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애인
연인
anne
러버
뉴스
"
앤
"(으)로 총 630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NOW] KAIST 10조 규모 스타트업 생태계 조성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4.14
대응할 수 있는 진단 센서를 개발하고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바이오센서스
앤
바이오일렉트로닉스’에 게재했다고 14일 밝혔다. 기존 진단법은 항체를 활용한다. 바이러스 변이가 발생하면 항체가 바이러스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연구팀은 우리 몸의 특정 수용체인 ACE2 ... ...
첨가제 하나로 리튬 금속 전지 짧은 수명 극복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4.10
최초로 활용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에너지
앤
인바이런멘탈 사이언스’에 2월 13일 게재됐다. - doi.org/10.1039/d4ee03862b ... ...
발암성 물질 제거하는 '활성탄' 재활용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3.2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연구팀이 개발한 폐활성탄 재활용 설비. 에기연 제공. 유해물질을 빨아들이는 역할을 하는 물질인 ‘활성탄’을 재활용하 ... 실현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에너지 에너지 컨버전
앤
매니지먼트 엑스’에 지난해 10월 온라인 게재됐다 ... ...
저렴·유연한 고감도 암모니아 센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3.17
가스 센서를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4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센서스
앤
액튜에이터스 B: 케미컬'에 공개됐다. 암모니아 센서는 공기 중 암모니아를 감지해 실내외 환경 모니터링이나 산업 현장의 유해가스 감지, 질병 진단 등에 활용된다. 센서에 사용되는 브롬화구리막은 암모니아와 ... ...
감염 원인균, 3시간 안에 99% 정확도로 알아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3.12
실험을 통해 임상 적용을 모색할 계획이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바이오센서스
앤
바이오일렉트로닉스’에 1일 게재됐다. - doi.org/10.1016/j.bios.2024.11695 ... ...
돌이킬 수 없는 '각막 손상 실명' 복구하는 줄기세포 치료법
동아사이언스
l
2025.03.05
통해 각막 회복 효과가 확인됐다. 연구팀은 미국 안과·이비인후과 전문병원 매스아이
앤
이어에서 1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CALEC 치료법을 적용한 후 18개월간 추적 관찰했다. 그 결과 환자의 50%가 치료 3개월 후 각막이 완전히 회복됐다. 회복된 환자의 비율은 12개월 후 79%, 18개월 후 77%로 증가했다. ... ...
공기 중 박테리아 농도, AI로 3시간 이내에 탐지
동아사이언스
l
2025.03.05
있는 장비 개발의 토대를 마련한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센서스
앤
액츄에이터 B: 케미컬‘에 1일 게재됐다. - doi.org/10.1016/j.snb.2024.13708 ... ...
"한국이 주도하는 우주망원경 개발 추진"
동아사이언스
l
2025.02.28
정부의 NASA 예산 삭감 등을 단행하고 있는데 한국의 대응 방안은. "국제협력은 결국 기브
앤
테이크라고 본다. 우리가 협상을 하려면 기초 체력이 필요하다. 줄 수 있는 것을 명확하게 확보해야 뭘 달라고 얘기할 수 있다. 아울넷을 통한 한국의 우주물체 감시 데이터 자체 생산도 비슷한 맥락이다. 또 ... ...
얇은 디스플레이 제작 위한 최적의 '진공 조건'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5.02.10
접촉각(ICA)’ 단계, 테이프가 붙었다 떨어지듯 액적의 테두리가 이동하는 ‘스틱
앤
슬립(Stick & Slip)’ 단계 등 4가지 뚜렷한 건조 단계를 보였다. 연구팀은 방울 주변의 압력 변화가 액적 내부 분자 확산 및 표면 장력에 영향을 미쳐 박막 균일성을 결정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가장 균일한 박막을 ... ...
지름 10m 불과한 초소형 소행성까지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2.10
찍은 이미지를 여러 장 쌓아서 움직이는 희미한 물체를 관측하는 데 유용한 '시프트
앤
스택(shift and stack)' 기법을 적용했다. 소행성이 실제로 예측한 위치에 있는지 밝히려면 각 시나리오에 대해 수천 개의 이미지를 바꿔가며 확인해야 하기 때문에 컴퓨팅 자원이 많이 필요하다. 연구팀은 최신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