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두개골
뉴스
"
머리뼈
"(으)로 총 43건 검색되었습니다.
포유류 달팽이관 청각 증폭 원리 첫 관찰…난청 치료 전환점
동아사이언스
l
2025.09.11
입증한 연구결과를 10일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했다. 인간의 달팽이관은
머리뼈
속 가장 단단한 부분에 깊숙이 자리하고 있다. 내부 구조가 워낙 섬세해 꺼내는 순간 쉽게 손상되기 때문에 실제 작동 과정을 관찰하기 어려워 곤충이나 개구리 등 동물을 활용해 청각의 원리를 ... ...
뇌의 무게는 얼마나 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5.06.28
2013년까지 발표된 신경과학 연구 논문을 분석했습니다. 그 결과 남성은 여성보다
머리뼈
내부 공간이 12% 더 컸으며 반대로 여성은 오른쪽 전두엽의 부피가 더 컸습니다. 전두엽은 대뇌의 가장 앞쪽에 위치한 부위입니다. 연구팀은 “부피 차이가 나는 부위는 주로 감정 등과 관련돼 있다”고 ... ...
4000년 전 해골에 새겨진 식인 흔적…'인간의 뿌리 깊은 마음'
과학동아
l
2025.03.02
뼛조각 559개 중 25.2%인 141개에서 절단 자국이 발견됐다. 특히 이마를 형성하는 전두골(앞
머리뼈
)과 턱을 형성하는 하악골에 자국이 가장 많았다. 특히 전두골을 따라 여러 개의 절단 자국도 발견돼 연구팀은 "두피를 제거한 흔적"이라고 설명했다. 하악골의 주요 근육인 교근을 절단한 듯한 자국과 ... ...
백악기 시대 악어, 심해 잠수 못한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l
2024.12.21
합니다. 그러나 깊은 물에 들어가면 부비동 안쪽의 공기가 물의 압력을 이기지 못해
머리뼈
가 손상될 위험이 있어요. 심해 잠수를 하는 고래의 경우 뼈 안쪽의 부비동은 점차 사라지고 두개골 바깥쪽에 공기주머니가 생기는 형태로 진화했습니다. Young MT et al 제공 연구팀은 탈라토수키아의 ... ...
서울 한복판서 발견된 뼈 무더기 미스터리
과학동아
l
2024.09.07
놀랐고 꽤 잘 보존된 소의
머리뼈
에 두 번 놀랐다. 산장 속 벽에 걸려있을 것만 같은 소의
머리뼈
는 뿔부터 아래턱 이빨까지 생생했다. "소뼈가 축축한 흙에서 발견됐기 때문입니다." 김 학예연구사는 설명했다. "습기가 많은 환경에서는 생물체가 오히려 더 잘 썩지않느냐"는 질문에 그는 "적당한 ... ...
[표지로 읽는 과학] 물고기가 물속에서 소리의 방향을 아는 법
동아사이언스
l
2024.07.06
발견했다. 사진에서 물 입자는 스피커가 소리를 보내는 방향으로 움직였다. 이때 물고기
머리뼈
의 귓속 좌우에 들어 있는 감각모가 물 입자의 움직임을 느끼고 대략 어느 쪽에서 소리가 들리는지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물고기의 '부레'가 구체적인 방향을 설정하는 데 도움을 줬다. 물고기 몸속의 ... ...
[표지로 읽는 과학] 고인류 화석의 아이콘 '루시'
동아사이언스
l
2024.04.07
뼈 하나를 발견했다. 3년째 인류화석을 찾는 작업을 하고 있던 중이었다. 이어 작은 뒷
머리뼈
조각, 몇 미터 옆에서는 다리뼈, 척추뼈, 턱뼈 조각 등을 찾았다. 발굴한 뼈조각을 맞추자 키 1.2m, 몸무게 27㎏의 호미닌이 나타났다. 약 318~320만년 전의 것으로 밝혀졌다. 루시는 '최초의 인류'라고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수술 후 합병증 치료에 공헌한 선구자 '파레'
2024.03.31
com/news.php?idx=62726, https://www.dongascience.com/news.php?idx=57853 참조) 또 돌로 만든 기구로
머리뼈
에 구멍을 뚫는 뇌수술을 하기도 했다.(https://www.dongascience.com/news.php?idx=62500 참조) 이러한 수술법이 신석기 시대에도 환자들에게 성공적으로 시도될 수 있었고 성공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었던 것은 현대의 최신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뇌수술, 돌로 만든 기구로 시작됐다
2023.11.19
수술로 치료하려는 시도를 했고 의학백과사전을 편찬한 아비센나(Avicenna, Ibn Sina)는
머리뼈
골절과 수술 치료에 대한 내용을 책에 남겨 놓았다. 다른 학문분야와 마찬가지로 뇌와 신경에 대한 지식도 발전속도가 점점 빨라졌다. 1879년에 스코틀랜드의 메이스웬(William Macewen)은 신경학적 증상만으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인류 '파란트로푸스'의 재발견
2023.02.21
정도였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듬해 리키 부부의 장남인 조너선이 우연히 고인류 아이의
머리뼈
와 턱뼈 화석을 발견했다. 한눈에 보이세이보다 현생인류에 더 가깝다는 걸 알고 깜짝 놀란 부부는 부근에서 손목뼈와 손뼈도 찾았다. 뒤이어 어른 발뼈가 발굴됐고 3년 뒤 다른 두개골과 턱뼈도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