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웃턱
윗턱
아래위턱
아래
큰턱
뉴스
"
위턱
"(으)로 총 19건 검색되었습니다.
상어의 무한재생 이빨, 우리도 가질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24.04.06
이 활성화돼 새로운 치아가 생성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사진은 실험 전 페럿의 앞니.
위턱
에 6개의 앞니를 갖고 있다. 2.USAG-1 단백질을 억제하자 중간(노란 화살표)에 7번째 앞니가 자랐다. 3. 7번째 앞니를 촬영한 마이크로컴퓨터 단층촬영(micro-CT) 사진. Science advances 제공 ● 치아 재생이 특히 어려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인류 '파란트로푸스'의 재발견
2023.02.21
파란트로푸스 로부스투스(P. robustus)라는 학명을 지었다. 파란트로푸스 보이세이의
위턱
어금니(왼쪽)를 현생인류(오른쪽)와 비교해보면 이들이 왜 ‘호두까기 인간’이라는 별칭을 얻었는지 알 수 있다. 그러나 치아 마모 상태를 분석한 결과 이들은 호두처럼 딱딱한 음식은 거의 먹지 않았고 ... ...
고래 '수염'이 밝혀준 비밀…라니냐 때마다 먹이활동 수난
연합뉴스
l
2022.03.23
생화학적 흔적 동위원소 분석 60년간 먹이 활동 변화 확인 [UNSW 제공] 고래의
위턱
에 난 뻣뻣한 '수염'(baleen)을 통해 60년 가까운 세월의 행적이 드러났다. 이 수염은 이빨이 없는 고래가 바닷물을 흡입한 뒤 크릴과 같은 작은 먹이를 걸러먹는 이른바 '여과섭식'(濾過攝食) 도구로 이용되고 있다. ... ...
퀸즐랜드의 상공을 날았던 용의 흔적?
과학동아
l
2021.09.06
사는 물고기를 쉽게 잡아먹을 수 있었을 것으로 분석했다. 또 타푼가카 샤위의 상악(
위턱
)도 하악처럼 위로 솟은 산 모양이었을 것이며, 이는 익룡의 비행에 중요한 역할을 했을 것으로 추정했다. 연구팀은 거대한 날개와 두개골 크기, 위아래로 볼록하게 솟은 독특한 형태의 주둥이를 통해 ... ...
전동킥보드 타다 찢어지고 의식 잃고 이빨 깨지고…"부상 줄이려면 헬멧 꼭 써야"
동아사이언스
l
2021.07.30
복잡 치관 골절, 치조골 골절 같은 중증을 겪었다. 대부분 앞니를 다쳤고, 아래턱보다는
위턱
치아가 부상당한 경우가 더 많았다. 또한 전동 킥보드를 타다가 두개안면부나 치아에 외상을 입은 환자는 매년 증가하고 있다는 사실도 알아냈다. 2017년에는 12명에 불과했지만 2018년에는 16명, 2019년 61명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데니소바인은 한반도에도 살았을까
2021.07.13
한 동굴에서 발견된 16만 년 전 아래턱뼈다. 그런데 하얼빈 두개골에는 아래턱뼈가 없다.
위턱
뼈뿐인 두개골에서 추측한 가상의 아래턱뼈와 비교해 가장 가까운 사이라고 결론을 내렸다는 말이다. 이에 대해 위블랭 교수는 “이 분석 결과를 보고 의자에서 거의 미끄러질 뻔했다”며 황당하다는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해부학 시대의 도래
2020.04.16
가치가 무척 높다. 우선 골격과 근육 묘사가 탁월했고 두개골 내부의 비어 있는 공간인
위턱
굴을 최초로 파악했고 특히 황소 두개골 왁스를 주입해 뇌실구조를 알아냈다. 응고된 왁스를 잘라보면 대뇌조직의 절단면을 관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눈과 시신경에 대한 관찰도 탁월해서 시신경이 뇌와 ... ...
호박(琥珀) 속 곤충서 9천900만년 전 꽃가루 매개 확인
연합뉴스
l
2019.11.12
있어 꽃과 식물 사이를 날아다니거나 점프를 하면서 입 근처에 다리와 비슷한 구조로 된
위턱
수염을 이용해 꽃가루를 수집한 것으로 분석됐다. 호박 속의 A.부르미티나를 확대한 장면. 난징 지질·고생물학연구소(NIGPAS) 제공 연구팀은 호박 안에서 A.부르미티나의 몸에 붙어있거나 주변에 있던 6 ... ...
약 380만년전 두개골 화석으로 '루시' 조상 얼굴 복원
연합뉴스
l
2019.08.30
360만년 전이어서 두 종 다 가능성이 있었다. 연구팀은 'MRD'라고 이름을 붙인 이 화석의
위턱
과 송곳니 등에 대한 형태학적 분석을 통해 이를 A.아나멘시스로 결론을 내렸다. [클리블랜드자연사박물관 매트 크로우 제공] A. 아나멘시스는 약 420만년 전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화석이 발굴돼 존재는 ... ...
필리핀에서 6만7000년 전 신종 인류 '호모 루조넨시스'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04.11
전에 아프리카 밖으로 처음 진출해 유라시아 전역으로 퍼졌다. 이번에 발굴돼 연구된
위턱
쪽 치아들이다. 특성 분석 결과 치아는 현생인류와 비슷한 면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제공 하지만 터키 북부 조지아 드마니시 지역의 180만 년 전 지층에서 작은 인류 화석이, 인도네시아 플로레스 ... ...
1
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