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column"(으)로 총 18건 검색되었습니다.
- [그림으로 보는 난제] 수학문제 분류소, P와 NP는 같을까? 다를까?수학동아 l2019년 09호
- 여는 세계’, 케이스 데블린 ‘수학의 밀레니엄 문제들 7’, 윌리엄 가자르 ‘Guest Column: the second P =?NP poll’도움 엄상일(기초과학연구원(IBS) 이산수학그룹 CI, KAIST 수리과학과 교수) 디자인 유승민 일러스트 ... ...
- Part3. 바다 속으로 태평양을 건너다과학동아 l2012년 05호
- 방법은 크게 4가지(그림과 설명 참조)다. 텐션렉(tension leg), 폰툰(pontoons), 칼럼서포트(column support), 프리(free)로 나뉜다.해중터널 유형은 바다 속 환경에 따라 달라진다. 수심이 깊으면 칼럼서포트 방식은 어렵다. 반대로 조류가 많이 지나는 곳은 텐션렉 방식이 적합하다. 태평양 가운데 해중터널이 ... ...
- The Next Sudoku?과학동아 l2009년 05호
- ⓐ As in Sudoku, the object is to fill in the grid with digits in such a way that no digits is repeated in any row or column. ⓑ Because the puzzle to the right is a 4×4 grid, only the digits 1 t ...
- 인터넷으로 떠나는 수학퍼즐여행과학동아 l1996년 11호
- the condition that all the diagonals(traced as if the square was on a torus) added to the same number as the row and column sum.Bachet was famed as a poet, translator and early mathematician of ...
- 흰꽃송이 반쪽만 물들이기과학동아 l1993년 11호
- 분리되는 것을 보았던 거죠. 오늘날 이것을 관을 사용한다 해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column chromatography)라고 부릅니다.이처럼 츠웨트의 실험에서부터 유래한 크로마토그래피는, 크로마는 색을 의미하고 그래피는 쓰는 것을 의미하는 라틴어이므로 혼합물의 조성을 착색의 형태로 표현한다는 의미가 ... ...
- 피부와 태양과학동아 l1993년 06호
- a recent 'Daedulus' column in the journal Nature, David Jones proposed a perhaps whimsical theory that nevertheless makes sense, given the even more whimsical nature of human beings. The idea i ...
- (1) 한글카드과학동아 l1992년 12호
- 폰트의 단점을 보완해 16×16폰트와 호환성을 갖는 24×24 폰트를 지원한다. 또한 영문 80자(column)의 일반 텍스트(문자) 모드를 변형해 영문 1백32자(한글 66자) 영문 1백60자(한글 80자) 등 다양한 텍스트 모드를 제공한다. 컬러모드와 모노모드의 자유로운 변형, 동일화면에서 명조/고딕 서체를 동시에 조합 ... ...
- 블랙 홀 탱고과학동아 l1992년 10호
- 탱고는 아르헨티나에서 시작된 우아한 무도장 춤으로서 (영화배우였던) 루돌프 발렌티노같은 사람들에 의해 유행됐다. 필자가 좋아하는 탱고에선(이모진 코카란 사 ... at work to find the truth. In the meantime, new information and theories about black holes will be discussed ...
- 멀리있는 실상과학동아 l1992년 05호
- 아름다움은 멀리있는 우주를 그리는 우리 마음속에 존재할는지 모른다.Far-out RealityWhen a column is a collaborative effort, there's a problem about the first-person plural. 'We" could mean Janet and Isaac, or it could mean " ...
- 1. 1천m이상 「수직도시」구상까지과학동아 l1991년 09호
- 건물이 건축되었다. 당시는 고층건물의 초기단계에서 흔히 사용하는 뼈대구조(beam-column frame)시스템이 대부분이었고 앰버서더 호텔 등 몇몇 건물에 배대구조-전단벽의 결합(frame-shear wall interaction)시스템이 사용되었다.60년대 말에 이르러 쌍용빌딩(1969, 18층, 77m), KAL빌딩(1969, 23, 82 ...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