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백인 외국인
영국인
양키
아메리칸
스페셜
"
미국인
"(으)로 총 9건 검색되었습니다.
바다가 품기엔 너무 벅찬 쓰레기
KISTI
l
2015.05.26
점점 세를 불린다. 1997년 하와이에서 열린 요트 경기에 참여해 LA로 향해가던
미국인
찰스 무어는 망망대해 북태평양의 한가운데에서 거대한 플라스틱 쓰레기 더미와 마주하게 된다. 일명 ‘플라스틱 아일랜드(plastic island)’의 발견이었다. 이후 이런 ‘섬’들은 추가로 발견돼, 현재 북태평양 ... ...
힉스 이후, 한국인이 제안한 3대 입자가 이끈다
IBS
l
2015.05.06
새기고 있었다. '고인이 됐음.' 강의 중인 생전의 이휘소 박사의 모습. 그는 한국계
미국인
으로 1960~70년대 입자물리학의 세계적 석학으로 꼽힌다. 리 박사는 논문이 나오기 불과 한 달 전 불의의 교통사고로 유명을 달리했다. 일리노이주의 한 고속도로에서 마주 오던 트레일러가 중앙선을 넘어 ... ...
후쿠시마 이후 원전 안전대책, 어떻게 바뀌었나?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4.14
꼽힌다. 당시 사고로 인명피해는 전혀 없었지만 사고 규모와 사회적 파장이 워낙 커서
미국인
들에게 큰 충격으로 남았다. 이 때문에 오일 쇼크로 에너지원 전환을 준비중이던 지미 카터 행정부는 70여건에 달하는 원전 건설 계획을 모두 포기했으며 오바마 행정부가 원전 건설을 재개할 때까지 30여 ... ...
에볼라 바이러스, 합리적인 경계가 필요하다!
KISTI
l
2014.09.01
에볼라가 죽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입증이라도 하듯, 바이러스에 감염됐던
미국인
2명이 2014년 8월 21일(현지시간) 완치 판정을 받았다. 이들은 아프리카에서 의료 지원 활동을 하다 본국으로 이송돼 치료를 받아온 의사와 간호사로서, 3주간의 치료를 성공적으로 마치고 퇴원이 ... ...
진화로부터 탄생한 생명의 시계
IBS
l
2014.07.07
의견도 존재한다. -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제공 자궁경부암을 앓던 헨리에타 랙스라는
미국인
여성에게서 적출된 암세포로 환자의 동의를 얻지 않고 무단 채취한 '불법' 세포로도 유명하다. 죠지 가이 박사가 1951년 배양에 성공하여 헨리에타 랙스의 이니셜을 딴 HeLa라는 이름을 붙인 이래 이 세포는 ... ...
[기술이 바꾼 미래] 윌리엄 헨리 퍼킨 : 합성 염료 시대를 열다
KOITA
l
2014.05.27
0가지의 합성염료는 그의 업적에서 시작되었다. 현재 영국화학공업회의 미국 지회에서는
미국인
화학자에게 최고 영예인 퍼킨 상을 수여함으로써 그의 이름을 기리고 있다. 퍼킨의 성공 스토리는 대단히 흥미롭지만 사실 일반 사람들에게 모두 퍼킨의 성공과 같은 기회가 올 수는 없는 일이다. ... ...
전통에서 발견하고 현재가 완성한 난방기술
KOITA
l
2013.12.10
온돌난방기술은 다시 전쟁 후 경제성장기의 한국으로 역수입된다. 바닥을 데우는 것이
미국인
에게는 아직 생소할 때인데다 건물을 빠르게 늘려야 했던 한국의 사정에 개량 온돌의 간편함과 효율성이 딱 맞아떨어졌기 때문이다. 결국, 현재 보일러를 이용한 개량 온돌 시장의 맹주가 한국 기업이 ... ...
시간과 공간의 관념을 바꾸어 놓은 무선통신
KOITA
l
2013.09.10
유선통신망에 비하면 신뢰성을 보장하기가 매우 어려웠던 것이다. 게다가 19세기 말은
미국인
사업가, 사이러스 필드Cyrus Field가 여러 차례의 시도 끝에 대서양을 횡단하는 해저 케이블을 설치하는 데 성공하여 대서양 양안의 통신도 얼마든지 가능해진 시점이었다. 그러나 현대적 의미의 무선통신은 ... ...
미래사회 변화에 따른 기술혁신 패러다임 전환 전망
KOITA
l
2013.06.25
따라서 미래에 아무리 잘한다 하더라도 경제성장률은 1% 정도일 것이며, 대부분의
미국인
은 0.5% 정도만의 소득증가를 기대할 수 있다고 예측한다. 영국 옥스퍼드 대학 닉 보스트롬 (Nick Bostrom) 철학과 교수는 한발 더 나아가 자연재해보다는 ‘인간이 만든 기술의 부작용(Anthropogenic ... ...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