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가마구
가마귀
깜아귀
자조
반포조
효조
크로우
스페셜
"
까마귀
"(으)로 총 11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 행동의 진화] 텃세의 진화
2020.11.29
되곤 하는데, 아마 인류의 조상도 크게 다르지 않았을 것이다. 자신의 터를 지키려는
까마귀
의 싸움과 국토를 수호하려는 군인의 마음은 본질적으로 같다. 텃세의 경계 물론 텃세를 부리지 않는 종도 있다. 일정한 장소에 머무르지만 다른 개체가 들어와도 본체만체하는 경우도 있다. '행동권 ... ...
[표지로 읽는 과학]'새 머리'라고 무시 마라 포유류 못지 않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27
존재한다는 사실을 확인해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니더 교수팀은 훈련받은 송장
까마귀
두 마리에게 시각 자극을 가한 뒤 뇌를 관찰했다. 그 결과 신경세포가 시각 자극에 대해 물리적 자극의 강도를 감지한 뒤, 다시 이를 바탕으로 시각 정보를 인식하는 두 단계의 신경 활동을 한다는 사실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마와 동이족 문명의 성쇠
2020.07.14
동방에서 성행했다.” 흥미롭게도 고구려인을 비롯해 우리 조상들은 다리가 셋 달린
까마귀
인 삼족오(三足烏)를 태양의 화신으로 숭배했다. 이 책은 2015년 출간됐는데, 놀랍게도 중국 당국의 동북공정이 반영돼 있지 않다. 정치가 다른 모든 걸 우선하는 경향은 다른 나라들에도 어느 정도 ... ...
[사이언스 지식IN] 그 많던
까마귀
는 어디로 갔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4.21
할 수는 없는 일”이라며 “오히려 겨울에 떼
까마귀
가 많이 오는 것을 기회 삼아 떼
까마귀
군무 같은 관광 상품을 개발하고 인근 지역을 철새 마을로 지정해 친환경 마을로 거듭날 것”이라고 말합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들은 얼마나 똑똑할까
2017.02.28
지닐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 위키피이아 제공 ● 인지능력은 생태적 필요의 결과 한편
까마귀
과(科) 새들도 얼굴 인식 능력이 탁월하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게다가 이 녀석들은 다른 종인 사람의 얼굴도 잘 식별했다. “까치가 울면 반가운 손님이 온다”는 우리 속담도 이런 관점에서 해석할 수 ... ...
똑똑한 인간들이 왜 미신에 빠지는 걸까?
2016.11.01
논리적으로 생각하면 가능성이 높지 않은 현상 또는 인과관계로 성립할 수 없는 일(예,
까마귀
가 울면 재수가 없다)을 철썩같이 믿는 것을 마술적 사고(magical thinking)라고 한다. 인류는 똑똑한 동물이라는데 이런 미신과 비논리적 사고들이 널리 퍼져있는 것을 보면 의아하기만 하다. 왜 우리는 이런 ... ...
사람처럼 도구 이용해 벌레 잡는 하와이
까마귀
동아사이언스
l
2016.09.19
야생에서 하와이
까마귀
를 볼 수 없지만, 앞으로는 하와이의 야생 곳곳에서 다시 하와이
까마귀
의 모습을 볼 수 있게 될 전망이다. 16일자 ‘사이언스’ 표지는 양구슬냉이 씨앗이 장식했다. 양구슬냉이는 여름이면 하얀 꽃을 피우는 한해살이풀이다. 표지 사진 속에는 길이가 2~3㎜의 작은 ... ...
[석기(石器)의 재조명] 인간을 인간답게 만든 것은 정말 ‘도구일까’
2016.03.21
두 가지 특징이었다. 그런데 어느 순간부터 도구의 위상이 떨어진 감이 있다. 침팬지나
까마귀
처럼 머리 좋은 동물이 도구를 사용하는 건 물론이고 TV다큐멘터리에서는 해달이 배영 자세로 누워 돌멩이로 조개를 깨는 장면도 나온다. 즉 도구사용이 인류만의 발명이 아니라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색이 ... ...
우린 억울해! 새 대가리의 역습
KISTI
l
2014.09.30
벌어졌다. 똑같은 상황에서 펴진 철사를 주고
까마귀
의 반응을 본 것이다. 뉴칼레도니아
까마귀
는 부리로 철사를 구부려 갈고리 모양으로 만들었다. 그리고는 양동이의 먹이를 꺼내 먹었다. 과학자들은 야생동물 중 가장 똑똑하다는 침팬지도 인공 재료로 갈고리를 만들 수는 없다며 몹시 ... ...
새와 사람
동아사이언스
l
2014.02.11
여전히 유효하다고 믿고 있다는 것. 그런데 실제 닭의 행동을 면밀히 관찰한 결과 닭도
까마귀
나 앵무새 못지않게 똑똑한 동물이라는 게 밝혀졌다. 예를 들어 닭의 울음소리는 24가지로 분류할 수 있는데, 이 가운데 상당수는 어떤 메시지를 담고 있다고 한다. 하늘에 맹금류가 떴을 경우 이를 본 닭은 ... ...
1
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