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낚시터
양식장
전용어장
전용
스페셜
"
어장
"(으)로 총 7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나이 든 동물은 생태계 지킴이
2025.01.22
자손을 낳을 생물량을 유지하는 선에서 어획량을 정했다. 이런 조치에도 세계 곳곳에서
어장
이 붕괴했고 그 원인을 밝히는 과정에서 놀라운 사실이 밝혀졌다. 많은 어류는 나이가 들어 덩치가 커지면서 비례해서가 아니라 그 이상으로 번식력이 커진다는 사실이다. 게다가 어류 역시 나이 든 ... ...
[프리미엄리포트]쓰레기 묻으면 100t 태우면 15t
과학동아
l
2021.06.27
어획량이 감소하는 등의 피해가 발생한 사실이 증명됐으므로, 오염물질 배출과 이 사건
어장
에 발생한 해양생태계 악화 및 어획량 감소의 피해 사이에 인과관계가 증명됐다고 판단한다”고 밝혔다.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도 침출수 배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는 등 대책 ... ...
[프리미엄 리포트]전 세계 바다가 비어가고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06.05
잡을 수 있는 물고기의 크기와 최대로 잡을 수 있는 어획량을 정합니다. 이를 지키면
어장
의 개체 수를 회복할 수 있습니다. 해양수산부는 물론, 세계 여러 나라가 ‘총허용어획량’ 제도를 통해 남획을 막으려 시도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해양 보호를 연구하는 학자들은 어획량을 제한하고 해양 ... ...
[프리미엄리포트]한반도 에너지 문제 해결 대안으로 떠오른 해상풍력발전
과학동아
l
2020.02.01
2005년부터 2015년 4월 착공까지 꼬박 10년이 걸렸다. 어민들은 해상풍력발전기 때문에
어장
이 사라질 수 있다고 우려했고, 제주 바다를 찾아오는 남방큰돌고래와 같은 어족자원이 감소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해상풍력을 개발할 때 가장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요소는 바람의 상태를 의미하는 ... ...
신규원전으로 돌아보는 원전지역 특산물 (2) 영광 법성포 굴비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11.06
1980년대부터 조기는 칠산보다도 남쪽인 추자도 인근에 머물러서 이 곳이 조기의 주요
어장
이 됐다. 법성포 굴비는 법성포에서 잡힌 조기로 만든 것은 아닌 셈이다. 추자도는 이를 근거로 자체 굴비 브랜드를 만들어서 ‘추자도 굴비’를 본격적으로 홍보하고 있다. 조기의 출신지가 달라지기는 ... ...
배에 실려 온 외래생물종의 습격!
KISTI
l
2014.06.05
생물의 침입은 전 세계 해양 환경을 위협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다. 토착 생태계 변화,
어장
의 고갈, 병원균 전염과 같은 수많은 생태 문제는 물론 인체 독성 유발 등의 건강상 문제까지 유발한다. 우리나라의 주요 항구가 있는 연안 해역을 대상으로 외래 생물종에 대한 실태 조사를 벌인 결과 ... ...
동해연구소, 미래를 꿈꾸다! 2부
KIMST
l
2013.05.09
원이던 냉수성 어종인 명태는 거의 사라졌다. 동해에서는 온 수성 어종인 오징어의
어장
위치가 변동되며 일년 내내 잡힐 정도다. 또한 고래상어, 붉은바다거북, 보라문어 등 아열대성 생물의 출현빈도도 증가하고 있다. 아열대성 생물의 출현빈도가 높아지는 동해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