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본성
천성
실체
성질
정수
진수
근본
스페셜
"
본질
"(으)로 총 181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기대이하 소행성 '베누' 시료…과학에 절제도 필요
2025.02.19
통과할 때 고열로 변형되고 오염도 일어날 수 있어 시료 자체를 믿을 수가 없다는
본질
적인 문제가 있다. 소행성 베누에서 채취해 회수한 시료에 존재하는 아미노산을 분석한 결과 유의미하게 치우친 종류가 없었다. 지구의 단백질을 이루는 아미노산의 호모키랄성(왼손잡이 분자만 존재) 기원을 ... ...
[이덕환의 과학세상] 탄핵에 길 잃은 과학기술·교육·의료개혁
2024.12.18
개인·조직·국가의 생존을 위협하는 재앙으로 작동하는 경우가 훨씬 더 많다. 위기의
본질
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철저하게 대응하는 신중한 자세가 절실하다. ※필자소개 이덕환 서강대 명예교수(화학·과학커뮤니케이션). 2012년 대한화학회 회장을 역임하고 과학기술, 교육, 에너지, 환경,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큰 무대에 서면 몸이 얼어붙는 이유
2024.10.16
거실의 TV 중계 소리를 들은 기억이 난다. 지금 생각하면 우리나라 선수나 한일전 같은 비
본질
적인데 몰입돼 스포츠 자체를 즐기지 못한 게 아닌가 싶다. ● 김연아와 아사다 마오의 차이 그런데 막상 선수들은 어땠을까. 4년 동안 벼르던 그날 수많은 관중 앞에서 홀로 빙판 위에 선 순간 압박감은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윤석열 세대' 의대 2025학번의 암울한 미래
2024.09.11
과학자에게는 모욕적인 것이다. '약탈적 떼도둑'(카르텔)도 모자라서 이제는 과학의
본질
까지 폄하한다는 비난도 가능하다. 아마도 정부가 원하는 것은 '과학적 대안'이 아니라 '합리적 대안'일 것이다. 그러나 의사 단체의 합리적 대안 제시를 차단했던 것이 대통령실과 보건복지부였던 사실을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내적갈등 겪으면 남을 이해하게 된다
2024.09.07
사실 그들에게 주어진 선택지 안에서 고민과 선택을 거쳐 지금의 모습이 되었을 뿐 나와
본질
적으로 다른 존재는 아닐 수 있다는 깨달음을 얻게 되는 것이다. 사람들은 가까이서 보면 서로 다르지만 멀리서 보면 같은 인간으로서의 공통점이 더 많은 것도 같다. 나의 내면과 삶이 복잡한 것 만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젤라틴과 DNA의 차가운 '콜라보', 더위 식힐까
2024.07.10
현상인지 한반도 대기질에 큰 영향을 주는 중국의 노력(책에 잘 나와 있다) 등에 따른
본질
적 변화일지는 지켜볼 일이지만 과거 하천 수질의 변화를 따라갈 것 같은 예감이 든다. 중국의 대기 오염 물질 농도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로 2000년대 초 정점(최악)을 찍은 뒤 급격히 개선되고 있다.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과학자는 '떼도둑', 전공의는 '집단이기주의'로 모는 정부
2024.02.28
나서서 의대 증원을 거부하는 현실을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한다. 의료 개혁의
본질
이 심각하게 변질되어 버렸다. 의료 개혁의 단초였던 ‘응급실 뺑뺑이’와 ‘소아과 오픈런’이 단순히 의사 수의 부족 때문에 발생한 것이라는 정부의 주장은 설득력이 떨어진다. 더욱이 의대 정원 증원이 당장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물리학은 생명을 이해할 수 있을까
2023.11.29
부제를 보니 생명의 기원을 다룬 책인 것 같아 좀 읽어보니 기원을 포함해 생명의
본질
을 논하고 있다. 저자는 미국 애리조나주립대의 이론물리학자 폴 데이비스로 1943년 더블린 강연에서 에르빈 슈뢰딩거가 던진 ‘생명이란 무엇인가?’라는 물음에 대한 대답으로 이 책을 쓴 것으로 보인다. 이 ... ...
[이덕환의 과학세상] R&D예산 삭감과 과학기술 정책의
본질
2023.09.27
한국의 R&D 예산 삭감안과 이에 따른 연구자들의 우려를 집중 보도한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기사. 사이언스 홈페이지 캡처 정부의 국가연구개발 예산 16.6%(5조2000억원) 삭감의 후폭풍이 거세다. 특히 기초연구가 2조4000억원(6.2%)이나 줄고, 25개 출연연 예산도 2조1000억원(10.8%)이나 깎인다는 소식에 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착한 바이러스의 사악한 전략
2023.08.09
쓰이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먼저 기존 대형 제약회사들의 외면으로 파지요법은
본질
적으로 맞춤형 치료이기 때문이다. 감염 부위에서 분리한 박테리아에 맞는 파지를 찾아 치료제로 써야 하므로 번거롭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 상징되는 서구의 신약 승인 시스템도 파지요법 확산의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