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점성가
뉴스
"
천문학자
"(으)로 총 534건 검색되었습니다.
AI '딥시크'는 시작에 불과…中 과학굴기의 현주소
과학동아
l
2025.04.26
UBTech, 게티이미지뱅크, 과학동아 제공 한 번은 요행일 수 있지만 두 번부터는 실력이다.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가 1월 25일 선보인 인공지능(AI) 모델 '딥시크-R1'이 세계를 놀라게 한 데 이어, 3월 5일엔 중국의 스타트업 마누스 AI(ManusAI)가 공개한 AI 에이전트 '마누스'가 이목을 끌고 있다. 두 AI 모델은 ... ...
韓 주도 연구팀, 45년만에 은하단 진화과정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5.03.31
은하단 외곽으로 갈수록 나선은하의 비율이 증가한다. 이런 규칙성은 1980년 미국
천문학자
앨런 드레슬러가 처음 발견해 보고했지만 그동안 원인과 메커니즘이 규명되지 않았다. 연구팀은 HR5를 활용해 160개의 은하단 내에 있는 은하 4500여 개의 형성 과정을 시뮬레이션했다. 실험 결과 100억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기대이하 소행성 '베누' 시료…과학에 절제도 필요
2025.02.19
소행성 베누. 위키미디어 제공 지난 1월 30일자 학술지 '네이처’의 표지논문을 보면서 좀 의아했다. 소행성 베누에서 가져온 시료를 분석한 내용으로 고농도의 염을 함유한 용액에서 여러 광물이 형성된 과정을 재구성한 내용이다. 같은 날 자매지인 '네이처 천문학’의 사이트는 베누 시료에 존 ... ...
韓 참여 우주망원경 '스피어엑스' 28일 발사…"은하 전체 관측해 외계생명 탐사"
동아사이언스
l
2025.02.12
데이터는 모두에게 공유되기 때문에 이를 활용해 공식적인 연구 참여자뿐 아니라 한국
천문학자
들만의 과학 연구를 진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스피어엑스의 관측 데이터는 2달 간격을 두고 전세계에 모두 공개될 계획이다. 스피어엑스 우주망원경 관측을 통해 얻어질 적외선 3차원 ... ...
2032년 지구 충돌 예상 소행성, 충돌 확률은 '들쭉날쭉'
동아사이언스
l
2025.02.09
관측을 통해 불확실성이 낮아지면 충돌 확률도 떨어지는 경향을 보인다는 것이다.
천문학자
들은 2024 YR4의 향후 충돌 확률이 0에 이를 수 있다는 점에서 현시점에서 충돌을 걱정할 필요는 없다고 보고 있다. 다만 다른 소행성보다는 상대적으로 충돌 확률이 높아 NASA와 ESA는 2024 YR4의 움직임을 ... ...
2032년 지구 충돌 가능성 1.2% 소행성 발견…최대폭 100m
동아사이언스
l
2025.02.02
1% 이상이고 국지적 파괴를 일으킬 수 있다는 평가에 따라 '토리노 척도' 3등급에 올랐다.
천문학자
와 대중의 주의가 필요한 수준이다. 토리노 척도는 소행성이 지구에 충돌할 확률과 충돌했을 때 발생하는 예상 피해에 따라 위험도를 분류한 기준으로 위험이 전혀 없는 0부터 인류 문명에 심각한 ... ...
스페이스X 로켓 '스타십' 시험발사, 현지에선 '민폐' 지적
동아사이언스
l
2025.01.30
스페이스X의 스타십이 7번째 시험 발사를 하고 있다. UPI/연합뉴스 제공 미국 도널드 트럼프 2기 정부가 출범하며 후보 시절 트럼프의 강력한 지지자였던 일론 머스크의 영향력이 미국에서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함께 머스크가 이끄는 우주기업 스페이스X가 달·화성 탐사를 목표로 개발 중인 ... ...
재생에너지 프로젝트에 세계 최고 우주망원경 일부 '실명' 위기
동아사이언스
l
2025.01.20
만든 수소 등 재생에너지를 해외에 대규모로 수출할 계획을 갖고 있어 에너지 회사 대신
천문학자
들의 손을 들어줄지 귀추가 주목된다. -https://doi.org/10.1093/mnras/stac292 ... ...
LA화재 화마 겨우 피한 NASA 제트추진연구소·윌슨 산 천문대
동아사이언스
l
2025.01.12
큰 망원경이 있던 윌슨 산 천문대도 산불의 위협이 턱밑까지 미쳤다. 윌슨 산 천문대는
천문학자
에드윈 허블이 우주의 팽창을 발견한 역사적인 장소이기도 하다. 현재는 6개의 망원경을 활용하는 카라(CHARA) 망원경 시스템을 사용해 별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다. 천문학을 대중에 홍보하는 ... ...
AI 장착 로봇 발전 눈부신데…"유인 우주 탐사 필요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5.01.02
것이다. 일부 과학자들은 인간 우주비행사가 꼭 필요한지 의문을 제기했다. 영국 왕립
천문학자
인 마틴 리스 교수는 BBC에 "로봇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고 인간을 보낼 명분은 점점 약해지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인간을 우주로 보내는 데 납세자의 돈을 사용하면 안 된다고 생각한다"며 "부유한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