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곰팡이
스페셜
"
곰팡
"(으)로 총 31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곰팡
이 네트워크는 파동처럼 퍼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3.08
가장자리에 갈수록 연한 색으로 묘사됐다. 식물 뿌리와 공생하며 영양분을 주고받는
곰팡
이인 균근균은 지하에 거대한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이 네트워크는 대부분 ‘균사’라 불리는 미세한 관으로 구성됐다. 1세제곱미터 면적의 흙 속에 최대 100m에 달하는 길이로 뻗어 있다. 균근균 ... ...
[표지로 읽는 과학] 치명적인
곰팡
이 치료하는 '개구리 사우나'
동아사이언스
l
2024.07.13
감소했다. 또 한번 치료받은 개구리는 이후
곰팡
이 성장에 최적화된 환경에서도 항아리
곰팡
이에 대한 저항력을 보였다. 연구팀은 "개구리 사우나는 저렴하고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로 만들어졌다"며 "유사한 생태의 양서류 종에 더 광범위하게 활용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양서류의 멸종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일본서 사망자 나온 붉은누룩의 비밀
2024.04.03
알지 못하는 불순물이 섞인 천연 스타틴이 함유된 홍국 제품이 인기가 있으니 말이다.
곰팡
이독소를 비롯해 강력한 독성을 지닌 물질 대다수가 천연물이라는 엄연한 사실을 잊지 말아야겠다.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고 2000년부터 2012년까지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암세포 죽이려 세균 죽이는 약을 쓰게 된 이유
2024.01.21
않는 물질을 합성하여 사용하는 화학요법제로 구분했다. 그러나 지금은 항생제도
곰팡
이를 키우지 않고 합성하여 분리하는 경우도 많아졌으므로 항생제라 하면 화학요법제를 포함하여 항균제 대신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스트렙토마이신. 위키미디어 제공 ● 스트렙토마이신의 진짜 발견자는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최초 항생제 페니실린 발견은 우연일까
2023.12.17
수 있는 물질을 발견할 수 있음을 보여 준 첫 예에 해당한다. 그 후로 다양한 종류의
곰팡
이로부터 다양한 항생제가 발견되어 인류를 감염병의 위험에서 구해줄 수 있게 되었다. 페니실린이 처음 사용되기 시작한 1943년은 제2차 세계대전중이었으며, 전상자 치료에 페니실린이 이용되면 짧은 시간에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감염병 피해, 크게 줄어들고 있다
2023.09.24
존재할 리가 없다’는 생각을 했다. 토양속의
곰팡
이를 연구하던 그는 광범위하게
곰팡
이 속에 들어있는 물질을 분리하고 그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여러 종류의 항생제를 찾아내는데 성공했다. 열심히 일을 하기는 했지만 의학발전에 도움이 될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시하지는 못한 왁스만도 1952년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항생제 내성균은 세균이 진화하는 증거
2023.02.28
실마리가 보이기 시작했다. 세균감염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물질을 합성할 수도 있고,
곰팡
이로부터 찾아낼 수도 있음을 알게 된 학자들은 그로부터 지금까지 약 한 세기가 지나는 동안 세균감염을 해결할 수 있는 수많은 물질을 찾아내어 약으로 판매하고 있다. 문제는 20세기 중반 이후 그 ... ...
[표지로 읽는 과학] 공중에 뿌려진 씨앗을 땅 속에 정확히 심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18
씨앗을 평평한 땅에 넣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이번에 개발된 운반체는 비료나
곰팡
이 그리고 과학 연구를 위한 센서를 다루는 데도 사용될 수 있다”고 말했다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수출용 라면 속 유해물질...허용기준은 제한속도와 같아
2023.02.01
옥사이드는 가공식품을 생산하는 과정에서도 식품재료에 묻어있는 세균·바이러스·
곰팡
이 등의 살균소독제로 사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에틸렌 옥사이드는 사람에게 암을 일으키는 것으로 확인된 ‘1군 발암물질’이기 때문에 거의 모든 국가에서 가공식품에서의 잔류 허용기준을 실질적인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한국사회가 이호왕 연구그룹을 기억해야 하는 이유
2022.07.14
미국인 동료이자 NIH에서 근무하던 벨리슨 박사의 편지에 쓰인 들쥐의 폐에 기생하는
곰팡
이 독소라는 힌트를 통해, 들쥐의 폐를 조사하게 됐고 바로 여기서 ‘한탄바이러스’를 발견하게 된다. 한탄바이러스의 발견 이후 이호왕의 인생은 크게 바뀌었다. 그는 노벨상 후보로 거론되는 것은 ... ...
1
2
3
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