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용력
스페셜
"
수용능력
"(으)로 총 11건 검색되었습니다.
KINAC 설립 10주년으로 돌아보는 우리나라 원자력 통제의 역사
동아사이언스
l
2016.08.12
2006년 설립된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KINAC)은 현재 우리나라의 원자력규제를 총괄하는 원자력안전위원회(NSSC) 산하 출연연구기관으로 관계 법령에 근거하여 NSSC로부터 위탁받은 업무인 핵비확산 및 핵안보 관련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원자력 안전조치 및 수출입통제, 사이버보안을 포함 ... ...
정신장애에 대한 오해와 진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6.07.13
*본 콘텐츠는 과학기술인공제회에서 발행한 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육체적으로 퇴화되어 있는 자나 정신적으로 병이 든 자로부터 생식 능력을 제거하는 일은 건강회복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우리의 육체적, 정신적인 퇴폐의 싹이 완전히 제거된 인종이 생길 것이 ... ...
산∙학∙연∙관 R&D 인력 통합 교육체계 완성을 향해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5.12.29
*본 콘텐츠는 과학기술인공제회에서 발행한 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과학기술인들의 교육을 책임지고 있는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이하 KIRD)'이 최근 충북 오창에 새둥지를 틀고 '사람이 힘'이라는 가치 실현을 위한 제2의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전문적인 R&D 전주기 교 ... ...
국민의 신뢰가 원자력의 안전한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5.12.29
*본 콘텐츠는 과학기술인공제회에서 발행한 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규제기관도 국민의 자식입니다. 잘못하면 호되게 야단쳐서 고쳐야 하지만 작은 잘못은 스스로 고쳐 나갈 수 있도록 믿어주고 키워줘야 합니다." 원자력의 안전을 책임지는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이하 ... ...
생명연장 꿈 이뤄주는 힘센 난쟁이
IBS
l
2015.12.28
과학기술이 발달하면서 인류는 점점 더 작은 세계로 진출할 수 있게 됐다. 그리고 이제는 원자 수준에서 물질의 기존 성질을 변형하고 새로운 기능을 창출하기에 이르렀다. 초미립자의 영역, 나노 기술이다. 나노 기술은 100 나노미터(nm) 이하 수준의 원자나 분자를 조작하고 제어해 물질의 구조나 ... ...
북태평양 연구프론티어의 플랫폼, PICES
2015.12.17
PICES의 로고 북태평양해양과학기구(PICES: North Pacific Marine Science Organization)는 북태평양 해역의 해양과학연구를 촉진하고 국가간 협력을 도모하기 위해 설립된 정부간 국제기구 다. PICES라는 별칭은 1902년에 북대서양 연안지역 국가로 설립된 정부간 해양연구기 구인 ICES(International Council for the Exploration ... ...
개코보다 코끼리 코!
KISTI
l
2015.08.18
현존하는 지상 최대의 동물인 코끼리는 이름처럼 코가 가장 긴 동물이다. 코라고 부르지만, 사실 윗입술과 코가 합쳐진 기관이다. 무려 15만 개의 근육으로 이뤄져 있어서 수백kg 이상을 들어 올릴 수 있다. 인터넷에는 성난 코끼리가 코로 나뭇가지를 잡고 흔들거나 던져서 사나운 맹수를 퇴치하 ... ...
원전, 사람들 속에서 함께 소통해야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6.30
1948년 5월 14일, 한반도의 발전시설 대부분을 갖고 있던 북한이 남쪽으로 송전하는 전력을 일방적으로 공급 중단했다. 그로부터 반 세기가 조금 넘게 지난 지금, 대한민국은 막대한 양의 전력을 자급하는 데 성공했다. 그리고 그 기반 중 하나가 바로 원자력이었다. 그러나 한국의 원자력은 다양한 ... ...
[신재생에너지 기획⑤] 국가 에너지 안보와 풍력에너지의 중요성
동아사이언스
l
2014.08.18
아톰스토리에서는 신재생에너지의 최신 흐름을 알아보고 ‘에너지안보’ 관점에서 국내 자력생산이 가능한 신재생에너지원을 살펴보기 위해 [신재생에너지] 기획을 마련했습니다. 총 10편으로 구성된 이번 기획을 통해 에너지원의 다변화 가능성을 알아봅니다. 21세기에 들어서면서 석유의 부 ... ...
새로운 혁신 패러다임: 사용자 주도형 혁신의 도래
KOITA
l
2013.07.02
탈 추격형 혁신을 위해서는 공급자 중심의 혁신에서 사용자 주도형 혁신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이에 대한 가장 대표적인 예가 리빙 랩(Living Lab)이라고 할 수 있다. 리빙 랩은 사용자들이 기술을 대하는 행동을 실시간으로 생활공간에서 파악하고 사용자들이 혁신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대표 ... ...
1
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