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수조"(으)로 총 11건 검색되었습니다.
- 일본 친환경 선박용 LNG 연료전지의 연구현장에 가다동아사이언스 l2016.03.04
- 할 수 있다. 일본 해양기술안전연구소(NMRI)가 자랑하는 선박 시험시설인 400m 시험수조. - NMRI 제공 LNG를 수소로 개질해 선박에 활용한다 연구그룹은 선박용 연료전지의 가장 이상적인 방식으로 LNG를 이용해 수소를 만들어 내는 방식을 꼽았다. LNG를 연료로 사용하는 경우, 수소를 추출하기 위해 ... ...
- 똑똑한 온실을 넘어 지속가능한 농업으로동아사이언스 l2016.02.26
- 낸 질소 노폐물을 농작물의 비료로 사용하고, 농작물이 광합성으로 만들어 낸 산소를 수조에 공급해 농경과 양식에 따른 공해를 줄일 수도 있다. “농장 빌딩은 중간 단계예요. 장기적으로는 유통과정이나 산업단지와의 연계도 고려하고 있습니다. 프리바가 강조하는 것은 농업의 지속가능한 ... ...
- 국산 수중건설로봇 ‘복합 실증센터’ 착공으로 연구개발 가속화 동아사이언스 l2015.11.12
- 수조는 길이 35m, 너비 20m, 수심 9.6m의 3차원 수조와 길이 20m, 폭 5m, 수심 6.2m의 회류수조가 구축되며 수중 환경 재현을 위한 최대유속 3knots의 조류발생장치 및 대형 수중건설로봇(장비) 투입·회수를 위한 30ton 호이스트, 작업대차, 수중 구조물 등이 설치된다. 그림 2. 수중건설로봇 복합 실증센터 ... ...
- 국제 해양과학기술 연구 및 교육·훈련의 중추적 연구기관으로 성장 동아사이언스 l2015.11.12
- 산업화를 촉진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온실 내부에 설치된 미생물조류배양수조. 미세조류는 바이오연료 및 기능성 원료로 사용되는 기관의 중요한 연구 재료다. 제주국제해양과학연구·지원센터에서는 기후변화 및 해양환경변화를 관리하고 대응하기 위해 제주 및 한반도 ... ...
- 세계 첫 사용후핵연료 영구 처분시설 ‘온칼로’ 2화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09.25
- 발전소 내에 사용후핵연료를 둘 곳이 없어지고 만다. 각 발전소별로 사용후핵연료 저장수조를 확장할 계획을 추진하고 있으나 이렇게 해도 포화되기 시작하는 시점을 2024년으로 늦출 뿐이다. 온칼로의 준비기간을 고려해보면 시간이 없다. 우리나라 뿐 아니라 현재 원전을 가동중인 나라에게는 ... ...
- [사용후핵연료 권고안 ①] 사용후핵연료 권고안, 어떻게 탄생했나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07.22
- 내 저장(건식 및 습식) 시설에 안전하게 저장 관리되고 있지만 사용후핵연료를 저장하는 수조가 수년 내에 포화 상태에 이를 것이라는 분석이다. 원자력업계 전문가들은 저장 방법을 개선하거나 저장 시설을 확충하더라도 2024년 한빛원전을 시작으로 포화가 불가피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 ...
- 월성 1호기, 재운전을 결정하기까지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04.13
- 밖으로 방출해야 하므로 사고 시 격납용기에서 방사성물질이 유출되지 않으려면 수조에 별도의 문을 설치해야 한다. 이와 함께 원자로 내 증기발생기에서 작은 관들이 파열될 경우 방사성 물질이 발전기 쪽으로 가지 않도록 주 증기 격리밸브(MSIV)도 설치해야 한다. 1월 15일, 원안위에 제출된 ... ...
- [법성포에서 원자력을 만나다2] 에너지로 키워 낸 한반도의 물고기들, 한빛 에너지 아쿠아리움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04.10
- 온배수라는 것. 발전소에서 냉각용으로 사용한 온배수의 일부를 받아 전시수조에 공급한다. 당연히 온배수에 방사성 물질이 없으니 가능한 일이다. 오히려 수온이 높아 양식이나 사육에는 보통의 바닷물보다 유용하다고 하니, 이름 그대로 ‘에너지’의 선물인 셈이다. * 본 기사는 ... ...
- [Green Focus]‘3세대 바이오매스’ 미세조류가 뜬다동아사이언스 l2014.10.14
- 반투과막 광생물배양기를 개발해 2008년 특허를 냈는데, 이 기술은 육상에서처럼 대형 수조나 별도의 먹이가 필요치 않아 비용이 대폭 절감된다. 반투과막 배양기를 바닷물에 띄워 이 속에서 미세조류를 배양하면, 미세조류가 물속의 영양염류를 먹으며 자라는데, 막 안팎의 농도차에 의해 ... ...
- 수중건설의 신기원, 국산 로봇이 연다동아사이언스 l2014.04.21
- 설치되고 해저면의 형상에 변화를 줄 수 있다”고 말했다. 민간기업, 매칭 펀드로 참여 수조를 비롯해, 운용 지원 시설, 로봇을 조립하고 유지·보수하는 건물 등의 인프라는 경북도와 포항시가 중심이 돼 마련하게 된다. 경북도와 포항시는 170억 원을 들여 포항시 남구 신항만 배후단지 일대에 ... ...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