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풀밭
목초지
스텝
황야
잔디
잔디밭
목포지
뉴스
"
초원
"(으)로 총 141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들소 이동, 식물 영양분 증가시킨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8.31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대규모 들소 무리가 있는 옐로스톤
초원
은 무리가 없는 곳보다 좋은 환경을 구성했다”며 “1800년대 후반 북미 전역에서 들소가 거의 전멸했을 때 토양 및 식물 영양 상태 등을 유추할 수 있는 연구결과”라고 말했다 ... ...
스파링하는 사이가산양…2025 BMC 이미지 경진대회 수상작
동아사이언스
l
2025.08.15
마리의 수컷 사이가산양(학명 Saiga tatarica)이 탁 트인
초원
에서 겨루고 있다. 중앙아시아
초원
에 서식하는 사이가산양은 먼지를 걸러내고 찬 공기를 데우는 커다란 관 모양의 코가 특징이다. 사이가산양을 촬영한 안드레이 길요프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대 연구원은 "사이가 산양을 촬영하기 위해 ... ...
"감자의 조상은 900만 년 전 토마토"
동아사이언스
l
2025.08.01
번식할 수 있었다. 덩이줄기의 눈에서 싹을 틔워 새로운 식물이 자라는 방식은 온화한
초원
부터 추운 고산 지대까지 다양한 환경에서 감자가 빠르게 퍼져나가는 원동력이 됐다. 연구팀은 "감자의 기원을 둘러싼 오랜 수수께끼가 마침내 풀렸다"며 "종 간의 자연 교배가 새로운 형질과 종의 ... ...
[표지로 읽는 과학] 3만 7000년 걸친 유라시아 감염병 지도…가축화, 전염병 불렀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7.26
직접적으로 키웠다는 고고유전학적 증거로 해석된다. 이후 수천 년 동안 유라시아
초원
지대에서 시작된 유목민의 이동은 병원체 확산의 또 다른 전환점이 됐다. 연구진은 유라시아 내 인구 이동 경로와 병원체 확산 경로가 서로 일치하는 양상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인류의 이주가 단순한 문화 ... ...
매머드가 돌아온다면?…절멸종 복원 그 다음을 묻다
과학동아
l
2025.06.21
놓고 있다. 이곳이 녹지 않고 단단히 얼어 있으면서 온실가스를 붙잡아두는 식이다.
초원
이 생기면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효과 또한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런 맥락에서 콜로설 바이오사이언스 또한 홈페이지를 통해 "매머드를 복원하고 나면 시베리아에 방사할 것"이라고 소개하고 있다. ... ...
7만년 전 더 극한 환경으로 이동한 인류
동아사이언스
l
2025.06.19
인류의 조상은 아프리카 대륙을 넘고 심지어 섬으로까지 거주 공간을 확장했다. 숲,
초원
, 늪, 사막 등 인류의 발길이 닿지 않은 곳은 거의 없다. 안드레아 마니카 영국 케임브리지대 동물학과 교수 연구팀은 인간이 다양한 공간에 거주하게 된 시점과 원인을 분석하고 연구 결과를 18일 ... ...
[표지로 읽는 과학] 식물은 더위를 어떻게 견딜까
동아사이언스
l
2025.06.15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사이언스는 특집호 소개문을 통해 "
초원
, 열대우림, 농경지 등 많은 생태계가 이미 극심한 온도 변화로 고통받고 있다"며 "식물이 고온에 어떻게 반응하고 적응하는지를 다양한 규모에서 이해하는 것은 앞으로의 기후 위기에 대응하는 핵심 ... ...
[ISS2025] "위성영상 자동 분석해 20~40분내 산불 위험 경고"
동아사이언스
l
2025.06.05
산불 문제로 매년 고통받는다"고 말했다. 카자흐스탄은 국토 대부분이 넓은
초원
과 산림 지대로 산불 위험이 크다. 산불 감시 기술의 가장 큰 문제는 산불 위험을 감지하고 경고를 전달하기까지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린다는 점이다. 이오노스피어 연구소는 위성 탑재 센서인 VIIRS 등을 활용해 위성 ... ...
[표지로 읽는 과학] 북미 야생말이 사라진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5.05.18
북극의 베링 육교가 물에 잠겼고 대륙 간 연결 통로가 끊겼다. 동시에 북미의 넓은
초원
은 습지와 이탄지로 바뀌며 먹이 접근성이 나빠졌고 말의 이동성은 떨어졌다. 이런 환경 변화가 북미 말 개체 수 감소로 이어진 것이다. 다양한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무스나 엘크 같은 동물은 살아남았다. ... ...
15만년 전 인류, 열대우림에도 살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2.28
열대우림보다는 호수나 강 근처에서 물을 확보하면서 넓은 시야가 확보되는 개방된
초원
환경에 살았던 것으로 알려져있다. 현 인류의 조상인 호모 사피엔스는 약 30만년 전 아프리카에서 출현했으며 당시 이들이 살았던 환경은 건조하고 드넓은 사바나였다는 것이다. 인류가 열대우림에 처음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