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회반죽
mortar
뉴스
"
모르타르
"(으)로 총 8건 검색되었습니다.
공동주택 층간소음 해결에 팔걷은 정부…"바닥충격음 저감 기술이 관건"
동아사이언스
l
2023.12.14
구성한 건물구조다. 여기에 충격음을 차단하기 위해 콘크리트 슬래브, 완충재, 마감
모르타르
, 바닥마감재 등을 차곡차곡 쌓는다. 2020년 1월 개정된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은 화장실 바닥을 제외한 공동주택 세대 내 층간바닥을 이루는 콘크리트 슬래브 두께는 210mm밀리미터(mm) 이상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겨울철 당기는 피부도 촉각일까
2023.11.15
세포 사이사이를 지질구조가 채우고 있다. 각질세포가 납작한 벽돌이라면 지질구조는
모르타르
인 셈이다. 물분자가 통과하기 어려운 지질구조는 각질세포의 수분 손실을 막는 역할을 한다. 각질층의 수분량은 10~20%에 불과하고 피부 표면은 지질과 피지로 이뤄진 두께가 0.005㎜도 안 되는 아주 ... ...
日 "오염수 시멘트 응고, 안전성 입증 안돼" PIF 대화록서 표명
동아사이언스
l
2023.08.01
응고 방법을 제안했다. 오염수에 시멘트와 모래를 섞어 고체화한 뒤 탱크에 보관하는 '
모르타르
고체화'를 뜻한다. 그러나 일본은 오염수 고체화 방안에 대해 "이미 검토했으나 안전성이 입증되지 않았다"라고 일축했다. 오염수 고체화는 해양 방류를 대체할 수단으로 이전부터 국내·외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빙판길은 왜 그렇게 미끄러울까
2019.12.25
한 서로 달라붙지 않는다. 그러나 얼음 벽돌 두 장은 쉽게 달라붙는다. 이글루를 지을 때
모르타르
가 없어도 되는 이유다. 이에 대해 패러데이는 어는점보다 낮은 온도에서도 얼음 벽돌 표면에 아주 얇은 액체층이 존재하기 때문이라며 이런 현상을 ‘사전용해(premelting)’라고 불렀다. 얼음 벽돌 ... ...
노후 건물 붕괴 징조는 이것...용산 건물은 왜 무너졌나
동아사이언스
l
2018.06.11
하는
모르타르
가 손실돼 건물의 표면이 일부 벗겨져 나가는 박리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모르타르
가 손실되면 그만큼 건물의 접착력이 약해지기 때문에 즉각적인 보수공사가 필요하다. 건물이 붕괴되기 전 여러 가지 사전 징후가 있을 수 있다. 발견 시 바로 인근 구청에 민원을 접수해야 한다. - ... ...
발화 실험해보니… ‘스티로폼 외벽’ 4분만에 불기둥 치솟아
동아일보
l
2015.01.13
때문이라는 지적이 많다. 건물 외벽에 우레탄폼이나 스티로폼을 바른 뒤 시멘트
모르타르
등을 발라 마무리하는 공법이다. 돌로 외벽을 공사할 때보다 비용이 50% 이상 저렴하고 공사 기간도 절반 정도 단축돼 건축주가 선호한다. 실제 숙박시설이나 웨딩홀 원룸 등 주거용보다 눈에 띄게 하려는 ... ...
첨단 정보기술 - 총체적 협업 시스템 활용해 차근차근
동아일보
l
2014.11.26
2년간의 환경 변화를 예상할 수 있다. 수산나 브라치 연구원은 “건축 문화재에 들어가는
모르타르
의 부식 정도를 측정하면 복원 시 어떤 재료를 써야 할지 판단할 수 있다”고 말했다. 피렌체=김상운 기자 sukim@donga.com [화제의 뉴스] - 100억대 자택 내놓은 강덕수 회장, 왜? - 폈다 휘었다…TV, 내가 ... ...
아우구스티누스 석상 복원에 나노 입자가?
2014.10.31
석조 문화재를 자주 접하게 된다. 깨지거나 금 간 곳에 시멘트와 모래를 섞어 만든
모르타르
를 채워 넣은 것인데, 국보 제11호인 익산 미륵사지 석탑처럼 자갈을 더한 콘크리트로 외벽을 보수한 경우도 있다. 흉해 보이긴 해도 시멘트는 지금까지 가장 뛰어난 재료였다. 하지만 시멘트는 석재보다 ... ...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