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안테나
안태나
d라이브러리
"
antenna
"(으)로 총 16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웅배의 '최애 은하'] 하트 모양 은하의 러브 스토리
과학동아
l
2023년 03호
다른 모양이 보였을 것이다. 다만 이 은하 쌍의 공식 명칭은 아쉽게도 ‘더듬이 은하(
Antenna
Galaxy)’다. 이곳을 발견한 18세기엔 망원경 시야가 선명하지 않아 하트 모양의 별 원반은 볼 수 없었던 탓이다. 대신 하트의 양 옆에 길게 흐르는 별과 가스 꼬리를 보고, 곤충의 더듬이를 떠올렸다. 옛날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8호
안테나(
Antenna
)안테나는 전자기기에서 전파를 보내거나 받기 위한 금속 장치를 말해요. 영어인 안테나는 한국말로 ‘더듬이’를 뜻해요. 곤충들이 머리에 있는 더듬이로 정보를 받아들이는 것처럼 ‘전파를 잡는다’는 의미에서 붙여진 이름이랍니다. 생긴 것도 더듬이와 비슷하지요.개인 주택이나 ... ...
[TECH]무선충전 기술이 돌아왔다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자신들의 위치 정보를 계속 주고받을 수 있다. 이를 ‘역지향성 안테나(retrodirective
antenna
)’라고 한다.이때 만약 안테나와 전자기기 사이에 사람이 있다면 안테나는 사람을 회피해 전자기기에 도달할 각도를 다시 계산하고 방향을 바꾼다. 현재 중거리 전송은 사방이 벽으로 이뤄진 방을 가정하고 ... ...
1984년 발터 게링 교수의 호메오박스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있는 초파리였다.이 전에도 이렇게 생긴 돌연변이체가 알려져 있었고 ‘안테나페디아(
antenna
pedia)’라는 이름으로 불렸다. 즉 더듬이(
antenna
) 자리에 발(pedia)이 달려 있다는 의미다. 그는 여러 차례 교배실험과 염색체 관찰을 통해 염색체 상에서 돌연변이 유전자가 있는 위치를 규명했다. ... ...
② 검은구멍이 발하는 중력파 포착하라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국제공동연구에 착수했다. 이에 힘입어 LIGO는 훨씬 더 거창한 LISA(Laser Interferometer Space
Antenna
) 계획으로 이어질 예정이다. LISA는 미국 NASA와 유럽우주가구(ESA)가 5억달러의 예산으로 2010년까지 중력파 관측소를 우주 공간에 설치하는 대규모 프로젝트이다. 한변이 5백만km인 정삼각형 세 꼭지점 ...
원뿔에서 태어난 2차곡선들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쌍곡면의 다른 초점)에 모인다. 이런 원리로 작동하는 안테나가 카스그랭 안테나(Cassegrain
antenna
)다. 부반사기로 쌍곡면이 아닌 타원면을 이용하기도 한다. 타원면은 타원을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얻은 곡면이다. 이런 안테나를 그레고리안 안테나(Gregorian
antenna
)라고 한다.태양열 증류기원을 지름을 ... ...
2. 중력자
과학동아
l
1998년 06호
중력파는 검출되기 어렵다.현재 사용하는 중력파 검출기에는 질량공명 안테나(resonant mass
antenna
)를 이용하는 것과 레이저 간섭계(laser interferometer)를 이용하는 것이 있다. 웨버가 사용한 검출기는 질량공명 안테나의 일종이었다. 이는 원통형의 알루미늄 막대에 중력파가 지나갈 때 알루미늄 막대가 ... ...
철새 추적, 인공위성 전파발신기 동원
과학동아
l
1995년 10호
VHF)는 고전적인 무선추적장치에 사용된다. 기본적으로 손으로 잡는 방향안테나(directional
antenna
), 수신기, 헤드폰 등으로 구성된다. 동물에 부착된 발신기로부터 신호를 듣고 위치를 파악한다. 이 방법으로 민물고기의 위치 추적도 가능하다. 그러나 소음이 많아 바다고기의 측정은 어렵다 ... ...
2. '오즈마'에서 '페닉스'까지 본격탐사 발자취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것. 마이크로파(1-10㎓)를 사용하는 지름 1백m의 거대한 지상형 위상차안테나(phased
antenna
, 기계식으로 움직이지 않고 목표를 자동 추적하는 안테나로 동시에 여러 개의 천체를 관측할 수 있음)를 1천5백대 가량 연결해 건설한다면(어레이형) 충분히 외계에서 오는 전파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는 것. ... ...
우주발전 현실로 다가온다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이것을 직경 1㎞의 안테나에서 지상 수신 안테나인 약 10㎞×13㎞의 렉테나(Receiving
Antenna
의 줄임말)에 송전하는 것이다. 마이크로파는 구름을 관통해 에너지를 보낼 수 있기 때문에 빔의 퍼짐이 있더라도 레이저보다 실용성이 있다. (그림 3)은 궤도상의 발전소에서 지상 렉테나로 송전하는 모형이다 ... ...
1
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