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너비
폭
가로
고양이
고냉이
괭이
나비넥타이
스페셜
"
나비
"(으)로 총 5건 검색되었습니다.
[HISTORY] 우리나라 전기공학의 선구자, 한만춘
KISTI
l
2015.11.14
과학기술인 우표를 발행했다. 이번 우표에 실린 과학자는 이론물리학자 이휘소(1935~1977),
나비
박사 석주명(1908~1950), 그리고 한만춘(1921~1984)이다. 오늘 소개할 한만춘 박사는 나머지 두 박사에 비해 덜 알려졌지만, 우리나라의 전기공학을 개척하고 전력산업을 근대화하는데 크게 기여했다는 평을 받고 ... ...
세계에서 활약하는 한국의 과학기술자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4.11.05
간의 함수를 세계 최초로 물질 차원에서 구현했다. 이 함수를 그래픽으로 전환하면
나비
모양이 되기 때문에 '호프스타터의
나비
'라 불리는데 김 교수가 나노미터 크기의 그래핀으로 제작해 실력을 인정받았다. 고 이휘소 박사도 자주 거론된다. 일제강점기에 태어났지만 대학 시절 미국으로 유학을 ... ...
불확실성 1.
KOITA
l
2013.05.09
정해져 있고, 그 점을 향해 한 방향으로만 움직인다. 즉 움직이는 속도를 알 수 있다면
나비
효과는 미미할 것이며, 따라서 예측은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닌 것이다. 실제로 과거의 ‘전통기술’ 예측은 비교적 정확하게 들어 맞았다. 대부분 기술이 기본가정을 따라 단계적으로 발전했기 때문이다. ... ...
바다와 해양에너지 지혜롭게 개발해서 현명하게 쓰자 2부
KIMST
l
2013.05.03
유실수도 심고 정원수도 심어야 한다. 그래야 땅 속에는 지렁이가 살고 꽃밭에는 벌과
나비
가 찾아오고, 잔디밭에서는 아이들이 뛰어놀게 되는 것이다. 이 것이 해양공간계획이 시급한 이유다. 해양에너지도 이 틀 안 에서 개발되고 이용되고 관리되어야 한다. 지혜로운 개발과 현명한 이용을 ... ...
바이오분야 학계와 산업계간 소통 절실…생명공학 인력 DB확보로 해결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11.09.05
교수 시절 배추흰
나비
의 집단 폐사 원인이었던 과립병 바이러스 게놈을 해독해
나비
대량 생산의 길을 열었으며 질병을 옮기는 곤충의 조사 및 감시를 위한 ‘권역별 기후변화 매개체 영남 거점센터’의 운영을 맡기도 했다. 연구실에만 있던 그가 왜 공무원 될 생각을 하게 됐을까. 그는 “연구에 ... ...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