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살균
멸균
방부
약물소독
약물
스페셜
"
소독
"(으)로 총 289건 검색되었습니다.
[헬스토크] '아차' 순간 발생하는 소아 화상…"흐르는 물에 충분히 노출시켜야"
동아사이언스
l
2025.04.27
사타구니, 허벅지로 이어지는 넓은 부위의 화상이 많다. 이 경우 매일 화상 부위를
소독
해야 하는 만큼, 협조가 어려운 환아의 경우 치료가 매우 까다로울 수 있다. 화상 시 첫 번째 응급처치는 흐르는 물에 화상 부위를 충분히 노출시켜 식히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통증을 완화하고 피부 온도를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수술 후 합병증 치료에 공헌한 선구자 '파레'
2024.03.31
(https://www.dongascience.com/news.php?idx=64017 참조) 1865년에 리스터(Joseph Lister)가 수술실을
소독
하는 방법으로 수술후에 발생하는 합병증을 줄인 것은 수술성공률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위대한 발견이었다. 19세기에 마취제와 무균처리법이 발견되어 수술법을 획기적으로 발견하고 현대의 첨단 수술법이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수술후 합병증 해결 '무균처리법'의 발견
2024.03.03
소독
하기, 수술 시 의사의 손과 모든 수술 기구를
소독
하기, 상처와 접하는 모든 물체를
소독
하기 등을 계속해서 시도하면서 좋은 결과를 얻은 것이다. 리스터의 연구결과를 이용해 본 다른 의료진들은 이차감염을 크게 줄일 수 있었다. 이로써 그의 주장이 차차 받아들여지게 되었다. 리스터는 이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최초 항생제 페니실린 발견은 우연일까
2023.12.17
전파되지 않는다”는 엉뚱한 결론을 도출했다. 1865년에 수술실을 석탄산(페놀)으로
소독
하면 수술후에 발생하는 2차 감염을 예방할 수 있음을 발견한 리스터(Joseph Lister)는 1871년에 곰팡이가 포함된 소변에서 세균이 자라지 못함을 발견했다. 그가 발견한 곰팡이는 Penicillium glaucum였고, 여기서 얻은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미용 성형수술, 전쟁터에서 시작됐다
2023.11.05
화살이나 총에 의한 상처를 치료하는 방법을 터득했고 테레빈유로 상처부위를
소독
하는 방법을 처음으로 기록으로 남겼다. 이는 약 100년 후 “외과의학의 아버지” 파레(Ambrois Paré)가 사용하고 발전시킨 방법이기도 하다. 17세기의 소강상태를 벗어난 성형수술은 18세기 후반부터 발전을 시작했다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도무지 반갑지 않은 빈대의 귀환
2023.10.25
달서구 계명대 기숙사에서 방역업체 관계자들이 빈대(베드버그) 박멸을 위해 방역
소독
을 하고 있다.연합뉴스 제공 역사상 처음으로 이 땅에서 완전히 박멸했다고 믿었던 빈대가 다시 돌아왔다. 40년 만의 일이다. 대구의 대학교 기숙사에서 시작된 빈대의 출몰 소식이 곧바로 인천의 찜질방과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암소와 백신의 탄생…감염병 원인 찾는 여정(2)
2023.09.09
초기에는 제멜바이스의 주장처럼 반대하는 이들도 많았지만 리스터는 굴하지 않고
소독
법을 계속 연구하여 방법을 개선하고 패혈증 발생 빈도를 줄이는데 크게 기여했다. 1840년대에 마취제가 발견되었고 1860년대에는 이차감염을 크게 줄일 수 있는 무균처리법이 개발됨으로써 수술은 크게 발전할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러시아 원정 실패 이유는 '발진티푸스'...나폴레옹의 전쟁(4)
2023.06.27
30년 전쟁 등 여러 전쟁에서 유행하곤 했다. 군대의 이동이 잦았고 집단생활을 하면서도
소독
과 위생에 대한 개념은 없었으니 전파되기에는 아주 유리한 조건이었다. 그러는 가운데 발진티푸스는 역사를 뒤바꿀 만큼 큰 위력을 발휘할 기회를 호심탐탐 노리고 있었다. 모스크바에서 퇴각하는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위험한 실내 분무
소독
당장 중단해야
2023.05.23
위해 착용했던 마스크도 작업자의 보호에 관한 한 무용지물이다. 인체에 해로운 살균‧
소독
성분의 흡입을 완전히 막아주지 못하기 때문이다. 환경부가 벤잘코늄염화물(BKC)라는 4급 암모늄염의 흡입독성 실험의 결과를 떳떳하게 공개하지 않았다는 의혹은 심각한 것이다. 물론 흡입독성에 대한 ... ...
[오늘과학] 지구가 대기오염 물질을 스스로 정화하는 법
동아사이언스
l
2023.04.10
하나씩 결합한 수산기(OH)는 화학적 분해·제거 효과가 뛰어나 대부분의 오염물질 살균·
소독
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대기 중 유독가스인 이산화황과 산화질소, 탄화수소 등 유해 화학 물질을 제거하는 데 도움을 준다. 대기 오염을 개선하기 위해 오염물질의 흡수원으로 활용되는 OH의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