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세트
셋트
셑트
세개
set
셑
뉴스
"
셋
"(으)로 총 267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1㎣ 생쥐 뇌에 담긴 우주
동아사이언스
l
2025.04.12
생물에 뇌를 이해하는 데 필요한 설계도를 제공한다”고 말했다. 이번에 발표된 데이터
셋
은 학계에 모두 공개(Open-access) 형태로 제공된다.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86-025-08790 ... ...
1mm³에 5.4km의 신경세포 연결...쥐 뇌구조와 연결 상세지도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4.11
MICrONS 컨소시엄이 확인한 12만 개 이상의 뇌세포 중 일부인 약 1000개의 뇌세포를 나타낸 이미지. 뇌세포의 실제 뇌 활동을 기록했다는 사실을 상징적 ... 생물에 뇌를 이해하는 데 필요한 설계도를 제공한다”고 말했다. 이번에 발표된 데이터
셋
은 학계에 모두 공개(Open-access) 형태로 제공된다 ... ...
서버 안 올려도 셀카를 지브리풍으로…사생활 보호하는 AI
동아사이언스
l
2025.04.09
방식보다 통신량은 적으면서 이미지 생성 품질은 높다는 점도 확인됐다. MNIST 데이터
셋
을 이용했을 땐 지브리풍 이미지를 생성하는 디퓨전 모델(이미지 생성 AI)과도 호환성을 보였다. 최근 챗GPT로 셀카를 지브리풍으로 바꾸는 이미지 생성이 유행하고 있는데 사진을 서버에 올려야 한다는 ... ...
노화 관절, 젊은 관절로 회복할 실마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3.27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단백질이다. 연구팀은 연골조직 내 유전자 시퀀싱 데이터
셋
을 이용해 연골세포 노화가 진행된 연골조직에서 ZMIZ1 단백질 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발견했다. 연구팀은 ZMIZ1 단백질이 'GATA4 단백질'와 결합함으로써 퇴행성관절염의 발병을 가속화한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GATA4 ... ...
뇌종양 등급 95% 정확도로 예측하는 AI
동아사이언스
l
2025.03.17
따른 것으로 최신 진단 기준을 반영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이 외부 검증용 데이터
셋
(TCGA, UCSF 등)을 활용해 테스트를 진행한 결과, GlioMT는 기존 합성곱신경망(CNN)이나 비주얼 트랜스포머 기반 모델보다 성능이 우수했다. 악성 뇌종양의 일종인 ‘성인형 확산성 교모세포종’의 분자 아형과 종양 ... ...
목소리만 듣고 스트레스 감지하는 인공지능 모델
동아사이언스
l
2025.03.06
0%의 정확도로 스트레스 상태를 구별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 향후 대규모 데이터
셋
을 적용하면 성능이 더욱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팀이 개발한 스트레스 탐지 모델은 대화 내용 같은 언어적 정보를 배제하고 음성 톤과 같은 비언어적인 요소만 분석했다. 이는 연구팀의 모델이 교육 ... ...
감정노동 근로자 정신건강 살피는 AI
동아사이언스
l
2025.02.11
필수적이다. 연구팀은 현업에 종사 중인 감정 노동자들을 대상으로 고객상담 데이터
셋
을 구축했다. 일반적인 콜센터 고객에 대한 응대 시나리오를 개발해 31명의 상담사로부터 음성, 행동, 생체신호 등 다중 모달 센서 데이터를 수집했다. 특히 고객과 상담사의 음성 데이터로부터 총 176개의 ... ...
루닛, 네이처 자매지 'AI 기반 면역조직염색 분석' 발표
동아사이언스
l
2024.12.12
암종과 면역조직염색 유형에 대한 분석에서도 0.610의 일치도를 기록하며 단일 데이터
셋
으로 학습된 모델의 0.508을 약 10% 이상 넘어서는 성능을 보였다. 전체 종양 세포 중 면역조직염색 양성인 종양 세포의 비율을 나타내는 '종양비율점수(TPS)' 평가에서도 루닛 스코프 uIHC는 75.7%의 정확도와 0.921의 ... ...
인기 비만치료제 '위고비'가 원래 당뇨 치료제였다?…신약 재창출의 세계
과학동아
l
2024.12.07
생물 정보를 기반으로 유사성을 판단해 어떤 약과 질병이 연결되는지 보는 방식이다.
셋
다 사람이 일일이 검수하기 힘든 빅데이터에서 지금까지 보지 못했던 패턴을 찾아낸다는 공통점이 있다. "인체에는 약 2만 1000개 정도의 단백질이 있다고 알려졌습니다. 알파폴드가 나오면서 이들 대부분의 ... ...
[표지로 읽는 과학] 20년간 급증한 '강력하고 위험한 산불'은?
동아사이언스
l
2024.10.27
사용됐다. 화재가 발생했을 때 어떤 피해가 얼마나 일어나는지 확인하는 매개변수 데이터
셋
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이 데이터들을 활용해 2001~2020년 미국 전역에서 발생한 6만건 이상의 화재를 분석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오늘날 대형 화재는 종종 산불의 규모에 따라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