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당함
적절함
합목적성
뉴스
"
적합함
"(으)로 총 1,862건 검색되었습니다.
상용 통신망에서 고가 장비 없이 양자암호 254km 전송
동아사이언스
l
2025.04.25
차세대 통신 기술인 양자암호통신은 누군가 도청하려고 하면 사용자가 이를 바로 감지할 수 있어 이론적으로 해킹, 도청이 불가능하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양자역학 원리를 이용한 양자암호통신은 이론적으로 도청이 불가능한 '완벽 보안'을 구현할 수 있는 차세대 통신 기술이다. 과학자들이 고 ... ...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한계 넘었다…유전자 6개 동시 교정
동아사이언스
l
2025.04.24
국내 연구진이 기존 크리스퍼 유전자가위의 한계를 극복한 고효율 다중 유전자 교정 기술을 개발했다. 유전자가위 기술을 나타낸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국내 연구진이 기존 크리스퍼 유전자가위의 한계를 극복한 유전자 교정 기술을 개발했다. 바이오파운드리 기반의 자동화된 유전자 설 ... ...
친환경 항공유로 거듭난 폐목재 유래 성분
동아사이언스
l
2025.04.24
국내 연구진이 폐목재 등에 풍부하게 들어 있는 성분인 리그닌을 친환경 항공유 원료로 전환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목재의 이미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폐목재 등에 풍부하게 들어 있는 성분인 리그닌을 친환경 항공유 원료로 전환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항공 산업의 탄소 ... ...
2차원 물질 오염 없이 쌓는 공정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4.22
설재훈 광주과학기술원(GIST) 교수팀이 반데르발스 힘을 이용한 이황화몰리브덴(MoS2) 전사 실험을 시연하고 있다. GIST 제공 국내 연구팀이 2차원(2D) 물질로 소자를 만들 때 발생하는 오염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는 방법을 제시했다. 2차원 물질을 활용한 차세대 전자·광소자의 성능과 신뢰도를 크 ... ...
초음파로 무선 충전 가능한 생체 삽입형 배터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4.20
허성훈 KIST 선임연구원, 송현철 고려대 교수 공동 연구팀 단체 사진. K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초음파를 수신해 무선 충전되는 생체 삽입형 배터리 기술을 개발했다. 개발한 배터리를 차세대 웨어러블 및 이식형 전자기기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허성훈 KIST ... ...
[의학바이오게시판] 질병청, 감염병 대유행 대비 비축물자 계획 수립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4.18
질병관리청 제공 ■ 질병관리청은 17일 2025년 제1차 감염병관리위원회에서 ‘제2차 국가비축물자 중장기계획‘을 확정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중장기계획은 감염병 대유행에 대비해 비축이 필요한 의료·방역 물품을 재검토하고 세부 운영 방안을 마련하고자 수립됐다. 중장기계획에는 2025~2029년 ... ...
흐르는 혈액의 적혈구 배열까지 분석하는 전기 진단법
동아사이언스
l
2025.04.18
왼쪽부터 이예성 광주과학기술원(GIST) 기계로봇공학과 석박통합과정생, 즈바노브 알렉산더 연구교수, 양성 교수. GIST 제공 국내 연구팀이 혈액이 흐르는 상태에서 혈액 구성성분의 전기적 특성을 실시간으로 측정·분석해 혈액 검사 지표를 도출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기존 임상 혈액검사 대 ... ...
간부전 환자 위한 돼지 간 이종이식, 첫 임상시험 승인
동아사이언스
l
2025.04.16
중증 간부전 환자에게 돼지의 간을 이식하는 치료법에 대한 안전성을 확인하는 임상시험이 처음으로 실시된다. 간을 나타낸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중증 간부전 환자에게 돼지의 간을 이식하는 치료법에 대한 안전성을 확인하는 임상시험이 처음으로 실시된다. 인간 간을 이식받는 것이 어 ... ...
전자 피부에도 지문 새긴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4.14
지문을 전자 피부에도 새길 수 있는 기술이 나왔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지문을 전자 피부에도 새길 수 있는 기술이 나왔다. 전자 피부에 새긴 인공 지문이 같을 확률은 사람 지문이 같은 확률인 640억분의 1보다 10³²배 더 낮다. 인공지능(AI) 로봇에 전자 피부를 이식해 고유 식별이 가능한 지문을 ... ...
양자컴으로도 해독 어려운 양자내성암호, 국내 시범 도입
동아사이언스
l
2025.04.14
기존 암호체계는 고전적인 컴퓨터 알고리즘으로는 시간이 너무 오래 걸려 해결이 거의 불가능한 수학 문제를 활용한다. 양자내성암호는 기존 암호보다 훨씬 복잡한 수학적 문제를 기반으로 기존 컴퓨터와 양자컴퓨터 모두에서 해독이 어려운 차세대 암호기술이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기존 컴퓨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