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로스"(으)로 총 8건 검색되었습니다.
- 광유전학, 빛으로 뇌의 비밀 풀고 새로운 치료법 찾는다IBS l2016.09.01
- 처음 적용한 사람은 미국 스탠퍼드대의 칼 다이서로스 교수였다. 2005년 다이서로스 교수팀은 채널로돕신을 생쥐의 신경세포에 이식하고 빛을 쪼여 흥분시키는 데 성공해 '네이처 뉴로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이후, 광유전학 기술을 실제 생물에 적용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기 시작했다. ... ...
- 나노과학의 대가, 세계 최고를 꿈꾼다IBS l2016.07.04
- 회 국제 양자점 콘퍼런스(QD 2016)’에서 현택환 단장이 미국해군연구소 알렉산더 에프로스 박사를 비롯한 주요 연사들과 함께 포즈를 취하고 있다. - IBS 제공 현 단장은 외국 연구자에게 자신을 소개할 때 ‘미국화학회지 부편집장(JACS editor)’이라고 소개한다. JACS는 화학 분야의 최고 학술지로, 그는 ... ...
- 초간편 진단키트로 해양환경 지킨다 동아사이언스 l2015.11.12
- 2차 항체을 넣어 항원이 있는지 알 수 있다.(왼쪽 그림) 항체를 띠 형태의 니트로셀룰로스 소재에 섞어두면 간편하게 항원을 검출하는 키트로 만들 수 있다. 항원-항체반응을 이용한 검출법은 클론항체를 만드는 것에 대한 특허를 가지고 있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염 박사는 쥐에서 이 항원을 ... ...
- DNA 복구 과정 밝혀 암과 노화 수수께끼 푼다IBS l2015.02.26
- DNA 복구를 연구해야 한다는 필요성이 대두됐다. 미국 내에 국립연구소(National Laboratory)가 로스알라모스, 버클리, 롱아일랜드 등에 설립되면서 DNA 복구에 대해 상당히 집중적인 연구가 진행됐다. 명 단장은 "최근 DNA 복구가 암, 노화, 일부 신경질환 등과 연관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DNA 복구에 ... ...
- [Green Lab_현장탐방]바이오연료 만드는 생물시스템공학의 산실동아사이언스 l2014.10.14
- 또 있다. 바로 미생물의 먹이다. 현재 바이오연료 생산의 원료로 포도당이나 과당, 자일로스 등이 이용되는데, 이들은 식물에서 추출한 성분이다. 이들 원료가 1 대 1 비율로 휘발유로 변환되는 것도 아니고 원료 중 극히 일부만 연료로 나올 뿐이다. 현재 사용되는 화석연료의 10%가량만 바이오연료로 ... ...
- 독창적인 광유전학기술로 뇌 비밀 밝힌다IBS l2014.09.04
- 이온채널이 있고, 채널로돕신이라는 분자가 빛을 감지해 전류를 만들어낸다. 다이서로스 교수팀은 채널로돕신의 유전자를 마우스 신경세포에 넣어서 빛만 주면 신경세포가 활성화되고 이를 이용해 마우스의 행동을 컨트롤하는 결과를 얻었다. 이 연구성과는 2005년 '네이처 뉴로사이언스'에 ... ...
- [신재생에너지 기획④] 첨단 지열발전 시스템, EGS동아사이언스 l2014.08.11
- 단어를 쓰기도 한다. [그림1] EGS 지열발전 개념도 EGS 기술은 1970년대 미국 로스알라모스(Los Alamos) 국립연구소가 펜튼힐(Fenton Hill)에서 수행한 프로젝트에서 유래됐다. 이 프로젝트의 이름은 뜨겁지만 물은 없다는 의미의 ‘고온암체(HDR, hot dry rock)’였다. 이후 1980년대까지는 영국의 ... ...
- 인간이 불안한 이유, 빛으로 찾아내다KISTI l2013.05.02
- 때문이다. 그런데 최근 미국 스탠퍼드대 생명공학부 김성연 박사과정 연구원과 칼 다이서로스 교수가 불안을 느낄 때 뇌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를 밝혀냈다. 연구진은 쥐를 이용한 실험에서 불안을 증가시킨다고 알려진 ‘분계선조침대핵(BNST)’이 계란처럼 타원핵과 바깥 부분으로 구성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