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세파
윤
파동
뉴스
"
잔물결
"(으)로 총 18건 검색되었습니다.
안전한 빛을 찾아서…불꽃놀이의 명과 암
어린이과학동아
l
2025.01.04
닳아서 추락할 위험 등의 문제점도 여전히 있습니다. 바닷물 위의 윤슬. 윤슬은
잔물결
을 따라 햇빛이나 달빛이 반짝이는 모습을 일컫는 말이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가장 평화로운 놀이법은 자연을 있는 그대로 바라보면서 즐기는 겁니다. 진정철 시셰퍼드 코리아 대표는"바다에 비치는 햇빛과 ... ...
우주 비밀 담은 중력파 관측하러 우주로 간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2.05
질량을 가진 2개의 천체가 충돌하면 충격의 여파로 시공간이 뒤틀리면서 우주 공간에
잔물결
이 일듯 중력파가 퍼져나간다. 중력파를 통해 전자기파 분석만으로는 포착하지 못한 우주의 수많은 천체를 관찰한다는 게 천문학계의 기대다. 아인슈타인이 1915년 일반상대성이론을 통해 예측한 후 201 ... ...
별의 ‘반짝임’ 소리로 표현…“오싹할 정도로 매혹적”
동아사이언스
l
2023.07.28
것처럼 보이게 된다. 그런데 별 자체도 이미 '반짝임'을 가지고 있다. 별 표면의 가스가
잔물결
처럼 일렁이며 반짝이는 현상을 만든다. 하지만 이는 현재 지구에서 포착하기 어렵다. 에반 H. 앤더스 미국 노스웨스턴대 천체물리학 학제간 탐사·연구센터(CIERA) 박사후연구원 연구팀은 별의 ... ...
꽉 막힌 고속도로, 추월하면 빨리 갈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2.09.08
정체를 유발하는 원인이 된다. 버솔드 호른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교수는 일종의 '
잔물결
효과'로 교통체증이 발생한다고 설명했다. 도로 중간에서 누군가 아주 짧게 멈추는 순간이 연쇄적으로 멈춤을 유도해 장기간 교통체증으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이 이론은 실험을 통해 입증되기도 했다. 2 ... ...
블랙홀이 중성자별 먹어치웠다…블랙홀과 중성자별 충돌로 생긴 중력파 첫 관측
동아사이언스
l
2021.06.30
같은 무겁고 밀도가 큰 천체가 충돌해 하나로 합쳐지면 그 충격의 여파로 우주 공간에
잔물결
인 중력파가 퍼져 나간다. 2017년 중력파의 존재를 처음 확인한 과학자 3명은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고, 이후 중력파 천문학 연구가 활발히 이뤄졌다. 당시 노벨상 수상 성과는 미국에 설치된 중력파 ... ...
[IBS 과학리포트] 강력했던 2020년 장마는 과연 지구온난화가 주요 원인일까
2020.08.26
고원 적설 면적이 평년과 다르게 바뀌면 대기 정체파(연못에 돌을 던지면 발생하는
잔물결
과 유사)가 발생될 수 있다. 고기압과 저기압이 번갈아 나타나는 대규모 파동은 지역 몬순 시스템과 상호작용하면서 바람의 방향을 바꾸고, 작은 날씨 요란들의 경로를 바꾸거나 강도를 변화시킨다. 이와 같은 ... ...
땅밑에서 우주 탄생 비밀 푼다…日 아시아 첫 중력파검출기 연말 가동
동아사이언스
l
2019.01.11
검증된 지 100년이 되는 해다. 아인슈타인은 일반상대성이론을 통해 ‘시공간의
잔물결
’로 불리는 중력파를 예측했다. 중력파는 블랙홀, 중성자별이 병합되는 것처럼 질량이 있는 물체가 가속 운동을 할 때 발생하는 파동이다. 빛의 속도로 전파되면서 주변 시공간을 휘게 만든다. 중력파를 ... ...
[이강운의 곤충記] 직접 알을 품는 물장군의 부성애
2018.07.11
짝짓기 중인 물장군 - 홀로세생태보존연구소 제공 수컷이 짝짓기 신호로 물속
잔물결
을 일으키고 러브콜을 받아들인 암컷과 짝을 이뤄 산란을 시작한다. 산란목(産卵木)에 암·수가 자리를 잡은 후 무려 2시간 40분에 걸친 긴 산란. 윗부분이 움푹 들어간 좁쌀 모양의 70여개 알은 무늬가 없는 ... ...
중성자별 충돌 관측, 신종 오랑우탄...2017년을 빛낸 과학계 10대 사건
동아사이언스
l
2017.12.22
‘킬로노바’ 현상이라고 하는데, 이번에 관측을 통해 처음 입증됐다. ‘시공간의
잔물결
’로 불리는 중력파는 별의 폭발, 블랙홀 생성 등 우주에서 질량이 있는 물체가 가속운동을 할 때 발생하는 에너지 파동으로 시공간을 휘게 한다. 중력파로 조기에 포착한 천체를 다양한 천체 관측법을 ... ...
‘중력파 선구자’ 로널드 드리버 교수 별세
동아사이언스
l
2017.03.10
노벨상 수상이 유력한 것으로 봤지만, 노벨상은 사후 수여되지 않는다. ‘시공간의
잔물결
’로 불리는 중력파는 초신성이 폭발하거나 블랙홀이 생성될 때 발생하는 에너지 파동으로, 물결처럼 퍼져 나가며 주변 시공간을 휘게 한다. 중력파를 관측하면 천체의 시공간 정보를 얻을 수 있다. LIGO ... ...
1
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