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otto"(으)로 총 10건 검색되었습니다.
- 물리와 감성이 공존하는 브라운아이드걸스 BASIC수학동아 l2015년 12호
- ´noma de Barcelona, 다다 쇼의 ‘유쾌한 우주 강의’, ‘최무영 교수의 물리학 강의’, Heinz-Otto Peitgen의 ‘Chaos and Fractals New Frontiers of Science’, 논문 ‘Emergence of fractal geometry on the surface of human cervical ep ...
- 파인만씨 농담도 잘하시네요!과학동아 l2001년 04호
- 하이젠베르크의‘부분과 전체’에서 그려졌던 히로시마 원폭 투하에 대한 오토 한(Otto Hahn)의 처절한 절규, 그리고 원자폭탄 개발 이후 평생을 반핵 운동에 헌신했던 오펜하이머(Julius Robert Oppenheimer)의 반성과 비교해 보면 더욱 그러하다. 머리는 뛰어나지만 가슴이 뜨겁지 못한 우리의 천재를 보는 ... ...
- 에이즈 치료제 AZT과학동아 l1995년 09호
- 후에도 아세틸콜린 연구를 계속했다. 그 결과 1936년 오스트리아 그라츠 대학의 오토 뢰비(Otto Loewi)와 공동으로 아세틸콜린의 신경전달 역할을 밝힌 공로로 노벨 의학상을 받았다. 1973년 웰컴 그룹 연구개발 책임자로 취임한 영국의 존 베인(John Vane)은 프로스타글랜딘 연구를 계속하여 1976년 ... ...
- 최초 비행기 모형 열대 식물 씨앗 본떴다과학동아 l1993년 06호
- 받고 있는 보잘것 없는 지적 동물임에 불과할 뿐이다.1세기의 비행기 역사오토 릴리엔탈(Otto Lilienthal)이 수백m의 공중활주에 처음으로 성공한 것은 1891년. 그러나 그는 1896년에 공중비행을 시도하다가 48세의 젊은 나이로 뜻밖의 치명적 사고를 당했다. 그로부터 2년 후 이그나츠 에트리흐와 그의 아들 ... ...
- (2) 전자기학을 확립해온 사람들과학동아 l1992년 02호
- 이 전자기이론의 기원을 더듬어 보자.17세기에 이르러 독일의 물리학자 오토 폰 게리케(Otto von Guericke)는 정전기를 연구하는 방편으로서, 유황으로 공을 만든 뒤 손아귀에 넣어 돌림으로써 정전기를 띨 때 종이조각이나 천조각이 이 공에 들러 붙는 것을 살피게 된다. 그는 이 공에 매어둔 실 또한 ... ...
- 2. 새로운 뇌관으로 떠오른 우발적인 핵전쟁과학동아 l1991년 11호
- 독자적으로는 성립될 수 없고 에너지 보존법칙에 흡수된다.1938년 독일의 화학자 한(Otto Hahn)이 우라늄의 핵분열현상을 발견함으로써 이러한 이론은 현실로 나타나게 되었으며 이로써 신의 영역에 갇혀 있던 엄청난 핵에너지가 인간의 손아귀에 놓이게 된 것이다.원자력은 인류가 발견한 에너지원중 ... ...
- 바라는대로 되는 것만은 아니다과학동아 l1989년 10호
- so.However, that isn't always the case with all dramatic and unbelievable discoveries. In 1938, the German physicist Otto Hahn, who had been bombarding uranium with neutrons, had decided the ur ...
- 진공과 양자역학과학동아 l1988년 08호
- 비슷한 시기에 진공에 관한 실험에 획기적인 일이 발생하였다. 그것은 독일의 게리케(Otto von Guericke)가 오랜 시간의 연구 끝에 물펌프를 개량하여 공기 펌프를 만들어낸 것이었다. 당시 마그덴부르크의 시장이었던 그는 새로 고안된 펌프로 여러 실험을 하였다. 특히 40cm 정도의 반구(半球)를 ... ...
- PART 4 문명의 모태과학동아 l1987년 06호
- 그것이 충돌하는 원자핵에 잡힐 확률도 커진다. 페르미의 발견후 독일 과학자 '한'(Otto Hahn, 1879~1968)과 '슈트라쓰만'(Fritz Strassmann, 1902~ )은 우라늄원자핵이 중성자를 흡수하면 원자핵이 실제로 분열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원자핵분열 과정에서 우라늄원자가 갖고 있는 많은 중성자들 중에서 두세개가 ... ...
- 끝없는 미스테리 우주인과 UFO과학동아 l1986년 06호
- 960년 항성(恒星)의 분광학(分光學)적 연구로서는 최고 권위자인 천문학자 '오토스트루베'(Otto Struve)교수는 태양계가 속해있는 2천억개의 별들로 구성된 은하(銀河)란 소우주(小宇宙)가 다시 약 1천 억개 이상이 모여 우주를 구성하고 있는데, 그 소우주 하나만 생각해봐도 오로지 지구하나뿐만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