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교토"(으)로 총 11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정용 연료전지 보급의 성공 사례2016.02.24
- 가격을 낮추는 데 큰 기여를 했다. 본격적인 보급은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일본 교토대 마츠시타 가즈오 명예교수의 집에 설치된 가정용 연료전지 에너팜. - 마츠시타 가즈오 제공 2009년부터 판매가 시작된 에너팜은 2015년 현재까지 12만 5000대 이상이 보급됐다(2030년에는 530만 대 보급을 목표로 ... ...
- 우리나라 최초의 화학박사, 이태규 KISTI l2015.06.23
- 히로시마 고등학교에 입학했다. 밤을 새며 다른 학생들보다도 더 열심히 공부한 결과, 교토대학교에 장학금까지 받으며 입학할 수 있었다. 그리고 당시 일본의 최고 화학자인 호리바 신기찌 교수 밑에서 공부할 수 있었다. 이태규 이학박사 학위 취득 보도 - 동아일보 - 1931년 7월 20일자 제공 ... ...
- [신기후체제와 원자력①]기후변화에 대한 국제적 대응, 어디까지 왔나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06.22
- 안을 채택했다. 하지만 ‘도하 수정안(Doha Amendment)’이라 불리는 이 합의에, 기존의 교토의정서 불참국인 미국 외에 러시아, 캐나다, 일본, 뉴질랜드 등의 나라도 불참을 선언했다. 이에 따라 참여국 전체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전 세계 배출량의 15%에 불과하게 됐다. 이에 앞선 2011년 ... ...
- 달라진 기후변화협약, 에너지 시장 어떻게 바뀌나?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06.11
- 실질적인 구속력을 지니게 되었음을 의미한다. 이전의 대표적인 기후변화협약이던 교토의정서는 국가 간 의무를 규정했다는 점에서 나름 의미를 지녔으나 실질적인 구속력을 기대하기는 어려웠다. 그러나 신기후체제는 에너지, 자동차, 건축, 자원개발 등 경제와 사회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칠 ... ...
- 기후변화협약 청정개발체제 그리고 원전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05.15
- 온실가스 감축효과에 대한 UN의 인정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기대감을 드러내고 있다. 교토의정서 채택 당시 원자력발전 시설이 배제된 이유도 환경 문제보다 다른 신재생에너지 발전이 약화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으로 분석되기도 했으며, 선진국을 중심으로 온실가스 감축 수단으로 원전이 주목받고 ... ...
- [Green Focus_기획특집]비(非)이산화탄소를 잡아라동아사이언스 l2014.11.17
- 주를 이루고 있다. 지구온난화지수, 이산화탄소의 2만 배 넘기도 2005년에 발표된 교토 의정서에서는 지구온난화를 일으키는 6대 온실가스로 이산화탄소와 더불어 메탄(CH4), 아산화질소(N2O), 수소불화탄소(HFCs), 과불화탄소(PFCs), 육불화황(SF6)을 지정했다. 이후 2012년 삼불화질소(NF3가 온실가스로 ... ...
- 독창적인 광유전학기술로 뇌 비밀 밝힌다IBS l2014.09.04
- e메일을 받고 있다"며 "새로운 광유전학기술의 우수성을 인정하며 미국 스탠퍼드대, 일본 교토대 등으로부터 공동연구 제의를 받고 있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빛으로 다양한 단백질을 컨트롤해서 뇌과학 연구에 적용하고 그것이 뇌에서 어떤 역할을 하고 있었는지를 밝히는 것이 목표이다. 예를 들어 ... ...
- 수중건설의 신기원, 국산 로봇이 연다동아사이언스 l2014.04.21
- 기대된다. 또 지구온난화를 막기 위해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의 배출을 제한하는 협약인 교토의정서에 따르면, 2020년 한국도 CCS 시설을 마련해야 한다. 현재 이산화탄소를 포집한 뒤 동해 깊은 곳에 저장하는 전략이 검토되고 있다. 저장소는 수심이 최소 몇백m에 이를 것이며, 또 이산화탄소를 ... ...
- 하루키의 귀환과학기술인공제회 l2013.09.25
- 하루키의 세계화에 이바지하는 장점이 되었다. 왜 대중들은 하루키에 열광하나? 1949년 교토에서 태어나 와세다대학 문학부 연극과를 졸업하고 1979년 로 신인문학상을 수상하여 문단에 데뷔했다. 이후 여러 작품을 쓴 후 을 통해서 일본에서 하루키 ... ...
- 일본 공업기술 100년간의 온고지신KOITA l2013.08.28
- 에도시대 말기 웅번(熊藩)으로 도쿠가와 체제 전복에 앞장섰던 사쓰마와 조슈의 군대가 교토로 진군했고 마침내 1868년, 바쿠후가 폐지됐다. 메이지 유신의 시작이었다. 흔히 도쿠가와 체제 전복과 메이지 유신의 시작점을 ‘흑선내항’으로 잡곤 한다. 1853년, 매튜 페리 제독의 미 해군 동인도 ... ...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