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학
물리
뉴스
"
물리광학
"(으)로 총 348건 검색되었습니다.
ETRI-KAIST, 잡음 보정 없는 양자암호통신 검증…위성·드론·선박 적용
동아사이언스
l
2025.07.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연구진이 양자암호통신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ETRI 제공 국내 연구팀이 양자 암호통신 기술인 '양자 암호키 분배(QKD)'를 양자상태 측정 보정 없이도 구현하는 '측정 보호(MP)' 이론을 최초로 정립하고 실험 검증까지 성공했다. 위성이나 드론, 해상 통신 분야에 실용적인 양자 ... ...
사진 한 장으로 세포 구조·움직임 본다…AI 기반 3D 영상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7.23
세포의 입체 구조와 움직임을 단 한 장의 사진만으로 파악하는 기술을 개발한 포스텍 연구팀. 포스텍 제공 국내 연구진이 세포의 입체 구조와 움직임을 단 한 장의 사진만으로 파악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포스텍은 이상준 기계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디지털홀 ... ...
'별 볼 일 없는' 암흑 은하 무더기 발견…암흑물질 정체에 '한걸음 더'
동아사이언스
l
2025.07.22
암흑 은하는 별을 만들지 않고 빛을 내는 물질도 없어 일반 망원경으로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국내 연구진이 별 없이 암흑물질과 가스로만 구성된 '암흑 은하' 후보를 무더기로 발견했다. 지금까지 보고된 10개 내외에 불과한 암흑 은하 후보보다 10배 이상 되는 규모다. ... ...
복잡한 계산없이 '직관'으로 화합물 구조 예측…차세대 소재 고효율 탐색
동아사이언스
l
2025.07.21
심우영 연세대 신소재공학과 교수팀이 새로운 화합물 구조예측 모델을 통해 미지의 반도체 후보 물질인 'K2In2P3'와 'Na2In2As3'를 예측했다. 후보 물질을 직접 합성하고 분석한 결과 이들의 구조가 모델로 예측한 구조와 일치한다는 사실이 입증됐다. 심우영 연세대 교수 제공 국내 연구팀이 복잡한 계 ... ...
양자 터널 안에서 일어난 충돌…전자의 숨겨진 움직임 첫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5.07.15
전자가 레이저에 의해 원자 속 장벽을 통과하며 이동 경로와 에너지를 표현한 시공간 분포 그래픽. 포스텍 제공 국내 연구진이 영자 역학의 핵심인 ‘전자 터널링’ 과정의 수수께끼를 최초로 밝혀내고 실험으로 증명했다. 반도체, 양자컴퓨팅 등 차세대 기술의 근간이 되는 양자 터널링 현상을 정 ... ...
빛과 전자 초고속 상호작용 첫 확인…대면적 광전자 소자 개발 길 열어
동아사이언스
l
2025.07.08
왼쪽부터 최인혁 광주과학기술원(GIST) 물리‧광과학과 연구원, 이종석 교수. GIST 제공 한미 공동연구팀이 금속 산화물 박막에서 원자층 두께를 조절해 특정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인 편광 방향에 따라 전기 신호를 제어하는 특성인 '이방성'을 구현·관측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결과는 기존 물질에서 ... ...
한국, 세계 최고 정밀 길이 측정기술 확보…국제표준 주도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25.07.04
KRISS가 개발한 광 주파수 빗 분광 간섭계 기반 절대길이 측정 시스템 모식도. KRISS 제공.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연구진이 양자물리학이 허용하는 한계 수준의 정밀도를 갖는 길이 측정 시스템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4일 밝혔다. 예전에는 길이가 짧고 정밀한 자 혹은 길고 정밀도가 떨어지는 ... ...
'먹는 레이저'로 식품·약물 모니터링
동아사이언스
l
2025.07.02
올리브오일을 이용해 레이저를 만드는 방법이 개발됐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과학자들이 식용 재료만으로 레이저를 개발했다. 삼켜도 인체에 무해한 세계 최초의 먹을 수 있는 레이저다. 1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보도에 따르면 마트야스 휴마르 슬로베니아 류블랴나대 수학· ... ...
2차원반도체 발광효율 1600배 향상…초절전 디스플레이 길 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6.27
왼쪽부터 김용빈 물리학과 박사과정, 김연정 물리학과 통합과정, 박경덕 물리학과∙반도체공학과∙융합대학원 교수. 오른쪽 위에서부터 노준석 기계공학과∙화학공학과∙전자전기공학과∙융합대학원 교수, 오동교 기계공학과 박사과정. 포스텍 제공 국내 연구진이 원자층 두께의 2차원반도체에 ... ...
SDT, 양자컴퓨터용 고성능 극저온냉각기 실물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5.06.23
국내 양자기업 SDT가 핵심 부품 대다수를 자체 기술로 제작한 양자컴퓨터용 극저온 냉각기 '크라이오랙(CryoRack)'. SDT 제공 국내 양자기업 SDT가 핵심 부품 대다수를 자체 기술로 제작한 양자컴퓨터용 고성능 극저온 냉각기 실물을 공개하며 세계 양자컴퓨터 냉각기 소부장(소재·부품·장비) 시장에 도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