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시권 통신망
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스페셜
"
맨
"(으)로 총 216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기대이하 소행성 '베누' 시료…과학에 절제도 필요
2025.02.19
홍보했다. 회견장에는 박사후연구원으로 실험을 주도한 울프사이먼도 나왔는데(
맨
왼쪽) 반짝스타가 된 뒤 역풍을 맞아 학계에서 퇴출됐다. 그 뒤 다른 일을 하며 생계를 유지하다 최근에야 작은 프로젝트의 연구비를 확보해 재기를 노리고 있다. NASA 제공 기사는 2010년 연구를 주도한 미생물학자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계엄군에 맞서는 힘은 어디서 나올까
2024.12.07
권력같이 도저히 개인이 싸워서는 될 것 같지 않은 불가능한 상황에서도 천안문의 탱크
맨
처럼 맞서는 사람들이 있다. 계란으로 바위치기라는 사실을 알면서도 여전히 저항하는 사람들이 있다. 적어도 이들에게 싸워서 이길 수 있겠냐는 계산은 저항 여부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이다. 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생명의 기원 찾는 과학자들
2024.09.19
에 넣고 저으면 작은 방울이 만들어지고 바깥쪽에서 정전기적 상호작용으로 안정해져(
맨
오른쪽) 내부에 RNA 분자가 오래 머문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에 따르면 초기 지구에서 막이 없는 원형세포가 빗물로도 충분히 안정해져 내부에서 리보자임이 제대로 작동하고 진화할 수 있었다는 시나리오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42억 년 전 생명체의 모습은?
2024.07.24
세포내공생으로 미토콘드리아가 되면서 모든 진핵생물의 공통조상(LECA)이 등장했다(
맨
위가 현재). 루카와 살았던 다른 생명체의 계열은 모두 멸종했지만 루카 계열에 유전자를 남겼을 수 있다(수평이동으로). 네이처 생태학 & 진화 제공 융달 교수는 2009년 기고문에서 "최근 (제자인) 랙스달과 다스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벼 고고학 연구로 작물화 비밀 밝힌 中 과학의 '힘'
2024.06.26
왼쪽에서 두 번째) 홀로세가 시작한 직후인 약 1만1000년 전부터 작물 벼를 재배했다(아래
맨
왼쪽). 이 기간 기동세포 비늘 개수가 9개 이상인 비율을 보면 마지막 아빙기부터 비율이 높아지기 시작해 약 1만1000년 전 40%를 넘어섰다(위). 사이언스 제공 고기후 분석 결과 마지막 아빙기 동안 동아시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해외직구 논란…암, 절반 이상은 원인도 몰라
2024.05.29
11개 나라 신장암 시료를 분석해 밝힌 변이(SBS) 시그너처 기여도를 보여주는 그래프다(
맨
오른쪽은 전체 평균). 전반적으로 비슷한 패턴이지만 일본에서는 유독 SBS12(녹색)의 기여도가 높고 루마니아와 세르비아에서는 SBS22a(주황색)와 SBS22b(노란색)의 기여도가 높다. 뒤의 둘은 아리스톨로크산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중성자별과 블랙홀의 경계는
2024.02.07
백색왜성으로(오른쪽 흰색), 무거운 별은 중성자별(오른쪽 아래 회색)이나 블랙홀(오른쪽
맨
아래 검은색)로 생을 마친다. 중성자별과 블랙홀의 질량 경계는 여전히 모른다. 위키미디어 제공 만일 수능 물리 시험에 슈바르츠실트 반지름을 구하는 식을 제시하고 태양과 지구의 값을 구하라는 문제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겨울철 당기는 피부도 촉각일까
2023.11.15
건조 실험을 진행해 변형력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했다. 피부는 세포 생존 여부에 따라
맨
바깥 죽은 세포로 이뤄진 각질층(SC)과 그 아래 살아있는 세포인 표피(epidermis. 각질층 제외)와 진피(dermis)로 나뉜다. 각질층이 건조해지면 수축하며 각질층의 곡률에 따라 아래 표피와 진피는 불균일한 ... ...
[표지로 읽는 과학] 17년만에 쏟아져나온 매미 떼, 먹이사슬 바꿨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0.22
쏟아져 나오는 미국 '주기 매미'가 먹이사슬의 흐름을 바꿔놓고 있다는 연구다. 조 제트
맨
-피커링 미국 조지워싱턴대 생물학부 박사 연구팀은 19일(현지시간) 주기 매미가 조류의 식생활을 바꾸면서 지역 생태계의 기존 먹이사슬을 방해하고 있다는 내용의 연구 결과를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과기 유공자 김성호 교수, 노벨상 불발된 사연
2023.05.31
머리를 굴려 이중나선 구조 모형을 만들었다. ● 이중나선 해석에도 결정적 역할 영국
맨
체스터대의 동물학자 매튜 코브와 미국 존스홉킨스대 의학사가 나다니엘 콤포트는 각각 크릭과 왓슨의 전기를 쓰고 있는데, 지난해 함께 프랭클린의 아카이브가 있는 처칠칼리지를 방문했다. 거기서 자료를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