행위이고 만에 하나 결과가 더 나쁘다면 프로젝트가 휘청거릴 수도 있다. 그래서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연금개혁·의대증원 '과학적 근거'에서 '과학'은 어디?
2024.04.24
정원 감축의 이유였다. 만약 당시에 의대 정원을 줄이지 않았더라면 수련병원의 인력
왜곡
은 지금보다 훨씬 더 심각해졌을 수밖에 없다. 2020년의 공공의대 설립이 무산된 이유도 정확하게 밝혀야 한다. 코로나19 팬데믹이 시작되고 있던 당시 공공의대 논란의 핵심은 400명 증원이 아니었다. 오히려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지나치게 파격적인 의대 증원
2024.02.14
이상 교수도 하고 아주 좋은 의료를 하고 있다”는 박민수 제2차관의 발언은 심각한 역사
왜곡
이다. 1981년에 전두환 국보위 상임위원장이 과외·본고사 금지와 함께 밀어붙였던 졸업정원제에서 모든 대학·전공의 정원이 일률적으로 30% 늘어난 것은 아니었다. 서울대 법대의 입학정원은 무려 36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거절에 대한 두려움이 큰 사람들
2024.02.10
관심과 사랑을 곧이곧대로 받아들이지 못한다. 그러니까 타인이 보답을 해와도 이를
왜곡
해서 받아들이는 바람에 보답의 효과를 보지 못한다. 정리하면 거절에 대한 두려움이 클수록 과하게 애쓰는 바람에 그만큼 보답받지 못하거나 보답을 받아도 그걸 받아들이지 못해 서운함만 커진다는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