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printer
인쇄기
외장하드
프린트
레이저프린터
엑스박스
핸드폰
뉴스
"
프린터
"(으)로 총 448건 검색되었습니다.
소형 위성용 초정밀 엔진, 3D
프린터
로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9.03
3D)
프린터
로 제작한 위성용 우주 엔진 제작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 포스텍 제공 3차원(3D)
프린터
로 만든 손톱만 한 우주 위성용 엔진이 개발됐다. 소형 위성 시대를 여는 데 한 걸음 더 다가갔다는 평가가 나온다. 포스텍은 김형섭 친환경소재대학원·신소재공학과 교수와 김동식·이안나 ... ...
[씨즈더퓨처] 실험실 한우의 맛
SEIZE
l
2025.09.02
소고기와 비슷해 보였다. 이전까지 개발돼 온 배양육은 대부분 근육과 지방 세포를 3D
프린터
로 굵은 실처럼 뽑아 층층이 쌓았던 탓에 살코기와 지방이 고르게 섞이지 못했지만, 티센바이오팜의 배양육은 빨간 살코기 사이사이에 하얀 마블링이 미로처럼 고르게 퍼져 있었다. 씨즈는 배양육으로 ... ...
프린터
처럼 찍어내는 초고감도 바이오센서
동아사이언스
l
2025.08.26
DIGST 제공.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이윤희 바이오메디컬연구부 선임연구원 연구팀이
프린터
처럼 잉크를 뿌리는 간단한 방식으로 초고감도 바이오센서를 대량 제작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 고가의 복잡한 장비 없이 민감하고 정밀한 센서를 제작할 수 있어, 향후 ... ...
'빠르게 가볍게'…스페이스X처럼 로켓 부품 3D 프린팅으로 만드는 이노스페이스
동아사이언스
l
2025.08.20
근무하던 그는 미국 출장 중 우연히 소형 3D
프린터
를 보고 매료됐다. 호텔방에서 3D
프린터
를 작동시켜 보면서 고객 선물용 기념품을 제작할 정도였다. 이후 3D 프린팅으로 커리어를 전환했다. 관련 석사 학위를 따고 기업에서 3D 프린팅 제조 엔지니어로 일했다. 이후 대규모로 금속 3D 프린팅을 ... ...
로봇 농게가 집게발 흔들자 진짜 농게가 '기싸움'
동아사이언스
l
2025.08.06
인식해 자신의 행동을 조절하는지 살펴보기 위한 실험을 설계했다. 연구팀은 3차원(3D)
프린터
와 조립 장난감인 레고 부품 등을 활용해 움직이는 로봇 농게를 만들었다. 이후 포르투갈 남부에 사는 수컷 아프리카농게(학명 Afruca tangeri) 집 근처에 설치하고 로봇 농게의 집게발을 위아래로 흔들며 ... ...
세계 최고층 3D 프린팅 건물 완성
어린이과학동아
l
2025.07.05
건물을 짓는 데 이용된 3D 프린팅은 3차원의 물체를
프린터
로 출력하는 기술입니다.
프린터
가 플라스틱 등의 소재를 한 층씩 쌓아 올려 건물의 형태를 만듭니다. 토르 알바는 32개의 흰색 콘크리트 기둥이 4층 높이로 층층이 쌓아 올려져 있습니다. 약 30m의 높이입니다. 건물의 꼭대기는 둥글고 ... ...
3D 프린팅으로 수소차 핵심부품 제조…원자력연 11호 연구소기업 설립
동아사이언스
l
2025.06.30
따로 진행해야 해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었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이 자체 개발한 3D
프린터
로 수소연료전지용 금속 분리판을 제조하고 있다. 원자력연 제공 더센텍에 이전된 3D 프린팅 기술은 고출력 레이저로 금속 분말이나 와이어를 녹여 층층이 쌓아 올리는 '고에너지 적층 방식(DED)'을 사용해 ... ...
진짜 뇌 같은 3D프린팅 인공 뇌 개발…알코올 주입하자 치매유발 단백질 늘어
동아사이언스
l
2025.06.11
포스텍 제공. 연구팀은 기존 한계를 넘기 위해 ‘생명공학 신경망’(BENN)을 개발했다. 3D
프린터
를 이용해 집을 짓듯 뇌의 구조를 층층이 쌓아 올려 만든 인공 뇌 모델이다. 실제 뇌처럼 ‘회백질’과 ‘백질’ 두 구역으로 나뉘는 것이 핵심이다. 회백질은 신경세포의 본체가 모여있는 영역이고 ... ...
[사이언스영상] 짜서 쓰는 배터리
SEIZE
l
2025.05.17
성능을 유지했고 길이를 두 배로 늘려도 정상적으로 작동했다. 이 배터리는 3D
프린터
에 넣으면 원하는 형태로 만들 수 있다. 덕분에 차세대 웨어러블 기기와 스마트 섬유, 소프트 로봇, 이식형 의료기기 등 여러 미래형 전자기기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현재 전압이 0.9V에 불과해 상용화를 ... ...
[동물do감] 발과 부리로 물회오리 일으켜 새우 잡는 홍학
동아사이언스
l
2025.05.15
새우나 먹이가 아닌 퇴적물은 홍학 입속에 있는 필터 기관에서 걸러진다. 홍학 부리를 3D
프린터
로 모사해 실험한 결과 부리를 두드리면 빨아들이는 소금물새우의 수가 7배나 증가한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연구팀은 "거미가 곤충을 잡기 위해 거미줄을 만드는 것처럼 홍학도 동물, 특히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