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세
폐
도움
처지
누기관
스페셜
"
누
"(으)로 총 41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기대이하 소행성 '베
누
' 시료…과학에 절제도 필요
2025.02.19
한때 있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이때야말로 큰 의미를 부여하며 대대적으로 홍보해도
누
가 뭐라 하지 않을 것이다.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프리랜서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6300km 떨어진 곳에서 담낭 제거 수술 성공
2024.06.02
10(5):e2716, 2018 쿤트 헤거. 삽화로 보는 수술의 역사. 김정미 옮김. 이룸. 2005 제임스 르 파
누
, 현대의학의 거의 모든 역사, 강병철 역, 알마. 2016 예병일 연세대원주의대 교수 ※필자소개 예병일 연세대학교 의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C형 간염바이러스를 연구하여 박사학위를 받았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자폐, 양극성 장애 비밀 품은 세포·유전자 밝힌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26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만들고 뇌 질환과 유전적 요소의 연관성을 평가했다. 예브게이냐
누
시노비치 사이언스 수석 편집자는 "컨소시엄의 방대한 데이터 수집은 다른 연구자들이 인간 뇌의 더 많은 비밀을 밝히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밝혔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서서히 풀려가는 인간 생식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23.04.16
마음대로 조정할 수 있는 의학기술의 발전 양상을 담아 특집호를 구성했다. 예브게니야
누
시노비치 사이언스 편집장은 "현대 의학은 생물이 자기와 닮은 개체를 만들어 종족을 유지하는 생식 활동을 전례 없이 통제할 수 있도록 발달했다"면서도 "다만 생식에 대한 과학적 지식과 의학적 기술 모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항암제 무력화하는 암세포 내 미생물의 정체
2022.12.13
알아봤다. 대장암 종양 내 미생물로 가장 흔히 발견되는 박테리아인 푸소박테리움
누
클레아툼을 넣어주자 스페로이드의 표면에서 떨어져 나오는 암세포가 많이 보였다. 반면 박테리아를 넣어주지 않은 스페로이드는 세포 증식으로 덩어리가 커질 뿐 떨어져 나오는 암세포는 거의 없었다. 암의 ... ...
소행성 베
누
'볼풀' 같아 시료채취 우주선 하마터면 파묻힐 뻔
연합뉴스
l
2022.07.11
우리는 아직도 소행성의 실체를 이해하는 데 있어 초기 단계에 있다"고 했다. 사실 베
누
는 처음부터 과학자들의 예상을 뒤엎었다고 한다. 우선 지상 망원경 등의 원격 관측을 통해 해변처럼 부드러운 모래를 갖고 있을 것이라는 예측과 달리 막상 오시리스-렉스가 도착해보니 표면에는 여기저기 ... ...
경찰 수신호 한 번에 달리던 차가 멈췄다…자율주행차가 학습할 교통수신호DB 구축
동아사이언스
l
2022.07.06
및 교통안전요원의 지시봉 및 수신호 영상 1만 개로 구성돼 있다. 현재 해외 DB는 미국 ‘
누
씬 데이터 셋(nuScenes Dataset)’이 유일한데 이와 비교해 연구팀이 이번에 구축한 데이터는 교통경찰 관련 데이터는 약 40배, 교통안전요원 데이터는 약 3.4배 많다. 구축된 DB는 향후 레벨4 기술 이상의 ... ...
과기정통부는 왜 해외도, 대통령도 주목한 첫 소행성 탐사를 외면했나
동아사이언스
l
2022.05.03
발사체 개량에만 1941억 원을 추가 투입하는 데는 투자효과성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누
리호 4단 킥모터는 지난해 6월 변경된 우주개발진흥기본계획에 추가됐지만 2025년부터 2030년까지 개발을 검토하는 수준에 머물고 있다. 과학계에선 아포피스를 비롯해 한국의 소행성 탐사는 쉽지 않다는 ... ...
지구로 떨어진 운석에서 생명체 정보 구성하는 염기 모두 발견돼
동아사이언스
l
2022.04.27
중요한 역할을 했을 가능성은 커졌다는 것이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소행성 ‘베
누
’로부터 암석을 채취해 지구로 2023년 귀환 예정인 탐사선 ‘오시리스-렉스’가 가져온 표본 등에 이 기술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연구에 참여한 제이슨 도킨 NASA 고다드 우주비행센터 수석과학자는 ... ...
우리가 예타서 뺀 '아포피스' 탐사 '오시리스-렉스'가 맡는다
연합뉴스
l
2022.04.27
아포피스는 일반 콘드라이트로 된 S형 소행성으로 알려져 있다. 비슷한 크기를 가진 베
누
는 B형 소행성으로, 탄소질 콘드라이트로 구성돼 있다. 오시리스-에이펙스 운영팀은 소행성 구성 성분과 함께 아포피스가 2029년 지구에 근접할 때 지구의 인력으로 받을 물리적 영향도 파악할 계획이다.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