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산하"(으)로 총 42건 검색되었습니다.
- 완벽한 인공지능구현, '기초과학 연구'가 필수동아사이언스 l2017.02.03
- 하루 3끼니를 먹었을 때 만들어내는 열량의 40%를 뇌가 사용하는데, 이를 전기에너지로 환산하면 약 20W에 불과하다. 반면 1000개가 넘는 CPU를 사용하는 인공지능 '알파고'는 엄청난 에너지를 쓴다. 구글 알파고의 경우 1200여 개의 컴퓨터 CPU로 시간당 56kW의 전력을 소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에너지 ... ...
- 성인병의 주범? 콜레스테롤의 오해와 진실2016.12.21
- 중요하다. 콜레스테롤이 많이 든 음식을 먹으면 수치가 증가한다? 미국 보건부 산하 DGAC(미국식사지침자문위원회)는 식품 속의 콜레스테롤에 대한 경고를 폐지했다. 작년 2월 발표된 이 내용은 지난 40년간의 권고를 뒤집는 내용이다. 건강한 성인이 달걀이나 새우, 바닷가재 등 콜레스테롤이 ... ...
- 끈이론의 대가, 삼라만상의 정보에 심취하다동아사이언스 l2016.12.21
- 삼라만상을 연구하되, 생각할 수 있는 사람을 뽑을 것"이라며 "모든 것을 수학적으로 계산하기보다 지금 뭘 보고 있는지에 대한 개념 연구를 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삼라만상이 어떻게 돌아가나?'라는 질문에 답하기 위해서는 수학 계산보다 아이디어가 중요하다"며 ... ...
- KINAC 설립 10주년으로 돌아보는 우리나라 원자력 통제의 역사동아사이언스 l2016.08.12
- 우리나라의 원자력규제를 전문적으로 담당하는 정부기관인 NSSC가 설립되면서 KINAC도 그 산하기관으로 이관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더욱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게 됐다. KINAC이 거둔 대표적인 성과 중 하나가 2012 핵안보정상회의의 개최를 성공적으로 지원한 일이다. 당시 핵안보정상회의의 의제는 크게 ... ...
- 핵물질 사찰도 우리 기술로동아사이언스 l2016.03.29
- 우리나라에서는 원자력규제 업무규제 업무를 총괄하고 있는 원자력안전위원회(NSSC)와 그 산하 기관인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KINAC)에서 관련 장비의 개량에 적극 나서고 있다. 현재 많이 사용되는 장비는 주로 HPGe, NaI(Tl), CZT 방식이다. HPGe 방식 검출기는 고순도 게르마늄(HPGe)을 이용한 검출기로 ... ...
- 원자력 규제도 고객 중심이 가능할까?2016.01.28
- 관심과 우려의 중심에는 우리나라 원자력규제를 전담하는 원자력안전위원회(NSSC)와 그 산하기관인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KINAC)이 있다. 원자력 발전소의 수출은 우리가 아는 일반적인 수출과는 많이 다르다. 원자력 발전소의 수출을 위해서는 수만종 이상의 물품과 기술이 수출되어야 하는데 ... ...
- 일자리는 만드는 것만 중요한 것이 아니다과학기술인공제회 l2016.01.04
-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관련 예산을 위탁받아 집행하는 기관이다.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3대 R&D 전담 기관인 만큼 중소·중견기업에 대한 여러 가지 지원을 펼치고 있는데 그중 산업기술 분야 고용률을 높이기 위한 사업도 중요한 부분이다. 기관의 중장기 전략 목표에도 '일자리 및 신시장 창출'이 ... ...
- 영화 속 스파이가 실제 원자력 시설에 침투할 수 있을까?2015.12.22
- 시스템을 시험하고 관계자들에게 교육하는 시설이 있다. 바로 원자력안전위원회(NSSC) 산하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KINAC)에서 운영하는 핵안보 교육·시험시설(SETT, Nuclear Security Training Research and Test facility)이 바로 그것이다. SETT는 체험형 교육을 위한 훈련시설과 첨단 시험장비를 갖춘 약 23,000㎡ ... ...
- 북태평양 연구프론티어의 플랫폼, PICES2015.12.17
- 진출함으로써 PICES의 리더쉽에 적극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이밖에 한국해양학위원회 산하에 국내 전문가로 구성된 PICES 소위원회(일명 KoPICES)를 운영하여 PICES 관련 주요 이슈 관련 대응 자문과 PICES 관련 연구활동을 강화하고 촉진하는 활동을 하고 있다. * 집행이사회 의장 - 허형택 박사 (전 ... ...
- [KSTAR 그것이 알고 싶다 10] 숫자로 보는 핵융합, "7"2015.12.10
- 분야의 협력을 ‘공동성명’에 포함시켜 발표했고, 1988년에는 국제원자력기구(IAEA) 산하에 ITER 위원회를 구성한다. 미국, EU, 러시아, 일본 등 핵융합 선진국들이 서로의 연구결과를 공유하고 상용화를 앞당기기 위해 국제적인 공동 연구 장치를 건설하기로 합의한 것이다. 하지만 공동개발 사업은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