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속담
격언
속어
스페셜
"
속설
"(으)로 총 27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덕환의 과학세상] ‘음력설’은 중국에만 있는 것이 아니다
2024.01.03
정해진다는 인식은 24절기를 표시한 ‘책력’(冊曆)을 사용하던 시절에 시작된 잘못된
속설
에서 비롯된 것이다. 회회력에 태양의 공전주기인 365일을 반영하려면 어쩔 수 없이 적절하게 ‘윤달’을 배치해야만 한다. 19년에 7번의 윤달을 끼워 넣는 일은 간단치 않았다. 고도의 천문관측 기술이 ... ...
[일상속 뇌과학] 젊은 피 수혈받으면 회춘할 수 있을까
2023.01.27
제공 피에 대한
속설
은 역사가 오래됐다. 원시 인류는 피를 많이 흘리면 죽어가는 동료와 주변 동물을 보면서 피 속에 생명력이 있다고 생각하기 시작했을 것이다. 피에 대한 인류의 생각을 엿볼 수 있는 오래된 기록은 성경에서 피를 마시지 못하게 하는 계율을 기록하거나 최후의 만찬 동안 예수가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코로나 백신 여러번 맞아야 하는 이유
2022.11.22
수 있을지를 고민하던 에드워드 제너가 소를 키우고, 우유를 짜는 일을 하던 농부들이
속설
로 전해 오던 “한 번 우두에 걸린 사람은 평생 두창에 걸리지 않는다”는 말에 귀를 기울인 것이 역사를 바꾼 대발견의 실마리가 되었다. 소에게서 발생하는 우두와 사람에게서 발생하는 두창은 같은 병이 ... ...
게임도 과학입니다만
과학동아
l
2022.06.04
이중엔 반쪽만 사실인 것도 있었다. ‘프로 선수들은 팔을 많이 움직인다’는
속설
은 맞았지만, 팔을 움직여야만 게임을 잘할 수 있는 건 아니었다. 프로 선수들이 팔을 많이 움직이는 이유는 선수들이 마우스 감도를 매우 낮추고 쓰기 때문이었다. doi: 10.1145/3411764.3445217 이 교수는 “아직 e스포츠를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몹시 힘겨운 일상회복의 길
2021.12.08
새로운 변이의 ‘전파력은 커지고, 독성은 약해진다’는 주장은 근거를 찾기 어려운
속설
일 뿐이다. 오미크론이 코로나 종식을 뜻하는 ‘크리스마스 선물’이라는 인식은 매우 위험한 것이다. 마지막까지 긴장의 끈을 절대 놓아서는 안 된다. 그런 변이가 보건위생 환경에 열악한 후진국에서만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휘어지는 빛
2021.06.11
주에서 일행들과 함께 일식을 볼 수 있었다. 개기일식은 약 1분30초 정도 진행됐었다.
속설
과 마찬가지로 일식은 내 인생에서 정말 오랫동안 잊히지 않을 경험이었다. 달이 태양을 가리기 시작하면 정말 주위가 밤처럼 어두워지고 스산한 바람마저 불어든다. 아인슈타인은 일식을 이용해 새로운 ... ...
[인간 행동의 진화]왕이 될 상은 따로 있을까
2020.11.08
확립되었다. 관상 연구의 미래 링컨의 말처럼 얼굴과 성격은 서로 관련된다는
속설
이 많다. 우리는 매일매일 상대의 얼굴을 평가하고, 그 사람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점친다’. 물론 얼굴만 보고 판단하는 것은 아니지만, 상대와 거래할지 사귈지 심지어 결혼할지 결정할 때도 외모는 ... ...
하루 한 잔 술은 건강에 좋다고요?…"아닙니다"
연합뉴스
l
2020.09.28
부족하다는 결과가 우세하다. 이번 연구 역시 '하루 한 잔 가벼운 술은 건강에 좋다'는
속설
을 반박한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더욱이 술을 마시지 않다가 하루 2잔 이상의 술을 마시기 시작한 사람은 교통사고 등 외부 요인에 의해 사망할 위험이 비음주 유지군보다 2.06배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 ...
[인류와 질병] 자연이 인간 면역계에 좋은 과학적인 이유
2020.01.18
더 강하다. 해초를 잘 먹는 민족 김을 소화시킬 수 있는 민족은 일본인밖에 없다는
속설
이 있다. 진위가 좀 의심스러운데, 한국인이나 중국인도 김과 해초를 잘 먹기 때문이다. 그러나 해조류를 잘 소화하는 능력은 민족에 따라 조금 다른 것으로 보인다. 서양인은 해조류를 잘 먹지 않는다. ... ...
[인류와 질병] 오래된 감염
2020.01.11
어린 시절에 적당히 감염되어야 어른이 되어 건강하다는
속설
이 있다. 하지만 감염되어도 죽지 않고 살아남아야 성인이 될 수 있으니, 원인과 결과가 반대로 된 설명이다. 연구에 의하면 어린 시절에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오히려 알레르기가 촉발되기도 한다. 연충 ... ...
1
2
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