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수
스페셜
"
과일나무
"(으)로 총 22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오렌지 없는 오렌지주스 나올까
2024.03.06
최근 감귤의 가격이 급등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고기반찬이 없으면 밥을 못 먹겠다는 얘기를 들으면 이해가 안 가지만 한편으로는 입맛 취향은 이해의 영역이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필 역시 매 끼니 과일을 먹지 않으면 무척이나 아쉽기 때문이다. 그러다 보니 최근 수개월 사이 식비가 부 ... ...
기후변화로 북극 따뜻해지자 한반도 겨울 더 추워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2.10
러시아 최북단 세베르나야 젬라 섬 인근의 유빙이 대부분 녹아있는 모습이다. 북극 해역의 온도가 높아지는 겨울엔 동아시아 지역에 한파가 닥치고 식생도 나빠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취리히대 제공 갈수록 추워지는 한반도의 겨울이 기후변화이 영향임이 입증됐다. 기후변화로 북극의 겨울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작물 게놈 2세대 녹색혁명 이끌까
2021.06.30
유전자로 밝혀졌다. 네이처 제공 ○ 과일에서는 체세포 변이가 주연 다년생 작물인
과일나무
의 품종에 따른 특성에는 체세포 변이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도 최근 밝혀졌다. 체세포 변이(somatic variation)란 체세포 분열 과정에서 일어나는 돌연변이다. 암세포가 바로 체세포 변이의 대표적인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방부제·살균제·보존제·항생제를 구분하자
2021.06.23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베트남의 소시지인 넴츄아에서 리스테리아나 보톨리누스 세균을 퇴치시켜주는 새로운 ‘천연 방부제’ 성분이 발견됐다고 한다. 넴츄아는 바나나 잎으로 싸가지고 다니면서 먹는 전통 돼지고기 음식이다. 오스트레일리아 연구진이 찾아낸 천연 방부제는 사실 넴츄아에 들 ... ...
[인간 행동의 진화] 아빠의 진화
2021.04.18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유성생식을 하는 동물이면 모두 엄마와 아빠, 즉 어머니와 아버지가 있다. 당연한 일이다. 하지만 자연의 세계에는 자기 아버지가 누군지 모르는 경우가 많다. 확실한 아버지가 있다고 해도, 새끼를 지켜주고, 돌보는 아버지는 예외적인 경우다. 포유류의 ... ...
[인간 행동의 진화] 점성술과 인플루엔자
2020.11.22
별자리가 그려진 것으로 추정되는 기원전 600년경의 그리스 와인잔. 존 반스 제공 2020년은 코로나-19가 극성이지만 불과 1년 전만 해도 가장 큰 공공보건 상의 감염 위기는 인플루엔자였다. 매년 평균 40만 명 가까이 인플루엔자가 감염되어 숨졌다. 특히 65세 이상에게 대단히 위험하다. 미국에서만 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식물 접붙이기의 비밀 풀렸다
2020.09.08
없을 정도로 오래된 농업기술로(수천 년 전 중국에서 발명된 것으로 보인다) 작물 특히
과일나무
의 개량에서 큰 역할을 했다. 식물은 기능에 따라 지상부와 지하부로 나뉜다. 지상부의 잎에서는 광합성으로 포도당 같은 유기물을 만들어 가지와 줄기를 통해 지하부로 전달하고 지하부는 뿌리를 ... ...
[표지로 읽는 과학] 코로나 감염에 멀쩡한 박쥐, 유전자 지도로 비밀 밝혀내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25
네이처 제공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어둠 속을 날고 있는 박쥐의 모습을 이번 주 표지에 담았다. 박쥐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을 일으키는 사스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를 비롯한 코로나바이러스의 숙주로 지목받아 왔지만 정작 사람에게 나타나는 증상은 겪지 않는다. 박쥐 ... ...
[표지로 읽는 과학]박쥐는 머릿 속 이미지로 길을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12
한 정도로 가볍다. 연구팀은 박쥐 서식지 주변 882㎢ 내 박쥐의 주 먹이인 과일이 달린
과일나무
가 포함된 상세한 지도를 만든 후 여기에 박쥐 172마리가 4년간 남긴 3449회 비행, 1800만 개 위치 정보를 표시했다. 박쥐들은 과일이 많이 열린 나무, 서식지 동굴 등을 비롯한 여러 랜드마크를 기억하고 ... ...
인간의 토지 사용 변화가 코로나 확산 불렀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05
멕시코 남부에서 나무가 벌채되고 있다. 멕시코에는 긴혀박쥐, 큰귀박쥐, 자유꼬리 박쥐 등 여러 종의 박쥐가 서식한다. 위키피디아 제공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이 전 세계에서 640만명 이상을 감염시키고 이 가운데 40만명에 이르는 목숨을 앗으며 맹위를 떨치고 있다. 코로나19은 사 ... ...
1
2
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