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찰흙"(으)로 총 22건 검색되었습니다.
- 당신이 '='의 의미를 모두 안다고 생각한다면 '착각'동아사이언스 l2024.06.30
- 연구하는 분야다. 위상수학에서는 구멍을 내거나 가위로 자르지 않고 어떤 도형을 찰흙처럼 주물러 다른 도형으로 만들 수 있으면 두 도형을 같다고 정의한다. 위상수학자들은 도형의 점, 선, 면의 위치 관계에만 관심이 있기 때문에 도넛과 커피는 구멍이 하나인 물체로 같다. 하지만 다른 분야에서 ... ...
- [주말N수학] 기하학에서 '재다'의 의미는수학동아 l2023.05.20
- 도넛과 머그잔이 위상적으로 같다고 이야기해요. 두 물체 모두 구멍이 ‘하나’이므로, 찰흙을 변형시키듯 연속적으로 도넛을 줄이고 늘리고 하다 보면 머그잔을 만들 수 있기 때문이에요. 이렇게 어떤 물체의 구멍 개수를 ‘재는’ 게 중요해집니다. 이것도 이번 주제인 ‘재는’ 문제인 셈이지요 ... ...
- [지구는 살아있다] 강원도 태백 구문소에는 고생대 기후의 흔적이 남아있다2022.06.25
- 석회암의 더 신기한 점은 석회암 중간중간에서 발견되는 네모난 자국입니다. 누가 찰흙에 찍은 것처럼 완전히 네모난 자국 안에 흰색의 결정이 가득 차 있습니다. 이 흔적을 남긴 범인은 바로 소금입니다. 소금 결정은 항상 정육면체 모양으로 자랍니다. 석회암이 만들어질 때 주사위 모양의 소금 ... ...
- 노벨물리학상 받은 '위상물질' 특성 밝혔다...양자컴퓨터 활용 기대동아사이언스 l2019.10.23
- 016년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다. 위상물질은 ‘구멍의 수’로 상태를 구분한다. 찰흙으로 만든 공과 도넛을 예로 들어보면, 위상학적으로 볼 때 공과 도넛은 고체와 액체처럼 다른 상태다. 하지만 반지와 도넛은 구멍이 1개로 위상학적으로 같은 상태다. 위상물질로 제작한 전자소자는 여러 양자가 ... ...
- [주말N수학] 수학적으로 베이글과 머그잔은 똑같다수학동아 l2019.09.14
- 있다고 생각합니다. 중간에 구멍을 1개 낸 베이글 모양 찰흙이 있다고 상상해봅시다. 찰흙을 뜯거나 새로 연결하지 않고 그대로 잘 주물러서 펼치거나 모양을 다듬어 머그잔 모양으로 만드는 건 충분히 가능한 일입니다. 이럴 때 위상수학에서는 베이글과 머그잔이 ‘위상 동형’이라고 ... ...
- 자연에 없는 '마법의 물질’을 설계한다동아사이언스 l2019.06.28
- 물체를 누른다고 해보자. 아래로 납작해지면서 옆으로 볼록 튀어나올 것이다. 고무도, 찰흙도,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철이나 콘크리트도 다 이런 현상을 보인다. 반대는 어떨까. 누르면 홀쭉해지고 당기면 두꺼워지는 마법 같은 물질이 존재할 수 있을까. 이학주 파동에너지극한제어연구단장 ... ...
- [미리 체험하는 의료로봇]⑥ 진화하는 인공관절 수술봇 동아사이언스 l2019.05.14
- 분. 하얗게 드러난 위아래 무릎뼈가 '요(凹)'자처럼 오목하게 파였다. 그 자리에 고무찰흙처럼 부드러운 골시멘트를 바른 임플란트를 끼웠다. 마치 장난감 블록을 끼운 것처럼 빈틈없이 딱 들어맞았다. 사람이 직접 깎았을 때보다 더 깎은 곳도, 덜 깎은 곳도 없이 임플란트 모양에 맞춘 덕분이다. ... ...
- [주말N수학] 삼각형으로 둘러싸인 n차원 구 문제2019.02.16
- 수학동아 도넛과 손잡이가 하나인 컵이 위상수학적으로 같다는 말이 있습니다. 찰흙으로 도넛 모양을 만든 다음 칼로 자르거나 구멍 내지 않고 조물조물 만지면 손잡이가 하나인 컵 모양을 만들 수 있어 위상수학적으로 같다고 합니다. 같은 원리로 구와 모든 다면체도 위상수학적으로 같습니다.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나홀로 성탄절, 파티를 시작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12.22
- 걸까? → 결과 : 구멍에 바람을 불어넣으면 음악을 연주할 수 있다. 빨대의 한쪽 끝을 찰흙으로 막으면 빨대는 한쪽 끝이 막힌 관악기가 돼요. 여기에 바람을 불어넣으면 빨대 안에서 공기가 진동하며 소리를 내지요. 1초 마다 공기가 진동하는 횟수가 클수록 높은 음정이 나고, 작을수록 낮은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가득 채우면 물이 사라지는 마법의 잔어린이과학동아 l2018.11.21
- 다음, 다른 빨대에 끼운다. ② 두 빨대를 연결한 부분으로 공기가 들어오지 않도록 고무찰흙으로 잘 막아준다. ③높은 곳에 있는 컵에 물을 채우고 빨대의 한쪽을 담근다. 반대쪽에서 입으로 물을 살짝 빨아들여 빨대를 물로 채운 후 낮은 곳에 있는 컵에 놓아 보자. ● 어떻게 된 걸까? ... ...
1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