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헤방꾼
훼방군
d라이브러리
"
훼방꾼
"(으)로 총 10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다움을 위한 선택, 망각
과학동아
l
2021년 09호
불편한 일로 묘사된다. 수험생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소중한 사람과의 기억을 없애는
훼방꾼
으로 여겨진다. 인공지능에서의 망각은 성능을 떨어뜨리는 치명적인 오류가 되기도 한다.하지만 망각 없이 모든 것을 기억해야 하는 세상은 어떨까. 과거의 잘못이나 치욕스러운 기억을 평생 안고 살아야 ... ...
에너지 순환, 중위도는
훼방꾼
?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지구 대기의 대순환지구는 태양복사에 의해 위도별로 부등가열된다. 그 결과 공기는 적도 부근에서 상승해 대류권계면에 이른 뒤 상층에서 극 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이것은 상층에서 기압경도력이 남에서 북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극으로 이동하는 공기는 점차 전향력의 영향을 크게 받기 ... ...
시끌벅적 소리로 가득 찬 바다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시작한다.그동안 딱총새우는 우리나라 해군이 바닷속 잠수함을 탐지할 때 잡음을 만드는
훼방꾼
이었다. 필자의 연구팀은 우리나라 연안에 서식하는 딱총새우 소리의 특성을 분석해, 잠수함 탐지장치에서 딱총새우의 잡음을 분리하는 연구를 하고 있다.파도소리로 너울과 쓰나미 예측한다바다에 ... ...
우주인이 두려워하는 질병따로 있다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늘어나 이를 붙잡고 있는 근육에 통증이 온다.안사리는 자신의 우주여행을 방해한 2가지
훼방꾼
으로 두통과 척추 통증을 꼽기도 했다. 우주인들은 이 증상을 흔히 ‘부은머리 새 다리 증후군’(Puffy-head Birds-legs Syndrome)이라고 부르는데 보통 일주일 정도면 통증은 사라진다.하지만 혈액 순환에 ... ...
불규칙한 바람에서 노다지를 캐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등 다양한 기상현상도 사실은 난류에 지배당하고 있는 것이다.문제는 ‘비행을 방해하는
훼방꾼
’처럼 비쳐지는 난류가 전혀 비효율적인 것이 아니라는데 있다. 특성을 잘 분석하면 오히려 연료를 획기적으로 절약하는 방법을 찾아낼 수 있다.난류에 대한 성 교수의 설명이 이어진다. “난류는 특정 ... ...
02. '죽음의 입맞춤' 유비퀴틴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단백질 분해를 배제할 수 있었던 것이다.하지만 적혈구추출물에는 헤모글로빈이라는
훼방꾼
이 있다. 연구팀은 적혈구추출물을 헤모글로빈이 포함된 부분(F-I)과 그렇지 않은 부분(F-Ⅱ)으로 나누고 ATP를 사용하는 단백질 분해가 일어나는지 실험했다. 그 결과 희한하게도 분리 전에는 일어났던 ... ...
효소가 좌우하는 노년의 운명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소량 존재할 때는 인체에 해롭지 않지만 과하면 해가 되는 셈이다.정상 효소 방해하는
훼방꾼
그렇다면 베타아밀로이드는 어떻게 만들어질까. 베타아밀로이드는 아밀로이드전구단백질의 일부분이다. 정상인의 경우 아밀로이드전구단백질의 중간 부분을 알파시크리타제라는 단백질 분해효소가, ... ...
2008년 한국 최초 우주인 탄생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단서도 제공할 것이다.그러나 우주실험에 유리한 점만 있는 것은 아니다. 가장 골치 아픈
훼방꾼
은 액체 속의 공기방울. 지상에서는 비중 차이로 인해 액체 속 공기방울이 수면 위로 올라와 없어지지만 무중력 하에서 공기방울은 요지부동이다. 그래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정전기나 초음파를 이용해 ... ...
버팀목 줄기 감아 고사시키기도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칡은 나무 키우는 일에 매달리는 삼림공무원에게나 전력회사의 직원에게나 악명 높은
훼방꾼
일 따름이다. 말 그대로 ‘칡과의 전쟁’을 벌리고 있으나 워낙 왕성한 생명력을 가진 녀석이라 칡을 잠재우는 일은 여의치 않다. 깊은 산에서 야산의 산자락까지 아니 있는 곳 없이 널리 퍼져버린 칡을 ... ...
환경파괴 없는 남극개발에 나설 때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이 바람에 눈이 날리면 불과 몇m 앞도 안보이는 남극폭설풍이 되어 남극 탐험을 가로막는
훼방꾼
으로 등장한다. 1912년 아문젠보다 한달 늦게 남극점에 도달한 스코트일행은 중간에 조난한 2명을 빼고 나머지 3명이 연료와 식품이 저장된 완톤창고 20㎞ 남쪽까지 갔지만, 워낙 바람이 세어서 더이상 ... ...
공지사항