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거류지
조계
이민
이주자
이주지
스페셜
"
식민지
"(으)로 총 6건 검색되었습니다.
해양생물도 자원이다
동아사이언스
l
2015.11.12
일본은 해양생물자원 확보를 위해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이에 비해 우리나라는
식민지
와 전쟁의 아픈 경험으로 자체적인 생물자원 데이터를 수집하기 어려웠던 탓에 생물자원확보 경쟁에서 불리한 입장에 있다. 하지만 다행히 우리 정부에서도 해양생물자원의 중요성을 파악하고 2006년 ... ...
세계에서 가장 큰 섬 그린란드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10.23
희토류 채굴이 금지됐었다. 그린란드는 지리적으로 북아메리카에 가깝지만 덴마크의
식민지
였다. 그런데 최근 지구온난화로 얼음 속에 묻혔던 천연자원 채굴이 쉬워지면서 2009년 덴마크로부터 독립을 선언했다. 하지만 외교와 국방은 계속 덴마크가 맡고 있다. 지구온난화의 최전선 그린란드 ... ...
[기술이 바꾼 미래] 윌리엄 톰슨-대륙을 단일 공간으로 묶은 해저 케이블
동아사이언스
l
2014.11.24
전신망으로 연결되었다. 1854년 영국의 기술자 기즈번(Frederic N. Gisborne, 1824~1892)은 영국
식민지
였던 북미 뉴펀들랜드 섬에서 미국 뉴욕까지 케이블을 설치하여 전신망을 연결하면 큰 사업성이 있다고 판단했다. 그때까지는 대륙과의 연락을 하려면 바다를 천천히 항해하여 건너오는 배에 전적으로 ... ...
[이달의 역사]대항해 시대를 연 캡틴 쿡의 일생
KISTI
l
2014.05.14
되었고 바크선(Bark船, 범선)의 선장이 됐다. 이후 약 10여 년 동안 영국 해협과 북아메리카
식민지
등지에서 지도 측량을 하면서 지도 제작법을 배운 것이 그로 하여금 과학사의 중요한 인물로 기록되는 단초가 됐다. ■ 세 차례에 걸친 항해 쿡은 세 번에 걸쳐 중요한 탐험을 수행했다. 1차 항해는 ... ...
전통에서 발견하고 현재가 완성한 난방기술
KOITA
l
2013.12.10
소식이라도 들리면 당장 철거 반대 운동이 일어날 정도다. 라이트가 당시 일본의
식민지
에 불과했던 조선의 건축양식은 어떻게 접했을까? 그는 동아시아, 특히 일본의 건축에 관심이 많았다. 자연히 라이트는 당시 열강이던 일본을 자주 방문하며 건축양식을 연구하기도 하고, 일본인들의 요청으로 ... ...
시간과 공간의 관념을 바꾸어 놓은 무선통신
KOITA
l
2013.09.10
운영하던 영국에게는 특히 그러했다. 먼 바다를 건너서까지 무선통신이 가능하다면
식민지
와 본국은 물론, 시시각각으로 위치가 바뀌는 함대들끼리도 더욱 긴밀하게 연결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시험해보는 무대가 바로 1900년 시작된 영국과 미국간의 무선통신 실험이었다. 그리고 이는 기존의 ... ...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