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애비
아비규환
규환
장물아비
장물
아버지
스페셜
"
아비
"(으)로 총 30건 검색되었습니다.
빅뱅 3억년 뒤 135억 광년 밖서 가장 먼 은하 후보 관측
연합뉴스
l
2022.04.08
은 웹망원경의 첫해 관측 목록에 이미 포함된 상태다. 논문 공동저자인 하버드대학의
아비
로브 교수는 "HD1은 초기 우주 분만실의 큰 아기를 대표하는 것일 수 있다"고 했다. ... ...
'선원 없는 화물선' 시대 열렸다...일본서 첫 운항
동아사이언스
l
2022.02.21
일부 소형 선박에 적용할 정도로 기술력이 올라왔다. 국내에선 현대중공업의 자회사
아비
커스가 지난해 6월 처음으로 12인승 크루즈선의 완전자율운항에 성공했다. 하지만 일본이 선보인 컨테이선처럼 대형 선박은 아직 기술개발이 더디다. 여동진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 ...
레저용 요트에도, 컨테이너 실은 LNG선에도 ‘AI 선장’이 뜬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09
6단계로 나뉜다. 이에 비해 자율운항 기술은 국제해사기구(IMO)가 정한 4단계로 분류한다.
아비
커스의 AI 선장은 자율운항 2단계에 해당한다. 1단계는 사람의 보조 역할에 머물고, 2단계에서 처음으로 AI 선장이 원격 제어를 한다. 3단계에서는 사람의 개입이 최소화되고, 최고 수준인 4단계가 되면 사람 ... ...
미생물이 플라스틱 만드는 과정 처음 관찰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27
통해 연구팀은 PHA의 한 종류인 폴리하이드록시부티네이트(PHB)를 만드는 미생물 ‘쿠프리
아비
두스 네카로트’와 이 미생물의 PHB 합성 대사회로 유전자를 가지도록 재조합한 대장균을 분석했다. 3차원 홀로그래픽 현미경 기술은 여러 각도로 레이저를 쏘아 산란된 빛을 관찰해 굴절률을 관측하고 ... ...
[팩트체크]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식욕 늘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23
식욕 간의 상관관계를 언급하지 않고 있다. 관련된 과학적 증거가 없기 때문이다.
아비
솔라 올루에이드 미국 샌디에이고 샤프헬스케어 전문의는 미국 매체 ‘리파이너리29’에 “사람마다 가진 면역 시스템이 다르기 때문에 모두가 동일한 부작용을 느끼진 않는다”면서 “식욕 감퇴나 증진이 ... ...
[인간 행동의 진화] 아빠의 진화
2021.04.18
‘그 집 자식’에게 먹을 것을 주면, ‘그 집
아비
’도 ‘우리 집 자식’에게 먹을 것을 줄 것이라고 예상하기 때문이다. 아버지가 없으면 이러한 ‘보험’ 성격의 복수 식량 공급 네트워크에서 소외당하기 때문에 굶는 날이 많아진다. 아버지가 없으면 ... ...
'5인 이상 집합금지' 2.5단계 거리두기보다 더 효과 크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26
기술인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전파 현상 개인 시뮬레이션 툴킷’과 KIST 자체 슈퍼컴퓨터
아비
니트를 이용해 지난해 코로나19가 국내에 상륙한 이후부터 확산 양상을 분석해 왔다. 개인이 코로나19 환자에 노출되고 감염된 후 다시 이를 전파하는 상황을 시뮬레이션하는 것이다. 지난 3월에는 사회적 ... ...
6600만년 전 공룡 멸종시킨 소행성은 태양계 가장 먼 곳에서 날아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15
최외곽에서 목성과 태양의 중력의 영향을 받아 지구까지 날아왔다는 분석이 나왔다.
아비
로엡 미국 하버드대 천체물리학부 교수 연구팀은 멕시코에 떨어져 지름 150km, 깊이 약 20km의 ‘칙술루브 충돌구’를 만든 거대 소행성이 과거 이론과 달리 해왕성 바깥 태양계 최외곽에 분포한 소행성대인 ... ...
日
아비
간 코로나치료 승인 먹구름…당국 "유효성 판단 곤란"
연합뉴스
l
2020.12.17
전문가 회의에서 결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일본 정부는 자국 기업이 개발한
아비
간의 실용화를 앞당기기 위해 앞서 승인 신청에 관한 특례 조치를 마련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졸속 심사로 부작용을 낳을 수 있다는 우려를 표명했다. ... ...
코로나19 사태 10개월...과학이 밝힌 모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0.10.14
끼어들어가 작동을 멈추게 하는 원리를 사용한다. 일본이 개발한 항바이러스제
아비
간(파비피라비르) 역시 이 방법을 사용한다. 또다른 표적 효소는 바이러스 증식 초기에 바이러스가 게놈을 이용해 자신이 필요로 하는 단백질을 만들 때 관여하는 단백질 분해효소(Mpro 또는 3PL)다. 이들을 막는 ... ...
1
2
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