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감수성
감응성
반응성
자극 감수성
흥분
뉴스
"
흥분성
"(으)로 총 64건 검색되었습니다.
"조현병, 마음의 병 아닌 생물학적 장애" 근거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5.04.24
뇌에 다양한 세포를 만들지만 AS3MTd2d3변이가 있으면 줄기세포이 분화 균형이 무너지면서
흥분성
신경세포가 줄었다. 건물을 지을 때 벽돌 등 일부 재료가 부족한 상황처럼 뇌의 설계도는 있지만 필요한 재료가 제대로 공급되지 않아 뇌에 구조적 결함이 생기는 상황에 비유됐다. 특히 대뇌 피질 ... ...
뇌처럼 생각하고 반응하는 반도체 소자
동아사이언스
l
2025.04.16
두 층이 맞닿는 계면에서는 전자가 자유롭게 빠르게 이동하는 층이다. 층의 양 끝에는
흥분성
및 억제성 신호에 모두 반응하는 뉴런형 소자를 연결했다. 이렇게 만든 뉴랜지스터는 독특한 구조 덕분에 게이트 전압의 극성에 따라
흥분성
(EPSP) 또는 억제성(IPSP) 반응을 선택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 ...
1mm³에 5.4km의 신경세포 연결...쥐 뇌구조와 연결 상세지도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4.11
기능적 반응, 유전자 발현 정보를 하나로 결합했다는 데 있다. 세포 유형 간의 연결 양상,
흥분성
뉴런 간의 일반적인 결합 규칙, 유전자 발현 패턴에 따라 구분되는 신경 연결 방식 등 다양한 분석이 이뤄졌다. 분석 결과 뇌 속 '씨앗 하나' 크기의 공간 속에는 복잡하고 정교한 신경 회로가 빼곡히 ... ...
"디저트배 따로 있어" 과학적 근거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2.14
하나인 시상하부의 신경세포 'POMC'가 담당한다. POMC는 포만감을 조절하는 주요 뉴런으로
흥분성
멜라노코르틴 신경펩티드를 통해 배가 부를 때 음식 섭취를 줄이도록 한다. 연구팀이 생쥐의 뇌를 분석한 결과 POMC은 생쥐가 포만감을 느낄 때 설탕을 먹으면 포만감 자극 물질뿐 아니라 체내 마약성 ... ...
머릿속 '별세포' 칼슘 신호 조절해 뇌졸중 치료
동아사이언스
l
2025.02.13
널리 사용되는 채널로돕신-2(ChR-2)가 여러 이온을 동시에 세포 내에 유입시켜 신경세포의
흥분성
을 직접 조절하는 것과 달리 옵토스팀원은 세포막의 채널을 통해 칼슘 이온만을 선택적으로 유입시킨다.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칼슘 신호 조절이 가능하다. 연구진은 운동 기능 회복과 관련이 깊은 ... ...
태아 뇌 속 '만능세포' 분화 메커니즘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2.24
신경세포다. P18 단백질은 인터뉴런을 만드는 유전자를 발현해 신경줄기세포에서
흥분성
뉴런, 교세포, 인터뉴런 등 서로 다른 계통의 세포를 차례로 만드는 조절 인자로 작용했다. 코소도 책임연구원은 “이 연구는 다양한 종류의 뇌세포들이 어떻게 적절한 수와 순서로 만들어지는지 이해하는데 ... ...
배터리 소재 '리튬', 자폐증 치료에도 효과
동아사이언스
l
2024.12.23
뇌 크기 등의 변화를 다각적으로 분석했다. 그 결과 Dyrk1a 유전자 결손은 시냅스의 밀도와
흥분성
시냅스의 기능을 감소시켰고 신경세포 가지 구조를 축소시키는 등 뇌 구조 및 기능에 심각한 변화를 초래했다. 또 세포 발달과 기능을 제어하는 mTOR 신호전달 경로를 억제해 뇌 성장과 신경세포 ... ...
스트레스, 기억 형성 방해…과도한 공포 유발
동아사이언스
l
2024.11.17
기억에 반응해 작은 엔그램이 형성됐다. 반면 스트레스를 받은 상태에서는
흥분성
신경세포가 신경전달물질인 ‘엔도카나비노이드’를 방출시켜 억제성 신경세포의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수용체'와 결합해 GABA 방출을 막고 더 큰 엔그램이 형성됐다. 연구팀은 “추가 연구를 통해 ... ...
도박중독 벗어날 방법 찾았다…뇌 조작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4.10.28
측좌핵 내 가지돌기 가시 중 버섯 모양의 가시 상당수의 크기가 작아졌으며 세포
흥분성
도 감소했다. 이러한 가지돌기 가시의 변화는 위험추구군에서 보이는 상태와 비슷했다. 라딕신을 주입한 위험회피군 쥐는 실질적으로 위험추구 성향이 증가한다는 점도 확인됐다. 김정훈 교수는 “이번 ... ...
'찌릿찌릿' 전기 자극으로 식욕 없앤다?
과학동아
l
2024.10.12
무작위로 사용하는데 이런 특징이 주어진 전기자극에 대한 뉴런의 적응을 방지하고 신경
흥분성
을 높이는데 효과적입니다. 신 연구원은 "특정 주파수를 반복적으로 사용하면 뉴런이 그 자극에 익숙해져 신경 가소성이 감소해 반응이 둔해질 수 있는데 tRNS는 뉴런의 반응성을 유지하거나 오히려 더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