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송
발신자
발신인
전달
보냄
신호
수신
뉴스
"
송신
"(으)로 총 143건 검색되었습니다.
초음파로 무선 충전 가능한 생체 삽입형 배터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4.20
충전 방식은
송신
코일과 수신 코일 사이의 자기장을 통해 전력을 전달하는 방법이다.
송신
기에서 전자기파 형태로 에너지를 방출하면 수신기에서 이를 수신해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것이다. 연구팀은 고효율 압전 소재와 독자적인 구조 설계를 통해 초음파로 전력을 무선으로 전송하는 ... ...
中, '미니 위성' 이용해 1만2900km 거리서 양자통신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5.03.20
QKD를 가능하도록 중계기 역할을 수행했다. 양자 상태 광 펄스를 지상국에 보냈으며
송신
자와 수신자는 Jinan-1을 매개체로 안전하게 암호 키를 공유했다. 또 이번 실험에서 Jinan-1은 최대 107만 비트의 보안 키를 생성했다. 단일 위성이 통과시킨 암호 키 중 역대 최대 규모다. 기존 위성 대비 성능과 ... ...
'움직이는 환자' 심전도 모니터링 기술, 보험수가 받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2.03
안테나를 사용해 신호가 누락되는 것을 방지한다. 환자가 몸을 움직일 때마다 신호를
송신
하는 데 더 유리한 안테나가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식이다. 일명 '듀얼 커넥션'이라는 기술을 통해 신호 전달 환경의 안정성을 높였다. 이상 신호만을 정확히 분류할 수 있는 것도 장점이다. 알람 신뢰도 ... ...
건물 수천 채 삼킨 LA화재…네이처 선정 1월의 과학 이미지
동아사이언스
l
2025.02.02
들어 올려지고 있다. 이 안테나는 행성 간 임무를 지원하는 지상 기지국으로서 우주선의
송신
신호를 수신한다. ● 쥬라기 고속도로 University of Birmingham 제공 고생물학자들이 영국 옥스퍼드셔 석회암 채석장에서 수백 개의 공룡 발자국을 발견했다. 발자국의 주인은 약 1억6600만년 전 ... ...
우주에서 얻은 태양광 에너지 지구서 쓰는 날 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25.01.28
것이다. 지난해 수신 안테나의 성능을 개량하는 연구를 진행한 국내 연구팀은 올해 전력
송신
안테나의 기술을 실증하고 우주에서 전력을 송출하는 탑재체를 설계하는 등 연구를 이어간다. 전문가들은 한국이 충분히 다른 나라의 우주 태양광 기술을 따라잡을 수 있다고 보고 있다. 김 센터장은 ... ...
땅 안파고 지하자원·매장유물 찾는 자율주행 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25.01.15
지하 탐사로봇을 개발했다고 15일 밝혔다. 지하 레이더 탐사(GPR, Ground-Penetrating Radar)는
송신
안테나에서 광대역 전자기파 파동(Pulse)을 땅속으로 투과시키고 지하 불연속면에서 반사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기술이다. 땅을 파지 않고도 지하 구조, 이상체, 물성 등을 고해상도로 영상화·지도화할 수 있어 ... ...
[양자역학 100년] "해킹 불가라는 양자통신, 표준 선점해야"(하)
동아사이언스
l
2025.01.07
때 부품·장비의 불완전성으로 해킹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통신을 하는
송신
자, 수신자가 있는 물리적 공간에 침입해 해킹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통신선로에서'라는 조건이 붙었다는 설명이다. 이는 기존 통신 기술에도 적용될 수 있는 조건이다. 한 책임연구원은 ... ...
그래핀으로 뇌종양 위치 정확히 잡아낸다…첫 임상시험 임박
동아사이언스
l
2024.11.04
뒤 뇌 위에 올려진다. 기기에는 전기 신호를 수신·
송신
할 수 있는 전극들이 부착돼 있다.
송신
기가 뇌 세포를 자극하기 위해 전기 신호를 보내면 수신기가 뇌세포가 반응하는 전기 신호를 감지하는 방식이다. 전기 신호를 통해 BCI가 정상 뇌세포를 찾아내면 의료진은 이들 세포 주변에 있는 ... ...
우주 240억km 날아가다 잠든 '보이저 1호' 깨웠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1.03
교신하면서 구체적인 문제 원인을 파악하고 보이저 1호를 정상 상태로 복귀시켜 X-밴드
송신
기를 재작동시킬 예정이다. 한편 보이저 1호보다 보름 먼저 발사된 쌍둥이 탐사선 보이저 2호도 천왕성, 해왕성 등 태양계 행성 관측 임무를 마친 뒤 2018년 11월 태양계 밖으로 나가서도 우주를 탐사하고 있다 ... ...
거울 대칭 분자로 '탈취 불가' 광통신 암호화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9.30
보안 통신 체제에서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봤다. 연구팀은 나아가 암호화된 편광 정보를
송신
할 수 있는 제어 소자도 개발했다. 편광 빛을 내는 고효율 양자 나노 막대와 빛에 회전성을 부여하는 와이어 물질을 혼합해 시공간적 해상도가 뛰어난 소자다. 빛의 편광 상태를 제약 없이 표현하고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