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ROM"(으)로 총 116건 검색되었습니다.
- 10년 뒤에도 잘 나갈까과학동아 l2022년 08호
- 크게 메모리반도체와 시스템반도체로 구분된다. 메모리반도체는 주기억장치(RAM 또는 ROM)처럼 정보를 저장하는 목적으로 사용하는 반도체다. 시스템반도체는 중앙처리장치(CPU)나 그래픽처리장치(GPU)처럼 정보를 처리하는 목적으로 주로 사용하는 반도체다. 한국은 작은 시장에서 거인이다. 한국은 ... ...
- [Tech & Fun] DGIST 학생들이 학교로 피서를 떠난 까닭은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방학을 집에서 보내지만, 그는 학교에 남기로 결정했다. UGRP(Undergraduate Group Research P rog rom) 모임을 위 해서다. U GR P는 DGIST 3학년 학생들이 1년 동안 팀을 이뤄융․복합 연구를 진행하는 학내 프로그램이다. 현정 씨와 다른 동기 네 명의 연구 주제는 ‘지구 온난화 논쟁 되돌아보기’. 지구 ...
-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모두 아우르다과학동아 l2012년 10호
- 프로세서)가 16MHz(메가헤르츠, 1MHz=106Hz)로 동작했다. 여기에 512KB(킬로바이트) SRAM, 128KB ROM을 탑재하고 3인치 8컬러 LCD와 터치스크린을 장착한 컴퓨터였다. 여기에 필요한 컨트롤러 및 OS(컴퓨터 운영체제), 드라이버, 응용프로그램까지 모든 것을 나와 친구들이 직접 개발했다. 이런 과정을 통해서 ... ...
- 목소리 크면 주던 점수, 이젠 정밀 채점과학동아 l2011년 09호
- 4세대 반주기까지 발전한 것이다. 이는 결국 저장 매체에 따른 진보다.1세대 반주기는 롬(ROM)기반으로 만들었다. 1990년대 초반에 많이 썼다. 미디를기반으로 한 저용량 저장 공간을 사용한 반주기로 영상이 따로 없었다. 그래서 외부에서 영상을 별도로 입력해 재생했다. 숫자 버튼과 숫자 카운터만 ... ...
- 빛의 속도로 변화하는 시대의 생존과학동아 l2011년 06호
- 가장 피부로 느낄 수 있는 분야는 백업용 저장매체다. 1.44MB 디스켓에서 650MB짜리 CD-ROM, 8.5GB DVD에서 멈추지 않고 50GB 블루레이로 진화했다. 이 모든 변화가 불과 15년에 지나지 않다. 그러나 어느 날 갑자기 나타난 듯한 기술들도 알고 보면 생각보다 오랜 시간동안 연구해온 결과물이다. 필립스와 ... ...
- 4 자외선으로 기록하고 가시광선으로 지운다과학동아 l2003년 09호
- Recordable의 약자)이나 DVD-R에서는 기록층으로 유기색소 물질이 사용된다. 이 경우 정보는 ROM에서처럼 들어가고 나오는 물리적인 구조가 아니라 유기색소의 광화학 반응으로 기록된다.유기색소 기록층은 폴리카보네이트 기판 에 덧입혀진다. 그리고 기판의 트랙에 해당하는 기록층에 레이저빔을 ... ...
- 대우받는 기술자로 남기 위한 청색 혁명과학동아 l2002년 06호
- 것이다.● ● DVD의 5배에 달하는 27GB의 용량, 디지털 하이비전의 녹화 수요를 예측해 ROM보다 RAM 방식 저장매체를 선행 발표하는 등 규격과 사양은 멋들어진 블루레이지만, 상용화에 대해서는 각사 모두 우물쭈물하고 있다.● ● 그 이유는 다시 청색. 아직 여명기이기에 현 기술 단계로는 수명이 겨우 ... ...
- 스마트카드 한 장이면 어디서나 만사형통과학동아 l2002년 02호
- 전기를 공급받아 그 힘으로 동작하게 된다. 단말기에서 동작을 요구하는 신호를 보내면 ROM에 저장된 운영체제에서 그것을 파악해 요구에 맞게 처리한 후 처리내용을 되돌려 준다. 이렇게 처리하는 운영체제를 COS(Chip Operating System)라고 부르며, 컴퓨터의 운영체제인 도스나 윈도와 같은 기능을 ... ...
- 눈과 손으로 함께 '보는' 책과학동아 l2002년 01호
- 모르겠다. 또, 한번의 클릭으로 관련 인물과 용어 사전을 찾아볼 수 있게 한 것도 책과 CD-ROM이 함께 있는 장점을 극대화시킨 대표적인 예다. 고요한 겨울밤, 별과 우주 속에서 무한한 상상력을 키워보는 것은 어떨까 ... ...
- Ⅰ 디지털 르네상스 주도할 쌍두마차 : ② 몸에 존재하는 자연산 슈퍼컴 DNA컴퓨터과학동아 l2001년 12호
- 우리는 대부분 키보드와 모니터, 그리고 본체라고 불리는 네모난 상자를 떠올린다. 또 ROM, RAM, 기가바이트, 메가헤르쯔 같은 어려운 용어도 떠올려야 한다. 우리는 이미 실리콘 소재로 만든 마이크로칩 기반의 컴퓨터에 익숙해져 있는 것이다. 하지만 컴퓨터가 꼭 그래야 할 필요가 있을까.지금까지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