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복
스페셜
"
배고픔
"(으)로 총 25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나'를 이해하는 사람과의 관계는 '나의 일부'가 된다
2024.08.17
사람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외로움을 느끼는 정도가 크게 달라진다. 외로움을 '사회적
배고픔
'이라고 보는 시선에 따르면 적어도 우리가 존재론적인 수준에서 갈구하는 관계란 서로 깊이 '이해하는 관계'라는 것이다. 최근 애밀리 오거 캐나다 맥길대 교수의 연구에 따르면 서로 이해하는 관계는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외로움을 해소해야 하는 이유
2024.04.27
것이 좋다. 하지만 안타까운 사실은
배고픔
이 음식을 먹는 행동을 유발하듯 사회적
배고픔
인 외로움 역시 사회적 관계를 탐색하는 행동을 일으켜야 하지만 외로움이 오래되면 자신감이 떨어지고 사람에 대해 불신을 쌓게 되어 좋은 관계를 만드는 것에서 점점 더 멀어진다는 점이다. 이런 경우 ... ...
[표지로 읽는 과학] 생명유지의 핵심, 뇌의 작은 방 '시상하부'
동아사이언스
l
2023.10.29
이를 통해 우리 몸에서 일어나는 대사과정과 자율신경계 활동을 운영한다. 체온조절,
배고픔
, 갈증, 수면, 일주기 리듬과 같이 유기체의 생존을 유지하기 위한 기능을 통제한다. 신체 항상성을 유지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시상하부에 대해선 아직 풀리지 않은 비밀이 많다. 이번주 ... ...
[일상 속 뇌과학] 보잘것 없는 생물도 배우고 기억할까
2023.10.27
전력을 많이 요구하는 것과 같은 원리다. 유지비가 많이 드는 신체를 유지하는 것은 매일
배고픔
을 겨우 달래며 삶을 유지해야 하는 생물들에게는 너무 사치스러운 선택일 수도 있다. 따라서 어느 생명체는 비용과 유지비가 많이 드는 신경계를 구축하기 보다는 가장 필수적인 정도의 신체구조와 ... ...
[일상 속 뇌과학] 음식 먹을 때보다 몸에 흡수될 때 행복감 더 느낀다
2023.05.26
도파민 분비 신경세포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다른 한편 에너지충족감은
배고픔
을 감지하는 시상하부 내 AgRP 분비 신경세포들이 감지하여 식욕을 조절하게 되는데, 음식 섭취에 따른 에너지 충족감은 AgRP 신경세포-외측시상하부-복측피개영역의 경로로 전달되어 역시 도파민 분비를 ... ...
[오늘과학] 생쥐는 성욕과 식욕 중 어떤 욕구 앞설까
동아사이언스
l
2023.02.24
주변에 있는 게 아니기 때문에 생물학적 이치에 맞는 선택”이라며 “짝짓기를 하려면
배고픔
은 무시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이런 행동의 이유를 밝히기 위해 생쥐의 뇌를 관찰했다. 그 결과 식욕 억제 호르몬인 ‘렙틴’이 이성과 상호작용할 때 활성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거절은 언제나 아프다
2022.06.04
또
배고픔
과 같은 직접적인 고통을 불러오고 마는 것이다. 생존과 직결되어 있는 만큼
배고픔
을 겪는 고통에 익숙해지는 것이 불가능한 것처럼 사랑과 인정에 대한 목마름 또한 익숙해지기 어려운 고통이다. 특히 내가 정말 중요하게 여겨서 잘 하고 싶은 일처럼, 나의 가치를 전부 걸고 있는 ... ...
'트윈데믹'속 수능 D-10…"숙면하시고 담배·커피 피하세요"
연합뉴스
l
2021.11.07
역류성 식도염, 기능성 위장장애 등을 야기해 숙면을 방해할 수 있다. 도저히
배고픔
을 참을 수 없다면 약간의 과일이나 따뜻한 우유 등으로 가볍게 허기만 달래도록 하는 게 좋다. 잠을 쫓겠다며 담배를 피우거나 카페인 등 각성제를 복용하는 건 일시적인 효과만 있을 뿐 공부에 도움이 되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작물 게놈 2세대 녹색혁명 이끌까
2021.06.30
죽는 대참사를 목격하면서 잡종벼 개발에 뛰어들었고 마침내 성공해 많은 중국인들을
배고픔
의 고통에서 벗어나게 했다. 미국 테네시대의 역사학자 셀렌 우는 ‘네이처’에 쓴 부고에서 “그의 평생 뇌리에서 굶주림에 대한 기억이 사라지지 않았다”며 “말년에도 위안룽핑은 과학과 기술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탄수화물이 정말 비만의 주범일까
2021.05.18
뜻이다. 탄수화물-인슐린 모형에 따르면 극단적인 고탄저지 식단일수록 생쥐는
배고픔
을 더 느끼기 때문에 더 먹고(마음대로 먹을 수 있는 조건이다) 체지방도 더 많을 것이다. 그러나 놀랍게도 실험결과는 반대였다. 고탄저지일수록 식후 인슐린 수치는 높았지만(여기까지는 탄수화물-인슐린 ... ...
1
2
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