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물질
방사성
뉴스
"
방사성물질
"(으)로 총 590건 검색되었습니다.
충전 없이도 장기간 전력 공급…차세대 페로브스카이트 베타전지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4.25
별도의 충전 없이도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 가능한 차세대 페로브스카이트 전지를 개발한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SIT) 연구진. 가운데 상단이 인수일 DGIST 교수.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별도의 충전 없이도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 가능한 차세대 페로브스카이트 전지를 개발했다. ... ...
수십조원 규모 연구용 원자로 수출 시장 종주국서 뚫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4.17
17일 서울 종로구에서 열린 미국 미주리대 차세대연구로 설계 수출 관련 간담회. 과기정통부 제공 한국이 원자력 종주국 미국에 연구용 원자로(연구로) 기술을 수출한 것을 계기로 미래 수십조원의 연구로 수출 시장을 선도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졌다. 연구로는 우라늄 핵분열에서 나오는 ... ...
사용후핵연료 임시저장 5년뒤 포화…고준위방폐장 부지 선정 언제?
동아사이언스
l
2025.04.13
2025년 세계 최초로 가동되는 핀란드의 고준위 방폐장 ‘온칼로’. 화강암 지층 지하 420m 암반 터널 아래 구덩이에 처분 용기로 감싼 사용후 핵연료를 매립한다. Posiva 제공. 원자력발전소에서 발생하는 고준위 방사성폐기물인 사용후핵연료 영구 처분장(고준위방폐장) 건설을 추진하는 '고준위 방사 ... ...
중성미자 질량, 수사망 좁혔다…"전자 질량 100만분의 1도 안돼"
동아사이언스
l
2025.04.11
KATRIN 메인 분광기의 내부 전극 시스템을 설치하는 모습. Markus Breig/KIT 제공 과학자들이 현재까지 발견된 우주의 기본입자 중 질량이 정확히 알려지지 않은 유일한 입자인 중성미자의 질량 상한값을 거의 절반으로 줄이는 데 성공했다. 전하를 전달하는 매우 가벼운 입자인 전자 질량의 100만분의 1도 ... ...
미세 가루 방사성폐기물 포장재 국내 첫 승인…처리시간 90% 이상 단축
동아사이언스
l
2025.04.03
은희철 한국원자력연구원 방사성폐기물총괄실장, 전홍래 책임연구원, 김일국 책임연구원, 김효종 연구기술원. 원자력연 제공 국내 연구팀이 미세한 입자성 방사성폐기물이 밖으로 새지 않도록 차단하는 비분산 포장재를 개발하고 처음으로 국내 사용 승인을 받았다. 기존 처리 방법보다 소요시간 ... ...
폐수·폐플라스틱으로 암모니아·화장품 원료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3.25
조승호 울산과학기술원(UNIST) 신소재공학과 교수(왼쪽)와 송명훈 교수. UNIST 제공. 버려진 물이나 플라스틱을 이용해 암모니아와 화장품 원료(글리콜산)를 생산하는 기술이 개발됐다. 친환경 기술로 탄소 배출을 줄이는 동시에 폐플라스을 고부가가치 물질로 바꿀 수 있는 기술이다. 울산과 ... ...
"영국선 지역 3곳이 방폐장 유치 자원…비결은 정보 투명성"
동아사이언스
l
2025.03.20
19일 서울 조선호텔에서 열린 '2025 한-영 클린 에너지 워크숍'에서 데임 수 이온 영국 국립원자력기술아카데미 명예회장이 인터뷰하고 있다. 한국공학한림원 제공 원자력발전소(원전)에서 발생하는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방폐장) 확보 계획이 담긴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관리에 관한 특별법 ... ...
최원호 원안위원장, 방사능재난 대비 비상진료체계 점검
동아사이언스
l
2025.03.07
원자력안전위원회 로고. 원안위 제공 최원호 원자력안전위원회 위원장이 방사능재난 등에 대비한 국가방사선비상진료센터에서 방사선피폭선량평가 시설과 1·2차 방사선비상진료기관 사이의 협력 체계를 점검했다. 원안위는 최 위원장이 7일 한국원자력의학원 국가방사선비상진료센터를 방문해 ... ...
방사성폐기물 속 우라늄 흡착·회수 고성능 신소재
동아사이언스
l
2025.02.24
한국원자력연구원 연구팀이 우라늄 흡착 성능이 우수한 신소재를 개발했다. 원자력연 제공 방사성폐기물에 들어 있는 우라늄은 일반적으로 흡착제를 사용해 추출되며 흡착제는 대부분 해외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국내 연구팀이 우라늄 흡착 성능이 뛰어나면서도 경제적·친환경적인 신소재를 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기대이하 소행성 '베누' 시료…과학에 절제도 필요
2025.02.19
소행성 베누. 위키미디어 제공 지난 1월 30일자 학술지 '네이처’의 표지논문을 보면서 좀 의아했다. 소행성 베누에서 가져온 시료를 분석한 내용으로 고농도의 염을 함유한 용액에서 여러 광물이 형성된 과정을 재구성한 내용이다. 같은 날 자매지인 '네이처 천문학’의 사이트는 베누 시료에 존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