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잔인
흉악
거칠음
만풍
흉맹
뉴스
"
야만
"(으)로 총 28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가짜뉴스'로 이득 보는 사람 있다
2025.03.08
예를 들어 과거 유럽 국가들은 식민지화를 정당화 하기 위해 원주민들은 식인을 일삼는
야만
인들이라는 루머를 공공연히 퍼트렸다고 한다. 지금은 특히 어린 여성 연예인들을 향해 악성 루머를 퍼트리고 이를 수익화 하는 사람들도 존재한다. 가짜 뉴스가 돈이 되는 안타까운 세상이 되고 말았다 ... ...
4000년 전 해골에 새겨진 식인 흔적…'인간의 뿌리 깊은 마음'
과학동아
l
2025.03.02
즉 하위인간성은 이런 동물의 본질에서 나왔다는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바르바로이(
야만
인)'라고 불리던 이민족들이 인간의 본질인 이성이 결여된 존재라고 설명했다. 이처럼 비인간화는 오랫동안 인류의 역사와 함께해 온 것이 분명하다. 그런데 문헌 기록이 없던 4000년 전 차터하우스 워렌의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마지막회) 보통과학자론, 과학을 지탱하는 사람들
2022.08.11
해소되는 방법이었다. 하지만 우리는 이미 프롤레타리아 독재가 가져올 폭력과
야만
의 퇴행을 경험했고, 마르크스식의 계급투쟁이 실제로 존재한다고 하더라도 그것을 해소하는 방식이 프롤레타리아의 직접혁명이 아닐 수 있다는 역사적 실험결과를 가지고 있다. 사회의 경제적 불평등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감자 많이 먹으면 지구가 건강해진다
2021.08.24
역효과인가보다. 1988년 서울올림픽 때 한 프랑스 배우가 “한국인은 개를 잡아먹는
야만
인들”이라고 말하자 국내 여론은 ‘다른 문화를 존중하지 않는 무례’라며 분노했고 그 뒤로도 복날이면 여전히 보신탕집이 문전성시였다. 그러나 개가 반려동물로서 ‘가족의 일원’이라는 인식이 널리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공공지식은 누구의 소유인가
2020.08.27
가설을 말한다. 마가렛 데이호프가 활동하던 시절이 남성 과학자들이 과학을 독점하던
야만
적인 시기였음을 생각해본다면, 그가 이런 업적을 이루기 위해 고군분투했던 노력은 엄청난 것이다. 여전히 미국 생물물리학회에서는 가장 뛰어난 젊은 여성과학자를 위한 상을 그의 이름으로 시상하고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공중보건은 도덕의 문제
2020.08.22
죄책감 없이 악한 행동을 저지를 수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특정 인종 사람들은
야만
적이기 때문에 노예로 삼는 것이 정당하다거나 특정 민족은 혐오스러운 존재이므로 학살해도 된다든가처럼 “OO하기 때문에 이 문제에서는 일반적인 규칙, 도덕 규범을 저버려도 된다”는 논리가 한 번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백해무익한 과학기술 문명 비하론
2020.04.15
저절로 주어지는 것이 절대 아니다. 오로지 우리 스스로의 의지와 노력으로 발전시켜
야만
하는 것이다. 우리가 모든 문제를 한꺼번에 뚝딱 해결해주는 요술방망이를 가지고 있는 것도 아니다. 우리의 생존을 위협하는 새로운 문제는 끊임없이 등장할 것이고, 그런 문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 ...
[사이언스N사피엔스] 과학혁명과 뉴턴주의
2020.02.20
사회가 걸어온 타임라인에 우리 역사를 억지로 끼워 맞출 필요는 없다. 다만 몰상식과
야만
이 판칠 때마다 이성적이고 합리적인 논의가 아쉽기도 하다. 최근 주목받고 있는 증거기반 정책수립이나 데이터 거버넌스라는 말도 따지고 보면 과학의 성공요인에서 벤치마킹했다고 할 수 있다. 볼테르는 ... ...
[이덕환의 과학세상]야생동물 식습관만 탓할 일 아니다
2020.02.19
사람들이 혐오의 대상이 되고 있다. 중국의 야생동물 식용 전통도 도마 위에 올랐다.
야만
적이고 비위생적인 음식문화가 문제라는 것이다. 변종 코로나바이러스가 우한의 화난수산물도매시장에서 식용으로 거래되는 박쥐‧천산갑(개미핥기)과 밍크에서 전파되기 시작했다고 한다. 변종 ... ...
네안데르탈인도 조개 잡으러 다이빙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6
연구결과가 나왔다. 한때 현생 인류와 공존한 네안데르탈인이 기존에 알려진 것처럼
야만
적이고 상상력이 부족하지 않았을 것이라는 증거라는 점에서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미국 콜로라도대학 연구원인 파올로 빌라가 이끄는 연구팀은 이탈리아 소재 동굴에 있었던 조개껍질을 분석하고 ... ...
1
2
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