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골재
뉴스
"
모래자갈
"(으)로 총 44건 검색되었습니다.
中, 인간닮은 로봇 기술 '굴기'…세계 최초 휴머노이드 하프 마라톤
동아사이언스
l
2025.04.20
19일 오전 7시 30분(현지시간) 중국 베이징시 이좡 경제기술개발구에서 로봇 하프마라톤 대회 ‘2025 베이징 이좡 하프 마라톤 대회’가 열렸다.Artyom Ivanov/TASS/연합뉴스 제공 중국이 세계 최초로 휴머노이드로봇 하프 마라톤대회를 개최하면서 급성장하고 있는 중국의 휴머노이드 로봇 산업이 주목을 ... ...
이산화탄소로 모래 만든다…친환경 건축 자재로 활용
동아사이언스
l
2025.03.19
연구팀이 개발한 이산화탄소를 가두는 모래. 콘크리트를 만드는 재료로 쓰일 수 있다. Northwestern University 제공. 이산화탄소로 콘크리트의 재료가 되는 모래를 만들 수 있다는 점이 확인됐다. 지구온난화 주범으로 꼽히는 이산화탄소를 가치 있게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 제시된 것이다. 알레산드 ... ...
홍콩 사상 첫 공룡 화석 발견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0.25
홍콩에서 처음으로 발견된 공룡 화석. 홍콩 정부 제공 홍콩에서 처음으로 공룡 화석이 발견됐다. 본격적으로 홍콩에서 공룡 화석 발굴 연구가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 홍콩 특별행정구는 23일(현지시간) 성명을 내고 홍콩에서 처음으로 공룡 뼈 화석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공룡 화석은 유네스 ... ...
잇따른 서울 '땅꺼짐'에 전문가들 "지형 취약하고 난개발로 예측 불가능"
동아사이언스
l
2024.09.02
지난 9월 29일 오전 서울 서대문구 연희동 성산로에서 땅꺼짐 사고로 승용차가 빠져 있다. 연합뉴스 제공 서울에서 '싱크홀(땅꺼짐)' 현상이 잇따라 발생하며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수도권 땅꺼짐 현상은 대부분 도시 개발로 발생한 '인재'이지만 지하가 어떻게 이뤄졌는지 알 수 있는 '땅 ... ...
재활용 안되는 기저귀 폐기물, 콘크리트로 둔갑
동아사이언스
l
2023.05.22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한번 사용하면 처치 곤란한 쓰레기가 되는 기저귀 폐기물을 활용한 집이 지어졌다. 콘크리트를 만드는 데 사용하는 모래에 기저귀 폐기물이 혼합됐다. 자연환경에서 분해되기까지 수백 년이 걸리는 기저귀 폐기물의 새로운 활용처가 생길지 관심이 모인다. 바트 드완커 일 ... ...
한국은 공룡 발자국 천국...40년간 고생물학 지평 넓혔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12.17
공룡 발바닥 화석. 어린이 과학동아 DB 우리나라 발자국 화석의 40년 역사 전남에서 발견된 아시아 최초의 익룡 발자국(상)과 동아시아에서 가장 긴 보행렬 화석 (하). 문화재청 1982년 양승영 경북대 교수가 경남 고성군 덕명리 해안가의 진동층에서 한국 최초로 공룡 발자국을 발견했습니다. 그 ... ...
모래에서 물이 나온다...샌드댐 기술 국내 첫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9.23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은 정일문 건설연 수자원하천연구본부 선임연구위원이 산간 지역에 가뭄을 대비할 수 있는 샌드댐을 건설했다고 23일 밝혔다. 건설연 제공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은 물 공급 소외지역에 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모래저장형댐(샌드댐)을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샌드댐 ... ...
소행성 베누 '볼풀' 같아 시료채취 우주선 하마터면 파묻힐 뻔
연합뉴스
l
2022.07.11
오시리스-렉스 접지 전(왼쪽)과 접지 뒤 주변 자갈이 모두 흩어진 장면. NASA 제공 미국 탐사선 '오시리스-렉스'(OSIRIS-REx)가 소행성 '베누'(Bennu)의 시료를 갖고 지구로 돌아오는 중이지만 시료 채취 당시 접지하자마자 반동추진엔진을 가동하지 않았다면 소행성에 파묻히고 말았을 것으로 밝혀졌다. ... ...
'제임스웹' 우주망원경 운용에 들어가기도 전에 유성체와 충돌… 주거울 조정해 성능 유지
동아사이언스
l
2022.06.09
우주에서 관측 중인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의 상상도. NASA 제공 제작에만 약 100억 달러(12조5400억 원)가 든 차세대 우주망원경 ‘제임스웹 우주망원경(JWST)’이 모래 알갱이보다 작은 미소 유성체와 충돌해 감지할 수 있는 수준의 손상을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태양계 곳곳에 퍼져 있는 미소 유성체와 ... ...
메타는 왜 '친환경 콘크리트' 배합 AI를 개발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2.05.09
메타가 개발한 탄소 배출량을 기존보다 40% 줄인 콘크리트. 메타플랫폼 제공 세계 최대 소셜미디어 회사 메타플랫폼(옛 페이스북)이 최근 콘크리트 제조 기술 개발에 나서 눈길을 끌고 있다. 메타는 지난달 27일 콘크리트를 제조할 때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기존보다 약 40% 줄이는 인공지능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