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안전
스페셜
"
안보
"(으)로 총 39건 검색되었습니다.
KINAC 설립 10주년으로 돌아보는 우리나라 원자력 통제의 역사
동아사이언스
l
2016.08.12
국·내외를 막론하고 최선의 노력을 기울여 온 KINAC이 가까운 미래에 국제 핵비확산․핵
안보
선도기관으로 전 세계에 우뚝 설 그날을 기대해 본다. * 본 기사는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의 핵비확산뉴스(http://kinac.re.kr)에서 발췌한 ... ...
핵물질 사찰도 우리 기술로
동아사이언스
l
2016.03.29
성과도 매우 높아질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또한, 원자력 선진국 그리고 핵비확산 및 핵
안보
모범국으로서 우리나라의 국가 위상 제고에 크게 이바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 본 기사는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의 핵비확산뉴스(http://kinac.re.kr)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 ...
가정용 연료전지 보급의 성공 사례
2016.02.24
신축주택에 구매옵션으로 포함시켰다.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자가발전과 에너지
안보
에 대한 인식이 높아진 소비자들은 적극적으로 에너팜을 구매했고, 가스회사는 연료전지 전용 요금체계를 도입해 에너팜 사용자들에게 적용시켰다. 이런 일련의 과정에서 일본 정부는 주로 민간에서 하기 ... ...
영화 속 스파이가 실제 원자력 시설에 침투할 수 있을까?
2015.12.22
있다. 바로 원자력안전위원회(NSSC) 산하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KINAC)에서 운영하는 핵
안보
교육·시험시설(SETT, Nuclear Security Training Research and Test facility)이 바로 그것이다. SETT는 체험형 교육을 위한 훈련시설과 첨단 시험장비를 갖춘 약 23,000㎡ 규모의 대형 시험·연구시설이다. 공항만 방사선 검색 ... ...
선진국의 원전 현황과 신규원전 (2)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11.20
원전 기술을 국산화하고 설계와 건설, 운영을 자국의 산업계에서 소화 가능하다면 굳이
안보
위험을 감수하면서 해외 기업에 의존할 필요가 없다. 마찰이 생길 여지가 애초에 사라지는 셈이다. 원전을 전략 산업으로 분류하여 보안에 만전을 기하고, 국내에서 원전 기술 국산화에 힘을 쏟는 이유도 ... ...
세계는 지금 신규원전 건설 붐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11.20
대부분을 러시아에서 수입하는 등 러시아에 대한 에너지 의존도가 높다. 때문에 에너지
안보
와 자국의 높은 환경규제를 고려한 대안으로 원전을 꼽고 있다. 특히 후쿠시마 사태 이전과 후의 원전건설 계획에 변화가 없다는 점이 특징이다. 체코는 최근 러시아 가스공급 정책 등 가스 도입 ... ...
유럽연합, 해양과학분야 연구성과보고서 발간
2015.11.12
European Commission)는 CFP(Common Fisheries Policy) 프로그램을 통해 양식업의 지속적인 성장과 식량
안보
문제 해결, 고용창출 등의 미션을 달성하고자 계획하고 있다. 두 번째로 주목 받는 분야는 바로 해양관광이다. 해양 분야의 전체 경제활동에서 관광은 3분의 1 이상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활동으로 ... ...
세계는 지금 신규원전 건설 붐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11.06
대부분을 러시아에서 수입하는 등 러시아에 대한 에너지 의존도가 높다. 때문에 에너지
안보
와 자국의 높은 환경규제를 고려한 대안으로 원전을 꼽고 있다. 특히 후쿠시마 사태 이전과 후의 원전건설 계획에 변화가 없다는 점이 특징이다. 체코는 최근 러시아 가스공급 정책 등 가스 도입 ... ...
신규 원전 건설 등 원자력발전의 세계 진행 상황은?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11.06
개국에서 약 60기의 원전이 발주될 것으로 집계됐다. 주변국 반대에도 불구하고 에너지
안보
에 따라 원전을 추진하는 국가도 있다. 체코는 최근 러시아 가스공급 정책 등 가스 도입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2035년까지 기존 노후 원전을 대체할 원전 3기의 신규 건설 의지를 보이고 있다. 선진국도 ... ...
“통일전력협력에 관한 감동적 정책설계에 일조할 것”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11.04
누가 전기요금을 부담할지 하는 것이다. 남북한 전력협력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에너지
안보
이다. 남한에서 보낸 전력의 투명한 사용과 송전망에 문제가 생겼을 때의 대응 문제가 중요하다. 전기는 수급이 실시간적으로 맞아야 하기 때문에 잘못하면 평화를 위한 수단이 평화를 깨는 방편이 될 수도 ... ...
1
2
3
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