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항목
목록
색인
인덱스
찾아보기
내용
스페셜
"
목차
"(으)로 총 10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마감을 잘 지키려면 자잘한 계획을 세우라
2020.01.11
하면 밑도 끝도 없는 과제로 느껴지지만 ①큰 주제를 정한다 ②
목차
1번을 정한다 ③
목차
1번의 인트로를 쓴다 등의 순서로 나눠보면 조금 더 할 만한 일이 되는 것이다. 원대하고 큰 계획을 세우고 똑같이 큰 데드라인을 하나 딱 정하는 것보다 촘촘하고 자잘한 계획과 데드라인이 더 ... ...
AI, 과학 학술서적 썼다…저자명은 '베타 라이터'
동아사이언스
l
2019.04.14
연구자들은 참조를 통해 원본 문서를 더 자세히 볼 수 있다고 출판사 측은 밝혔다. AI는
목차
도 스스로 작성했다. 하지만 아직 AI 저자와 편집자는 완성도가 다소 떨어진다. 어색한 내용이 다수 발견되는 등 아직 일부분에서 한계가 드러났다. 헤닝 쇼넨버그 스프링거 네이처 생성자료 및 메타데이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수 비타민을 아시나요
2018.10.31
흥미가 있을 경우 저자에게 이메일을 보내 논문을 요청하기 때문이다. 지난주 수요일
목차
를 보다 조망(Perspective)란에서 ‘건강한 노화 늘이기: 수명 비타민과 단백질(Prolonging healthy aging: longevity vitamins and proteins)’이라는 제목이 눈에 들어와 클릭해 초록을 읽어보니 꽤 재미있는 내용 같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올리버 색스와 신경퇴행성질환 리티코-보딕 이야기
2018.09.18
초판본을 그대로 찍은 것이기 때문에 423쪽에서 1권이 끝나고 다음 페이지에 2권 표지와
목차
가 나오고 다시 1쪽부터 시작한다. 그러다 보니 뒤의 찾아보기에서 쪽수 앞에 1권(i.)과 2권(ii.)이 표시돼 있다. 다행히 2006년 두 권짜리 한글판이 나왔는데 원서보다 합리적으로 나눴다. 즉 1권은 330쪽으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 다세포성의 기원에 대한 고찰
2018.07.10
빅퀘스천’이라는 책에서 ‘우리 시대의 31가지 위대한 질문’을 제시했다. 책의
목차
를 보면 빅퀘스천이란 ‘답을 안다면 심오한 깨달음에 이를 수 있을 것 같지만 결코 답을 알 수 없는 물음’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과학에도 시간과 공간의 본질에서부터 인간의 의식에 이르기까지 많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털과 땀샘의 음양이론
2017.02.07
2016년 타계한 과학자들에 대한 글(‘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을 쓰느라 바빴던 필자는
목차
만 훑어보고 지나쳤는데 책을 읽다 새삼 그 의미를 깨닫게 된 것이다. 실험은 꽤 복잡한데 (논문 분량이 12쪽이나 된다) 연구 내용을 요약하면 털과 땀샘이 상호 배제의 관계라는 것이다. 즉 원래 털이 날 ... ...
IBS 5년간 땀과 노력, 한 권으로 집대성
동아사이언스
l
2017.01.06
예정이다. IBS Research Highlights & Analysis, 지식의 풍경 - 다운받기 01.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 광유전학, 신경세포 자라게 하고 뇌 기억력 높인다 02. 시냅스 뇌질환 연구단 | 시냅스 신경전달물질 수용체서 자폐 치료 실마리 발견 03. 시냅스 뇌질환 연구단 | 뇌 속 100조개 ... ...
새와 사람
동아사이언스
l
2014.02.11
하지만 새와 사람이 맺을 수 있는 최고 수준의 관계가 바로 매사냥이기 때문이다.
목차
를 훑어보니 맹금류(birds of prey) 장이 있다. 콘도르과, 매과, 수리과로 이뤄진 맹금류를 19쪽에 걸쳐 소개하고 있는데, 매사냥(falconry)을 별도의 절로 다루고 있다. 매나 독수리를 길들여 사냥 파트너로 삼는 ... ...
해보고 싶은 연구 마음껏 하는 사람들
동아사이언스
l
2013.11.04
주간과학지 ‘네이처’가 발행되는 목요일이면 필자는 사이트에 들어가 뭐 건질 게 있나
목차
를 훑어본다. 10월 31일자에는 ‘수학 천재의 뿌리는 찾는다(Root of maths genius sought)’는 제목의 뉴스가 눈에 띈다. 클릭해 읽어보니 뛰어난 수학자 400명의 게놈을 분석해 ‘수학유전자’를 찾는 ... ...
필라델피아 염색체를 아십니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6.27
현상을 ‘전좌(translocation)’라고 부른다. ‘재미있는 책이겠네….’ 창을 닫고 다시
목차
를 보다가 뜻밖의 발견을 했다. 자넷 롤리 교수가 쓴 해설논문이 있었던 것이다. 그러고 보니 올해는 롤리 교수가 필라델피아 염색체가 전좌의 결과임을 밝힌 지 40년 되는 해다. 아마도 이를 기념해 ... ...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